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가활동이 노인의 우울경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f the Effect of Leisure Time Activities on Depression among Elderly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11, 2020년, pp.269 - 282  

조인숙 (연세대학교 정경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고령자연구패널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노인들의 신체적 운동과 사회적 네트워크 참여가 우울증상 경험 가능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본다. 본 연구는 로지스틱 모형을 기반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광범위한 통제변수들을 분석모형에 포함시켜 누락변수편이를 최소화 하였다. 또한 서로 다른 여가활동 방식이 우울에 미치는 복합적인 영향을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 차별성을 가진다. 실증분석 결과는 신체적 운동과 사회적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노인은 그렇지 않는 노인들에 비해 우울증을 경험할 가능성이 더 낮음을 보인다. 본 연구는 신체적 운동이나 사회적 네트워크가 노인들의 정신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실증적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여가활동이 노인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을 분석하는 연구에 기반을 제공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sing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KLoSA),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the participation in physical exercises and in social networking on the experience of depressive symptoms among elderly. This study differs from previous studies in two ways. First, this study avoids omitted vari...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개인의 사회경제적 배경 및 건강상태, 건강행동 변수들이 우울증상 경험 가능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도 간단하게 살펴본다. 연령의 경우,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우울증 경험 가능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연령증가에 따른 신체 건강 하락으로 인한 정신 건강 상태 하락의 관련성을 보여준다.
  • 개인의 사회경제적 배경 변수들이 우울증상 경험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간단하게 살펴본다. 1열의 결과에서는 연령이 높아질수록 우울 증상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 따라서 인지 장애가 있는 노인의 표본을 포함한 분석 결과는 노인들의 여가활동 방식과 우울증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데 있어 그 추정치를 과대하게 할 것이라는 우려가 있다. 그래서 이번에는 인지 장애를 경험하고 있는 노인들의 표본을 제외한 분석 결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고령자연구패널조사 자료는 MMSE 검사를 통해 응답자의 인지 장애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 이는 여가활동이 노인의 우울증 경험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의 크기를 보다 정확하게 분석하는데 도움이 된다. 또한 신체적 운동과 사회적 네트워크라는 두 가지 서로 다른 여가 활동 방식이 우울증 경험 가능성에 미치는 복합적인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신체를 활용하는 여가활동과 정서적 효과가 큰 여가활동 간의 상호 연관성 및 이들 여가활동이 우울증 경험 가능성에 미치는 배타적인 영향의 크기도 확인한다. 이러한 점이 본 연구가 기존의 노인 우울에 대한 연구들과 차별성을 가지는 부분이다.
  • 본 연구는 신체적 운동과 사회적 네트워크를 통한 노인의 여가활동이 노인들의 우울증 경험 가능성을 낮추는 효과를 가진다는 실증 근거를 제시한다. 이는 신체 활동을 포함하는 여가활동이나 또는 사회적 연결망을 활용하는 여가활동이 노인들의 정신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임을 시사하며, 더 나아가 노인들의 자살을 예방하는 잠재적인 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 본 연구는 한국고용정보원이 제공하는 고령화연구패널조사(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자료를 사용하여, 노인들의 여가시간 활용 방식이 우울증상 경험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다. 특히 신체 활동을 수반하는 신체적 운동과 다른 사람과의 인적교류를 의미하는 사회적 네트워크와 같은 여가 활동 방식이 노인들의 우울 증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본다.
  • 본 연구에서는 노인들의 여가시간 활용 방식이 우울증상 경험 여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신체적 운동과 사회적 네트워크를 통한 사회적 연결망 활용 여부가 우울 증상을 겪을 확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 본 연구에서는 노인들의 여가활동 활용 방식과 다양한 사회경제적 배경이 노인의 우울증과 어떤 관련성을 보이는지를 살펴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중요한 변수 중 하나는 조사대상자의 우울증 경험 여부(have depressive symptoms)를 나타내는 변수라 하겠다.
  • 특히 신체 활동을 수반하는 신체적 운동과 다른 사람과의 인적교류를 의미하는 사회적 네트워크와 같은 여가 활동 방식이 노인들의 우울 증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본다. 본 연구에서는 로지스틱 분석방식을 활용하여 신체적 운동과 사회적 네트워크가 노인의 우울증상 경험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한다. 이 과정에서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는 다양한 통제 변수를 분석 모형에 포함하여, 누락변수 편이를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우울증에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여가활동으로 신체적 운동과 사회적 네트워크 변수를 중심적으로 살펴본다. 신체적 운동(physical exercise) 변수는 매주 규칙적으로 운동하는 횟수에 대한 응답 결과를 바탕으로, 주 1회 이상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는 경우 1의 값을 가지고 그렇지 않은 경우 0의 값을 가지는 변수를 구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로지스틱 분석방식을 활용하여 신체적 운동과 사회적 네트워크가 노인의 우울증상 경험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한다. 이 과정에서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는 다양한 통제 변수를 분석 모형에 포함하여, 누락변수 편이를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이는 여가활동이 노인의 우울증 경험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의 크기를 보다 정확하게 분석하는데 도움이 된다.
  • 이 연구는 노인들의 여가활동 참여와 건강습관을 살펴보고, 이러한 생활 방식이 우울증 경험 가능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신체적 운동이나 사회적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여가활동은 노인들의 우울증 경험 가능성을 낮추고, 정신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더 나아가 자살을 예방하는 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보이고 있다.
  • 고령자연구패널조사 자료는 MMSE 검사를 통해 응답자의 인지 장애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 정보를 바탕으로 인지 장애가 있다고 판정된 2,916명의 노인 표본을 제외한 후 실증분석을 수행한 결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Table 6는 인지장애가 없는 노인의 표본으로 실증분석을 수행한 결과를 보고한다.
  • 이는 신체 활동을 포함하는 여가활동이나 또는 사회적 연결망을 활용하는 여가활동이 노인들의 정신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임을 시사하며, 더 나아가 노인들의 자살을 예방하는 잠재적인 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노인 자살 예방 및 노인들의 정신건강과 관련된 중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 첫째,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우울증 경험 가능성과 중요하게 관련된 변수로 신체적 운동과 사회적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있다. 그러나 신체적 운동과 사회적 네트워크 중 어느 한 가지에만 참여하는 노인의 경우, 이들의 활동이 우울증 경험 가능성과 다른 패턴의 연관성을 보일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가 있을 수 있다.
  • 본 연구는 한국고용정보원이 제공하는 고령화연구패널조사(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자료를 사용하여, 노인들의 여가시간 활용 방식이 우울증상 경험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다. 특히 신체 활동을 수반하는 신체적 운동과 다른 사람과의 인적교류를 의미하는 사회적 네트워크와 같은 여가 활동 방식이 노인들의 우울 증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본다. 본 연구에서는 로지스틱 분석방식을 활용하여 신체적 운동과 사회적 네트워크가 노인의 우울증상 경험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한다.
  • 본 연구에서는 노인들의 여가시간 활용 방식이 우울증상 경험 여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신체적 운동과 사회적 네트워크를 통한 사회적 연결망 활용 여부가 우울 증상을 겪을 확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로지스틱 분석방법 사용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Statistics Korea. (2019). Statistics for Suicide. Statistics Korea, Sejong. 

