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혈액투석환자에서 걷기가 체성분 및 혈액학적 지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walking on body composition and hematological index in hemodialysis patient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11, 2020년, pp.433 - 441  

박영주 (경주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은 혈액투석환자의 활동과 건강정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걷기가 혈액투석 환자의 체성분 및 혈액학적 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혈액투석환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횡단적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B 광역시에서 혈액투석 치료를 받고 있는 66명의 혈액투석환자였다. 연구결과, 혈액투석환자의 걷기는 감소되어 있었고, 걷기에 따른 혈액학적 지수는 차이가 있었으나 체성분은 차이가 없었다. 대상자의 체중이 증가하면 골격량, 체지방량, 체질량지수, 복부지방률, 기초대사량과 단백질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총콜레스테롤과 고밀도 콜레스테롤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혈액투석환자의 대상자 수를 확대하여 걷기, 체성분 및 혈액학적 지수 외에 영양섭취를 추가하여 조사해 볼 것을 제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pecific purpose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walking on the body composition and hematological index of hemodialysis patients in order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ity and health level of hemodialysis patients. The research method i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urvey conducted ...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혈액 투석환자를 대상으로 걷기정도와 체성분 및 혈액학적 지수를 통하여 혈액 투석 환자들의 건강상태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는 혈액투석환자의 활동량과 신체조성을 확인하고 이를 통하여 지속적인 적절한 건강관리가 이루어져서 장기적으로는 성공적인 치료가 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혈액투석환자의 신체와 심리의 변화를 조사한 연구 자료를 바탕으로 혈액투석환자의 걷기정도, 체성분과 영양섭취와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시도된 이차 자료분석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혈액투석환자를 대상으로 걷기정도, 체성분 및 혈액학적 지수를 파악하는 것이며, 그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개인적 특성.
  • 본 연구는 혈액 투석환자를 대상으로 걷기정도와 체성분 및 혈액학적 지수를 통하여 혈액 투석 환자들의 건강상태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는 혈액투석환자의 활동량과 신체조성을 확인하고 이를 통하여 지속적인 적절한 건강관리가 이루어져서 장기적으로는 성공적인 치료가 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부산에 소재하고 있는 두 곳의 종합병원에서 정기적으로 혈액투석을 받고 있는 환자 66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혈액투석환자를 대상으로 걷기정도, 체성분 및 혈액학적 지수를 파악하여 혈액투석환자들의 건강상태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는 추후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구성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될 것을 기대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J. H. Kim. (2018). Population Policy and Prospects for Low Fertility and Aging Countermeasures. Health and Welfare Forum, 2018(1), 61-74.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9). Korea Health Statistics 2018: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3). http://knhanes.cdc.go.kr/ 

  3. S. M. Kim. (2017). 6th hemodialysis adequacy evaluation result: Most indicators such as hemodialysis experts have improved effects... Seoul: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http://www.hira.or.kr/bbsDummy.do?pgmidHIRAA020041000100&brdScnBltNo4&brdBltNo10097&pageIndex1#none 

  4. I. M. Lee & D. M. Buchner. (2008). The importance of walking to public health. Medicine & Science in Sports & Exercise. 40(7), S512-S8. 

  5. W. L. Haskell, I. M. Lee, R. R. Pate, K. E. Powell, S. N. Blair, B. A. Franklin, et al. (2007). Physical activity and public health: updated recommendation for adults from the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and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Circulation, 116(9), 1081. 

  6. A. Loukaitou-Sideris, (2020). Special issue on walking. Taylor & Francis Group, 40(2), 131-134 2020. DOI: https://doi.org/10.1080/01441647.2020.1712044 

  7. A. M. Fanous, K. L. Kier, M. J. Rush & S. Terrell. (2014). Impact of a 12-week, pharmacist-directed walking program in an established employee preventive care clinic. American journal of health-system pharmacy, 71(14), 1219-25. DOI : https://doi.org/10.2146/ajhp130484 

  8. D. M. Bravata, C. Smith-Spangler, V. Sundaram, A. L. Gienger, N. Lin, RLewis, et al. (2007). Using pedometers to increase physical activity and improve health: a systematic review. JAMA. 298(19), 2296-304. DOI : https://doi.org/10.1001/jama.298.19.2296 

  9. D. Bassett & C. Tudor-Locke. (2004). How many steps/day are enough? Preliminary pedometer indices for public health. Sports Med. 34, 1-8. DOI : https://doi.org/10.2165/00007256-200434010-00001 

  10. H. Kim. (2014). Effects of social support based walking program on communit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7), 357-64. DOI : https://doi.org/10.14400/jdc.2014.12.7.357 

  11. M. Ma, S. Park, H. Yoo, C. Kim, C. Lee & K. Kim. (2005). Physical science: The effects of a walking exercises on blood lipids and stress hormones. Journal of Korea Sports Research, 16(5), 11-9. 

