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중년 이후 여성의 근감소증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적 요인: 제 5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한 단면조사 연구
Convergence Factors Affecting Sarcopenia in Middle-Aged and Older Women in Korea: A Cross Sectional Study by Using 5th KNHANE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11, 2020년, pp.405 - 416  

이한나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  김보현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중년 이후 여성의 근감소증 발생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제 5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활용하여 40세 이상 여성 3015명을 대상으로 시행된 단면조사연구이다. 자료분석SPSS 26.0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가중치를 적용한 복합표본설계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근감소증 유병률은 10.8%이었고, 사지근육량, 연령, 교육수준, 직업, 결혼, 주관적 건강상태, 에너지섭취량, 단백질섭취량, 체지방비율, 체질량지수, 음주, 폐경, 심혈관질환, 관절염, 대사증후군, 복부비만, 공복혈당장애, 고혈압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복부비만과 관절염이 있는 경우 근감소증이 발생 위험이 각각 4.15배(p<.001), 3.06배(p=.041) 높았고, 에너지섭취량이 증가할수록 0.99배(p=.043) 감소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근감소증을 예방하고 관리하기위해 중년 이후 여성의 복부비만과 관절염을 관리하기 위한 전략과 적절한 에너지의 섭취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sarcopenia in middle-aged and older women in Korea. This is a cross sectional study by using 5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SPSS 26.0 program. The prevalence of sarcopenia...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제 5기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한국 중년 이후 여성의 근감소증 유병률과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 관련 특성, 대사증후군 위험요소가 근감소증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 본 연구는 질병관리본부에서 시행한 제 5기 국민건강 영양조사의 2010년, 2011년 원시자료를 활용한 이차 자료 분석이며, 중년 이후 여성의 근감소증에 대한 영향 요인을 분석한 상관성 단면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한국 중년 이후 여성의 근감소증 유병률을 확인하고, 근감소증 발생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여 근감소증의 예방과 관리를 하기 위한 기초자료 제공 및중년 이후 여성의 건강증진을 위한 근거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 중년 이후 여성의 근감소증 유병률은 10.
  • 본 연구의 목적은 제 5기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원시자료를 활용하여 한국 중년 이후 여성들의 근감소증 발생과 그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Statistics Korea. (2019). Population Census: Population Projections. Statistics Korea [Online].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Index.do?menuIdM_01_01&vwcdMT_ZTITLE&parmTabIdM_01_01. 

  2. S. M. Hong & W. H. Choi. (2012). Clinical and physiopathological mechanism of sarcopenia. Korean Journal of Medicine, 83(4), 444-454. DOI :10.3904/kjm.2012.83.4.444 

  3. H. M. Park. (2018). Current status of sarcopenia in Korea: A focus on Korean geripausal women. Annals of Geriatric Medicine and Research, 22(2), 52-61. DOI : 10.4235/agmr.2018.22.2.52 

  4. K. A. Kim & S. Y. Hwang. (2017). Impact of physical activity, central obesity and depression on the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cardiovascular risk among menopausal middle-aged women: Secondary data analysi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9(4), 382-392. DOI : 10.7475/kjan.2017.29.4.382 

  5. A. J. Cruz-Jentoft & A. A. Sayer. (2019). Sarcopenia. The Lancet, 393(10191), 2636-2646. DOI : 10.1016/S0140-6736(19)31138-9 

  6. A. J. Cruz-Jentoft et al. (2019). Sarcopenia: Revised european consensus on definition and diagnosis. Age and Ageing, 48(1), 16-31. DOI : 10.1093/ageing/afy169 

  7. L. K. Chen et al. (2016). Recent advances in sarcopenia research in Asia: 2016 update from the asian working group for sarcopenia.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Directors Association, 17(8), 767. e1-767. e7. DOI : 10.1016/j.jamda.2016.05.016 

  8. M. Tieland, I. Trouwborst & B. C. Clark. (2018). Skeletal muscle performance and ageing. Journal of Cachexia, Sarcopenia and Muscle, 9(1), 3-19. DOI : 10.1002/jcsm.12238 

  9. H. H. Kim, J. S. Kim & J. O. Yu. (2014). Factors contributing to sarcopenia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Korean adult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6(2), 170-179. 

  10. M. H. Lee & Y. H. Park. (2017). Prevalence and factors related to sarcopenic obesity among community-dwelling elderly women.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9(1), 30-37. DOI : 10.7586/jkbns.2017.19.1.30 

  11. G. Y. Cho, E. J. Bae & Y. H. Kim. (2019). Association between sarcopenia and health risk behaviors by age groups in Korean adults: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V to V*.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1(3), 1523-1537. 

  12. L. Yang, L. Smith & M. Hamer. (2019). Gender-specific risk factors for incident sarcopenia: 8-year follow-up of the english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Journal of Epidemiology Community Health, 73(1), 86-88. DOI : 10.1136/jech-2018-211258 

  13. M. S. Kim & C. M. Sohn. (2016). Sarcopenia and sarcopenic obesity and their association with cardiovascular disease risk in postmenopausal women: Results for the 2008-201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21(4), 378-385. 

  14. D. H. Kim & T. Y. Yu. (2017). Diabetes and Sarcopenia. The Journal of Korean Diabetes, 18(4), 239-247. DOI :10.4093/jkd.2017.18.4.239 

  15. Y. H. Wu, A. C. Hwang, L. K. Liu, L. N. Peng & L. K. Chen. (2016). Sex differences of sarcopenia in Asian populations: The implications in diagnosis and management. Journal of Clinical Gerontology and Geriatrics, 7(2), 37-43. DOI : 10.1016/j.jcgg.2016.04.001 

  16. S. S. Moon. (2013). Low skeletal muscle mass is associated with insulin resistance, diabetes, and metabolic syndrome in the Korean populati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09-2010. Endocrine Journal, 61(1), 61-70. DOI : 10.1507/endocrj.EJ13-0244 

  17. D. H. Jung & J. H. Kim. (2018). Relationships among muscle mass and obesity, metabolic syndrome, physical activity, and nutrient intake in elderly women: Based on the 4th-5th (2008-2011)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29(4), 459-483. DOI : 0.7856/kjcls.2018.29.4.469 

  18. R. N. Baumgartner et al. (1998). Epidemiology of sarcopenia among the elderly in New Mexico.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47(8), 755-763. 

  19. I. Janssen, S. B. Heymsfield & R. Ross. (2002). Low relative skeletal muscle mass (sarcopenia) in older persons is associated with functional impairment and physical disability.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50(5), 889-896. 

  20. H. J. Ju et al. (2017). Association between dietary protein intake and sarcopenia in Korean elderly.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7(2), 258-263. DOI : 10.21215/kjfp.2017.7.2.258 

  21.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US). Expert Panel on Detection, &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 (2002). Third report of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NCEP)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 (adult treatment panel III) (No. 2).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2. J. H. Kang et al. (2018). 2018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overweight and obesity in Korea. Seoul :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Dietary refence intakes for Koreans 2015. Sejong :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