$\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훼손 도자기 결실부 복원을 위한 3D 세라믹 프린팅 기술의 기초 적용성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3D Ceramic Printing Technology for Restoration of the Missing Part of Damaged Ceramic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11, 2020년, pp.165 - 173  

오승준 (한서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연구센터) ,  위광철 (한서대학교 문화재보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훼손 도자기의 결실부 복원은 ABS, PLA 등이 적용되고 있으나 도자기 재질과는 유사하지 않아 세라믹 수지에 대한 물성 및 적용성 연구를 진행해보고자 하였다. 기존 복원 방법인 거푸집과 ABS 수지 복원, 세라믹 수지의 실제 복원 및 물성 실험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세라믹 수지의 복원부 제작은 기존 재료에 비해 정밀도가 높아 미세한 형상의 출력이 가능하고, 표면 질감, 광택이 L30과 ABS 수지보다 우수하였다. 물성 측정 결과 수축, 변형이 없고 압축강도가 높아 기존 재료에 비해 내구성이 우수하나 비중과 경도 값은 복원부 제작 후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는 요소로 작용될 수도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적용된 세라믹 수지의 장기적인 모니터링과 신뢰성 및 안정성 평가, 너무 얇거나 긴 형태의 복원부 출력 시 원형복원성 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BS and PLA are applied for restoring missing part of damaged ceramics, but are not similar to the material of ceramics, so this study conducted a research on the properties and applicability of ceramic resin. This study conducted actual restoration of ABS and ceramic resin as well as cast restorati...

주제어

표/그림 (1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본 연구에서 진행된 결실부 복원은 완형의 도기를 임의로 파손한 파편 중 한 점을 3D 스캐닝 후 프린팅 한 것으로 정확한 형태 확인이 가능한 상태에서 복원을 진행한 것으로 실제 발굴 현장에서 출토되는 훼손 도자기의 결실부를 복원하는 과정과는 다를 수 있으며, 이는 세라믹 3D 프린팅 기술의 적용 가능성을 우선적으로 확인해보고자 하는 단계라는 것을 사전에 언급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세라믹 소재 중 결정성 실리카를 기반으로 한 고분자 고점도 수지를 이용해 훼손 도자기 결실부 복원을 위한 3D 출력물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해 보고자 한다. 또한 강도, 경도, 황변성등 기존 재료와의 물성 비교 후 재료학적 안정성과 신뢰성을 확인하고 실제 훼손된 도자기 유물의 결실부 복원 3D 기술로서의 확장성을 판단해보고자 한다.
  • 현재 훼손 도자기의 결실부 복원은 몰드형 실리콘을 이용해 거푸집을 만들어 복원 부위를 제작하거나 퍼티형 에폭시 수지 등으로 복원 후 성형을 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 중 실리콘을 이용한 형틀 제작방법을 이용해 만들어진 복원부와 3D 프린팅 방법으로 제작된 복원부의 물성 및 정확성을 비교, 분석해 보고자 한다.
  • 이러한 복원기술을 대체하고자 문화유산의 보존기술과 최신 3D기술의 융합 연구를 통해 복원 기술 대체 가능성을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최신 3D 디지털 기술 중도자기 재질과 유사한 세라믹 수지를 이용한 3D 프린팅 기술을 접목해 실제 훼손 도가기 복원 작업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 그러나 소결과정 이전 단계에서 출력된 구조체는 수축・변형에 대한 신뢰성과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소결 후 생성되는 유리질 층은 기존의 광택제인 그로스 바니시와 고색처리 등을 통해 복원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세라믹 소재 중 결정성 실리카를 기반으로 한 고분자 고점도 수지를 이용해 훼손 도자기 결실부 복원을 위한 3D 출력물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해 보고자 한다. 또한 강도, 경도, 황변성등 기존 재료와의 물성 비교 후 재료학적 안정성과 신뢰성을 확인하고 실제 훼손된 도자기 유물의 결실부 복원 3D 기술로서의 확장성을 판단해보고자 한다.
  • 이에 훼손 도자기 유물의 복원을 위한 방법으로 전통 기술을 대체할 수 있는 3D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문화유산을 보존할 수 있는 융합기술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특히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훼손 도자기의 복원은 가장 최신의 보존처리 기술로서 연구가 진행되기 시작하였으며[7], 실제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유물인 차륜형 토기, 잡유호, 청자투각칠보문향로, 백자수주 등에 적용되어지고 있는 단계로 진입하고 있다[8].
  • 이러한 복원기술을 대체하고자 문화유산의 보존기술과 최신 3D기술의 융합 연구를 통해 복원 기술 대체 가능성을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최신 3D 디지털 기술 중도자기 재질과 유사한 세라믹 수지를 이용한 3D 프린팅 기술을 접목해 실제 훼손 도가기 복원 작업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F. Klocke. (1997). Modern approaches for the production of ceramic components. Journal of European Ceramic Society, 17(2-3), 457-465. DOI : 10.1016/S0955-2219(96)00163-X 