  2. D. Kim, K. Kang, B. Lee & K. Kim. (2018).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loneliness in elderly living alone: focus group interview.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4), 85-91. 

  3. WHO. (2016). WHO Country Reports and Charts for Suicide Rates. World Health Organization. 

  4. H. Choi & H. Lee. (2019).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focusing on socio-demographic, environmental, and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Wellness, 14(1), 103-112. 

  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8). National Survey of Older Koreans.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jong. 

  6. I. Seo & Y. Lee. (2015). Mediated effects of de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ty environment and suicidal ideation: a comparative study on the elderly people who live alone and those who do not.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69, 383-415. 

  7. J. Chan, B. Draper & S. Banerjee. (2007). Deliberate self-harm in older adults: a review of the literature from 1995 to 2004.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2(8), 720-732. 

  8. Y. Kim, C. Park & H. Nam. (2019). Comparative, integrated study on emotional support, physical support, socio-economic factors related with suicidal ideation of 75 or older seniors: using the 2017 National Survey of Elderl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0(7), 63-70. 

  9. M. Lee & J. Kang. (2014). Changes in suicide rates and social integration in Korea: a community-level panel data analysis. Korean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37(2), 1-19. 

  10. E. Thompson, J. Mazza, J. Herting, B. Randell & L. Eggert. (2005). The mediating roles of anxiety depression, and hopelessness on adolescent suicida behaviors. Suicide Life Treat Behavior, 35(1), 14-34. 

