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애인 근로자들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요인 분석: 위생요인과 지역 요인을 중심으로
Investigating the Factors Affecting Disabled Worker's Job Satisfaction: Emphasis on Hygiene Factors and Regional Factor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11, 2020년, pp.1 - 11  

강창민 (성균관대학교 경영학과) ,  이건창 (성균관대학교 글로벌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경제적인 요인은 장애인들의 삶의 만족도에 있어 중요하다. 또한 직무만족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기존연구들에 의해 검증된 바 있다. 그러나 Herzberg는 동기-위생이론을 통해 임금과 같은 경제적 소득이 위생요인으로서 직무의 불만족을 낮출 뿐 직무의 만족도에는 영향을 주지 못한다고 하였다. 본 연구는 Herzberg의 동기-위생이론에 의문을 제기하고 실증적인 분석을 통해 이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에 국내 2017년 장애인 고용패널조사 데이터를 기반으로 위생요인이 장애인들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고 있는지 분석하였으며, 나아가 우리나라 주요 지자체를 지역변수로 투입하여 이를 지역적 연구로 확장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한 결과 근무환경, 대인관계, 개인생활과 같은 위생요인은 장애인 근로자들의 직무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위계적 선형모형을 통해 지역적 요인을 분석한 결과 장애인 근로자들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지자체의 교육지원이 무엇보다도 필요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conomic factors are important in improving life satisfaction of disabled people. In addition, the impact of job satisfaction on life satisfaction has been verified. However, according to Herzberg's motivation-hygiene theory, hygiene factors such as wages only lowers dissatisfaction and does not dir...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구모형 1 Fig 1은 개인적 위생요인들인 근무환경과 대인관계, 여가생활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설정한 모델이다. 독립변수인 근무환경, 대인관계가 매개변수 여가생활과 유기적으로 종속변수 직무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설계되었다. 연구모형 1은 Amos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구현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위계적 선형모형을 통해 장애인의 직무만족도를 높이는 지역적 요인이 무엇인지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기반으로 어떠한 지역정책을 펼치는 것이 좋은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는 장애인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개인적 요인을 분석한 기존의 연구들을 지역적 연구로 확장한 것에 큰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Herzberg의 동기-위생요인을 기반으로, 개인적 요인이 장애인 근로자의 직무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이후 장애인 근로자의 직무만족도가 지역적 변수에 따라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 분석하였다.
  • 그러나 Herzberg의 동기-위생이론을 주요 배경으로 사용하는 연구는 적으며, 나아가 위생요인만으로 직무만족도를 설명하는 시도는 없었다. 본 연구는 Herzberg의 이론에 의문을 제기하며, 위생요인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검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위생요인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함으로써 Herzberg의 이론을 반증하는데 의의가 있다. 나아가 지역수준의 요인에도 직무만족도가 영향을 받는 것을 규명하여 정책적인 의미를 갖는다.
  • 그러나 그의 이론에 따른다면 장애인들이 가장 중요시 여기는 복지서비스가 경제적인 요인이라는 것을 설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의문을 해결하고자 위생요인만을 변수로 다루어 위생요인들이 불만족을 감소시킬 뿐인지, 혹은 직무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려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동기요인 뿐만 아니라 위생요인도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검증하고, 나아가 이를 지역적 연구로 확장하는 것이다. 따라서 위생요인을 직장 내의 위생요인과 직장 외의 위생요인으로 분류하였다.
  • 그러나 지역적 차원으로 분석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위계적 선형모형을 통해 장애인의 직무만족도를 높이는 지역적 요인이 무엇인지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기반으로 어떠한 지역정책을 펼치는 것이 좋은지 알아보고자 한다.
  • 고용 이후에도 직업 내 안정적이고 만족스러운 여건을 마련해야한다. 이에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직업의 중요성을 인지하여, 장애인들의 직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를 알고자 한다. 이를 위해 Herzberg의 동기- 위생이론을 주요 틀로 사용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직무만족도를 높이는 개인적 변수 들을 분석하는 것에 그치지 않는다. 장애인들의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지자체의 어떤 정책이 필요한지 지역변수들을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1. 위생요인은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7) A Survey on The Status of The Disabled. 

  2. H. J. Lee. (2018).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Job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of Wage Workers with Disabilities. Studies on Life and Culture, 49(1),567-602. 

  3. J. K. Kim. (2018). The Effect of Time-Poverty and Social Welfare Expenditure on Job Satisfaction of Working Older Adults: Using LIMP & HLM. Social Welfare Policy, 45, 151-171. 

  4. Y. S. Kim. & S. I. Yoon. (2019).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Life Satisfac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Focusing on Demographic, Social, Economic, and Health Factors. Studies on Life and Culture, 54, 97-120. 

  5. J. Y. Lim. (2005), A Study of the Effects of Motivation-Hygiene Factors on nurse'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1(3), 1-19. 

  6. H. J. Kim. (2020). The Impact of Self-leadership on Job Satisfaction by Social Workers on the Mediated Effect of Self-efficacy.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3), 49-58. 

  7. S. H. Im. (2020). The Effect of Professionalness Recognition of Convention Industry Employee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Management and Sciences, 35(1), 117-139. 

  8. K. J. Kim. (2011).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of Disabled Employees. Disability & Employment, 21(2), 189-216 

  9. K. W. Song. (2002). Differences in the Motivation and Hygiene Factors between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s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ment Studies, 5(4), 135-156. 

  10. J. Y. Song. (2016). A Longitudinal Study of Job Discrimination and the good Job Retention and Mobility status change of Wage Earners with Disabilities on Job Satisfaction. Journal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26(2), 57-78. 