  2. A. Zocca. P. Colombo. C. M. Gomes & J. Gunster. (2015). Additive manufacturing of ceramics: issue, potentialities, and oppertunities. Journal of American Ceramic Society, 98(7), 1983-2001. DOI : 10.1111/jace.13700 

  3. H. S. Lee & H. S. Hwang. (2007). Th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Ceramics-. Seoul : National Museum of Korea. 

  4. S. J. OH & K. C. Wi. (2018). A Study on the Method of Restoring Pottery Using 3D Digital Technology - Comparison of the Restoring Methods of White Porcelain Using Contact and Contactless Methods -. Culture and Convergence, 40(2), 595-614. DOI : 10.33645/cnc.2018.04.40.2.595 

  5.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014). Ceramics, Pottery Restoration, Low Shrinkage for Low-Yellowing Resin Developed Reversible II. Daejeon :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6. H. S. Hwang, M. J. Koh, S. K. Lim & D. H. Lee. (2014). Experiment to Select Materials for th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a Glass Ewer, Korean National Treasure No.193.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in Museum, 15, 33-34. DOI : 10.22790/conservation.2014.15.0026 

  7. S. Y. Jo, Y. M. Kwon & B. B. Choi. (2018). Conservation Treatment of the Seated Stone Bodhisattva Discovered in Pyeongchang and Restoration of the Statue Using 3D Digital Technologies. Conservation Science in Museum, 20, 77-92. DOI : 10.22790/conservation.2018.20.0077 

  8. H. S. Lee & K. C. Wi. (2015). Restoration of a White Porcelain Pitcher Using 3D Printing. Conservation Science in Museum, 16, 123-126. DOI : 10.22790/conservation.2015.16.0122 

  9. H. S. Lee & K. C. Wi. (2015). Restoration of Earthenware & Porcelain Cultural Assets using 3D Printing.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31(2), 131-145. DOI : 10.12654/JCS.2015.31.2.06 

  10. S. W. Cheon. (2015). Development of 3d printing technology-based composite material printing device. Master's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Chungju. 

  11. S. M. Kim. (2014). Personal 3D Printing. seoul : Young Jin. com. 

  12. K. H. Lee, S.Y. Jang, S. Y. Lee & M. H. Seo. (2014). A new revolutionary 3D printer that changes the world A to Z. p27-35, Gyeonggi : Intobooks. 

  13. G. S. Jang. (2004). A Study on Digital Restorology of Cultural Assets Using 3D Scanning System. Master's dissertation. Sung Kyun Kwan University, Seoul. 

  14. E. M. Shin. (2018). Study to develop and enhance the utilization of 3D technology - Focused on case studies in dental field -. Master's dissertation. Sung Kyun Kwan University, Seoul. 

  15. S. H. Lee. (2016). Prospect for 3D Printing Technology in Medical, Dental, and Pediatric Dental Field. Master's dissertation. Chosun University, Gwangju.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