  11. J. Hur & S. Yoo. (2002). Determinants of depression among elderly persons. Mental Health and Social Work, 13, 7-35. 

  12. M. Hwang & E. Kim. (2008). The effect of subjective quality of life and self-esteem on suicide ideation among the older adults: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8(4), 865-885. 

  13. C. Lee & S. Kahng. (2020). Associated factors with the trajectory of local elderly suicide rate.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75(2), 91-119. 

  14. Global Burden of Disease. (2017).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incidence, prevalence, and years lived with disability for 354 diseases and injuries for 195 countries and territories, 1990-2017: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7. The Lancet, 392(10159), 10-16. 

  15. H. Kim. (2014). Prevalence and risk factor of depression in women elderly living along in Korea. Crisisonomy, 10(2), 307-326. 

  16. KCDC. (2009). Risk factors for depression in older Koreans: community-based geriatric cohort study.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44), 737-751. 

  17. M. Ham & T. Cha. (2018). Effects of dementia risk factors on the cognitive function ability decline of the elderly living alon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8), 265-272. 

  18. D. Steffens & C. Potter. (2008). Geriatric depression and cognitive impairment. Psychological Medicine, 38(2), 163-175. 

  19. J. Seo, J. Choi, K. Park & D. Chang. (2018). A convergence study on the effect of caregiving burden on interpersonal problem of dementia caregivers: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family support.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8), 379-392. 

  20. H. Hwang & Y. Choi. (2019). Convergence on the related depression, suicidal ideation and nutrient intakes in older adults with osteoarthritis using the 6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0(8), 27-36. 

  21. S. Chang. (2017). Structural relationship of subjective health, ability to work, participation on economic activity, and life satisfaction among the Korean elderl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10), 305-310. 

  22. J. Son. (2020). Effect of physical self-description by the elderly who participate in life sports on resilience and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29(2), 319-338. 

  23. P. Salmon. (2001). Effects of physical exercise on anxiety, depression, and sensitivity to stress: a unifying theory. Clinical Psychology Review, 21(1), 33-61. 

  24. Y. Park & K. Sohng. (2019). Effects of a customized health promotion program on depression, cognitive functioning, and physical health of elderly women living alone in community: a cluster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9(5), 515-525. 

  25. H. Song & H. Kim. (2020). Convergence factors influencing perceived health status,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anxiety of dementia development in the elderly participation in local expos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1(7), 41-49. 

  26. H. Lee. (2009).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focusing on the social capital traits. Social Science Research, 25(3), 25-42. 

  27. M. Park. (2018). Social connectedness and depressive symptoms in community-dowelling older adults in Korea: the moderating effect of community attachment.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73(3), 55-81. 

  28. J. Park & N. Shin. (2018). A convergence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efficacy and health behavior in elderly women with chronic low back pai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2), 43-50. 

  29. M. Kwon. (2020). The effects of happiness, fatigue and self-efficacy on workers' quality of lif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1(5), 373-380. 

  30. S. Park. (2014). Health status and suicidal ideation in Korean elderly: the role of living arrangement. Journal of Mental Health, 23(2), 98. 

  31. Y. Choi. (2018). The influence of leisure commitment on elderly suicide ideation-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Journal of Social Science, 29(4), 133-152. 

  32. S. Shin & S. Choi. (2010). Relationship between elderly leisure activities, social capital, and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Hospitality and Tourism Studies, 12(3), 173-189. 

  33. M. Waern, E. Rubenowitz & K. Wihelmson. (2003). Predictors of suicide in the elderly. Gerontology, 49, 328-334. 

  34. J. Byun, J. Jung, J. Moon & S. Park. (2010). 12-week complex exercise program on bone mineral density and knee isokinetic muscle function in elderly women. Journal of Korean Physical Education Association, 49(2), 431-444. 

  35. J. Park. (2020). Convergence effect of college students knowledge on the elderly and recognition of retirement on the preparation for retirement.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1(2), 61-67. 

  36. Statistics Korea. (2016). Statistical Report on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Statistics Korea: Sejong. 

  37. K. Chon & M. Rhee. (1992).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CES-D: a preliminary study.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1(1), 65-76. 

  38. T. Lineberry, J. Allen, J. Nash & C. Galardy. (2009). Population based prevalence of smoking in psychiatric inpatients: a focus on acute suicide risk and major diagnostic groups. Comprehensive Psychiatry, 50(6), 526-532. 

  39. B. Lee. (2019). A convergence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s of dental health determinants on relationship between health practice behavior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0(2), 49-5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