  11. M. Y. Kim. (2017). An Analysis on Job Satisfaction of Working Condition of Disabled Paid-worker. Disability & Employment, 27(1), 177-202. 

  12. K. H. Ha. (2017). The Effects of the Social Network of Disabled Wage Worker on Job Satisfaction :Center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Discrimination Experience.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7(5), 305-316. 

  13. J. Y. Kim. (2018). Acceptance of Disability Effects on Job Satisfaction of Workers with Disability: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8(3), 363-391. 

  14. E. M. Yeon. & H. S. Choi. (2019). Exploring the Latent Profiles in Self-Esteem, Self-Efficacy, and Acceptance toward Disability of the Disabled to Life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9(3), 133-152. 

  15. M. A. Lee. & H. R. Shin. (2019). Convenience Facilities and Job satisfaction of Employees with Disabilities: Perceived Safety as a Mediator. Disability & Employment, 29(3), 5-30. 

  16. J. Y. Kim. (2019). The Influence of Discrimination Level in the workplace on the Job Satisfaction : Focused on a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Journal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29(2), 1-22. 

  17. Y. S. Ahn, S. J. Jo. & M. Kim. (2019). Comparative study on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types of return-to-work among industrial injured workers. Journal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29(2), 67-83. 

  18. H. C. Choi, S. J. Oh. & K. E. Kim. (2019). Relationships Between Self-Esteem Trajectories and Job Satisfaction in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Korean Journal of Physical, Multiple, & Health Disabilities, 62(4),181-206. 

  19. D. R. Oh. (2019). A Study on the Effects of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of Disabled Workers in Social Enterprise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9(11) , 314-324. 

  20. S. W. Lee, S. R. Park. & J. M. Lee. (2019). The Relationship between Acceptance of Disability& Job Satisfaction of Wage Earners with Acquired Physical Disabilities : Testing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Person-Job Fit through Self-Efficacy. Journal of Disability and Welfare, 46(46), 29-58. 

  21. J. Y. Kim. (2019). The study on the factors of the job satisfaction among middle-aged and older worker with disability: Focusing on the psychological factor.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50(4),211-238. 

  22. W. Lee. & E. K. Shin. (2019). Verification of Theory onfactors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of Workers withPhysical Disabilities - Focusing on Self-DeterminationTheory-. Journal of Disability and Welfare, 46(46), 93-116. 

  23. H. Y. Jeon. (2020).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rimination in Workplace and Job Satisfaction Workers with of Physical Disabilities : Focusing on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Variable. Disability & Employment, 30(1), 51-75. 

  24. J. H. Do. & E. Y. Yoo. (2020). Correlations Between Job Requirement and Job Satisfaction in Workers With Disabiliti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28(1), 69-80. 

  25. B. Aziri. (2011). Job Satisfaction: A Literature Review. Management Research & Practice, 3(4), 77-86. 

  26. R. Hoppock. (1935). Job Satisfaction. New York : Harper and Brothers. 

  27. V. H. Vroom. (1964). Work and Motivation. New York : John Wiley and Sons 

  28. P. E. Spector. (1997). Job satisfaction: Application, Assessment, Causes, and Consequences. Thousand Oaks : Sage Publications. 

  29. K. Davis. & J. W. Nestrom. (1985). Human Behavior at Work : Organizational Behavior. New York : McGraw Hill 

  30. M. Seo. (2003). The Logic of Hierarchial Lineal Model and its Application: 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University Education on Students.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16, 43-64. 

  31. J. K. Kim. (2017). Study on Effects of Household-Charateristics on Individual Attitude toward Welfare: Using Hierarichical Linear Model.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7(1), 359-370. 

  32. J. U. Sung. & J. Nam. (2019). Analysis on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of Individual, Household and Area-Level Characteristics using Multi-Level Models - Focusing on Public Housing in Seoul.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54(4), 26-37. 

  33. S. A. Bang, G. O. Lim & K. S. Lee. (2018). HLM Analysis of Effects of Individual Level Social Capital and National Level Health Expenditure on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in OECD Countries.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9(2), 487-497. 

  34. D. S. Kim. & C. N. Hong. The Effect of Interaction between Open Recruiting Principal Employment System and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School Vitality.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9(4), 101-125. 

  35. H. S. Park. & S. H. Yang. (2017). The Growth Trajectory of Multicultural Children's Life Satisfaction in Korea. Korean Education Inquiry, 35(4), 95-121. 

  36. J. J. Cha. & H. S. Kang. (2014). The Impact of a Sense of Calling on Teacher Job Satisfaction.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0(2), 149-169. 

  37. C. Peng. (2015). The Study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School Life Satisfaction of Junior Students. Local Education Management, 18(2), 24-44. 

  38. S. G. West, J. F. Finch. & P. J. Curran. (1995).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 Problems and Remedies. 

  39. T. M. Song. & J. Y. Song. (2013) Big Data Analysis Methodology for Social Science Research. Seoul : Han Narae Ak'ademi. 

  40. T. M. Song. (2013). An Anderson Model Approach to the Mediation Effect of Stress-Vulnerability Factors on the Use of Outpatient Care by the Elderly.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3, 547-576. 

  41. M. H. Ryu. (2002). Dutch Model - It's Meanings and Implicatios for Welfare State in Korea. Journal of Critical Social Welfare, (12), 255-278. 

  42. H. J. Nam. (2020). Korea's Disability Welfare Scale, 'Quarter' of the OECD's Average. The Segye Times. https://www.segye.com/view/2020011950828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