  12. Y. J. Park & H. J. Lee. (2015) The Levels of Physical Activity and Its Relationships with Depressi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Sleep Disturbance, and Physiological Indicators in Hemodialysis Patien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7(6), 718-27. DOI : https://doi.org/10.7475/kjan.2015.27.6.718 

  13. A. Jackson & M. Pollock. (1985). Practical assessment of body composition. The Physician and Sportsmedicine. 13(5), 76-90. DOI: https://doi.org/10.1080/00913847.1985.11708790 

  14. A. H. Mokdad, E. S. Ford, B. A. Bowman, W. H. Dietz, F. Vinicor, V. S. Bales, et al. (2003). Prevalence of obesity, diabetes, and obesity-related health risk factors, 2001. JAMA, 289(1), 76-9. DOI : https://doi.org/10.1001/jama.289.1.76 

  15. R. N. Baumgartner, K. M. Koehler, D. Gallagher, L. Romero, S. B. Heymsfield, R. R. Ross, et al. (1998). Epidemiology of sarcopenia among the elderly in New Mexico.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47(8), 755-63. DOI : https://doi.org/10.1093/oxfordjournals.aje.a009520 

  16. I. Janssen, P. T. Katzmarzyk & R. Ross. (2004). Waist circumference and not body mass index explains obesity-related health risk. Th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79(3), 379-84. DOI : https://doi.org/10.1093/ajcn/79.3.379 

  17. P. P. Lai, A. K. Leung, A. N. Li & M. Zhang. (2008). Three-dimensional gait analysis of obese adults. Clinical biomechanics, 23, S2-S6. DOI : https://doi.org/10.1016/j.clinbiomech.2008.02.004 

  18. S. Shin, R. J. Valentine, E. M. Evans & J. J. Sosnoff. (2012). Lower extremity muscle quality and gait variability in older adults. Age and ageing, 41(5), 595-9. DOI : https://doi.org/10.1093/ageing/afs032 

  19. K. M. Beavers, D. P. Beavers, D. K. Houston, T. B. Harris, T. F. Hue, A. Koster, et al. (2013). Associations between body composition and gait-speed decline: results from the Health, Aging, and Body Composition study. Th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97(3), 552-60. DOI : https://doi.org/10.3945/ajcn.112.047860 

  20. A. E. Horigan. (2012). Fatigue in hemodialysis patients: a review of current knowledge. Journal of pain and symptom management, 44(5), 715-24. DOI : https://doi.org/10.1016/j.jpainsymman.2011.10.015 

  21. D. R. Ryu, J. H. Kim, H. J. Kim, M. S. Kyung & J. T. Park. (2017). Comparison between semi-quantitative frequency methods and 7-day dietary records methods in food and nutrition intake status for hemodialysis patients.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22(5), 426-40. DOI : https://doi.org/10.5720/kjcn.2017.22.5.426 

  22. T. Shimoda, R. Matsuzawa, K. Yoneki, M. Harada, T. Watanabe, M. Matsumoto, et al. (2017). Changes in physical activity and risk of all-cause mortality in patients on maintence hemodialysis: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BMC nephrology, 18(1), 154. DOI : https://doi.org/10.1186/s12882-017-0569-7 

  23. A. Sheshadri, P. Kittiskulnam, K. L. Johansen. (2019). Higher physical activity is associated with less fatigue and insomnia among patients on hemodialysis. Kidney international reports, 4(2), 285-92. DOI : https://doi.org/10.1016/j.ekir.2018.10.014 

  24. C. Garagarza, A. Valente, C. Caetano, T. Oliveira, P. Ponce & A. P. Silva. (2017). Hypophosphatemia: nutritional status, body composition, and mortality in hemodialysis patients. International Urology and Nephrology, 49(7), 1243-50. DOI : https://doi.org/10.1007/s11255-017-1558-2 

  25. E. S. Wan, A. Kantorowski, D. Homsy, M. Teylan, R. Kadri, C. R. (2017). Richardson, et al. Promoting physical activity in COPD: insights from a randomized trial of a web-based intervention and pedometer use. Respiratory medicine, 130, 102-10. DOI : https://doi.org/10.1016/j.rmed.2017.07.057 

  26. Jr D. R. Bassett, H. R. Wyatt, H. Thompson, J. C. Peters & J. O. Hill. (2010). Pedometer-measured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behaviors in United States adults.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42(10), 1819. DOI : https://doi.org/10.1249/mss.0b013e3181dc2e54 

  27. Y. G. Lee & S. H. Shin. (2018). Effect of body composition on gait performance and variability of 20 year young adults: A preliminary study.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Phsical Education, 23(3), 143-57. DOI : https://doi.org/10.15831/jksspe.2018.23.3.143 

  28. M. C. Medeiros, N. Rocha, E. Bandeira, I. Dantas, C. Chaves, M. Oliveira, et al. (2020). Serum Sclerostin, Body Composition, and Sarcopenia in Hemodialysis Patients with Diabetes. International Journal of Nephrology. 2020, 1-6. DOI : https://doi.org/10.1155/2020/4596920 

  29. A. S. Heo, J. C. Lee & Y. H. Byun. (2016). The Effect of the Walking Exercise on the Senior Fitness Test and EQ-5D of the Rural Eldery. Korean Society of Growth and Development, 24(3), 333-8. 

  30. I. W. Kang & W. J. Cho. (2016). The Influence on Mental Health Statu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Middle-Aged Women by The Regular Walking Exercise by Based 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KNHANES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Wellness, 11(1), 207-15. DOI : https://doi.org/10.21097/ksw.2016.02.11.1.20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