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라만 분광법을 이용한 지질생산 미세조류 Scenedesmus obliquus 성장 평가
Growth Evaluation of Lipid Production Microalgae Scenedesmus obliquus using Raman Spectroscopy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5, 2020년, pp.223 - 229  

유용진 (선문대학교 나노과학과) ,  이건우 (선문대학교 나노과학과) ,  백동현 (선문대학교 차세대반도체기술연구소) ,  김진우 (선문대학교 식품과학과) ,  김호섭 (선문대학교 나노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3세대 바이오매스라고 알려진 미세조류를 이용하여 생산되는 바이오디젤은 기존의 교통수단에 사용되는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유일한 재생에너지로 알려져 있다. 미세조류 중에서도 Scenedesmus obliquus는 다른 미세조류 대비 성장이 빠르고 건조세포무게 대비 지질을 40-50 % 축적이 가능하여 바이오디젤 생산에 있어 야외 및 대규모 재배에 적합한 지질생산 우수 종으로 알려져 있다. 미세조류를 이용한 바이오디젤 생산을 위해서는 높은 바이오매스 생산량 확보가 선행되어야 하며 배양공정의 제어를 위해 효과적인 세포 질량 측정 및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S. obliquus를 75일 동안 배양하며 흡광도, 현미경 이미지, 라만 분광법 등으로 미세조류의 성장 변화를 측정하고, 측정된 값들에 대한 상관관계를 관찰하였다. 배양 60일과 배양 75일 기간에, 흡광도의 변화량이 3 % 미만인 반면, 현미경으로 관찰한 미세조류의 숫자는 3배 이상 증가하였다. 또한, 라만 분광법으로 측정된 결과에서는 β-카로틴에 해당하는 997 cm-1, 1148 cm-1, 1515 cm-1의 강한 피크값이 측정되었으며, 배양 기간 동안 β-카로틴의 피크값은 초기보다 3배 이상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라만 분광법을 이용하면 미세조류 배양에서 세포 내 성장 물질과 성장 정도를 알아내어 높은 바이오매스를 생산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iodiesel produced using microorganisms, which are recognized as the third-generation biomass, is among the various known renewable energy sources that can replace fossil fuels used in conventional transportation. Scenedesmus obliquus has been identified as an excellent species for biodiesel product...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흡광도, 현미경 이미지, 그리고 라만 스펙트럼 등의 방법으로 고농도 배양을 통한 아스타잔틴 생산증대를[13] 위해 세포량을 측정하고 흡광도와 라만 결과 비교를 통해 상호 관계를 분석하고 성장 특성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감소시키는 가장 대표적인 방법은 무엇인가?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감소시키는 가장 대표적인 방법은 식물에 의한 광합성인데 민물 또는 바닷물에서 성장하는 미세조류는 육상식물보다 태양에너지 이용 효율이 25배 높고 빠르게 성장하여 바이오매스 생산성이 5-10배 높으며 이산화탄소 고정능력도 15배가량 높다고 알려졌다. 미세조류 종과 배양 조건에 따라 건체 중량 대비 80 % 이상의 지질 축적이 가능하며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바이오디젤과 같은 유용물질 생산에 있어 육상식물보다 우수한 3세대 바이오매스로 알려졌다[4-5].
흡광도 비교법과 같은 기존의 분광 광도법이 갖고 있는 단점은? 미세조류는 chlorophyll, carotenoid 또는 phycobilin과 같은 색소를 함유하고 있는데 이러한 색소는 특정 파장을 흡수하는 특징을 가져 세포 농도 측정을 위해 분광 광도계를 사용하는 흡광도 비교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6]. 하지만 기존의 분광 광도법은 세포 성장의 실시간 측정이 어렵고 세포 농도가 짙어질수록 측정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미생물 성장 측정에 있어 라만 분광법을 이용한 측정이 새롭게 적용되고 있는데, 라만 분광법은 분자의 진동운동을 측정해서 물질의 특성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전처리와 손상 없이 시료 분석이 가능하다[7-12].
지구온난화의 주범으로 알려진 온실가스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19세기 이후 급속한 산업화로 인해 화석연료의 사용량이 급증하면서 화석연료의 연소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메탄, 프레온 가스 등의 온실가스 발생이 급증하여 지구온난화와 같은 인류를 위협하는 환경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지구온난화의 주범으로 알려진 온실가스는 이산화탄소(CO2), 메탄(CH4), 아산화질소(N2O), 수소화불화탄소(HFCs), 과불화탄소(PFCs), 육불화황(SF6)을 지칭한다. 2016년 국내 온실가스 총 배출량 695백만톤중 이산화탄소(CO2)가 638백만 톤으로 90 % 이상을 차지하여 온실가스 저감을 위해서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소가 먼저 수행되어야 한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Ministry of Environment, Environmental Statistics Yearbook 2018, Statistical publications,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pp.129. 

  2. Ministry of Environment, Environmental Statistics Yearbook 1999, Statistical publications,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pp.106. 

  3. C. D. Kang, T. H. Park, S. J. Sim, "Biological $CO_2$ Fixation to antioxidant carotenoids by hotosynthesis Using the green microalga Haematococcus pluvialis.".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Vol. 44, No. 1, pp.46-51, Feb. 2006. 

  4. B. H. Jo, H. J. Cha, "Biodiesel production using microalgal marine biomass.", KSBB Journal, Vol. 25, No. 2, pp.109-115, Apr. 2010. 

  5. J. J. Kim, H. S. Kim, J. S. Kang, S. P. Lee, "An analysis of biodisels technology and metering using microalga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pp.5-11, May. 2014. 

  6. D. U. Santos-Ballardo, S. Rossi, V.Hernandez, R. V. Gomez, M. D. C Rendon-Unceta,, J.C. Corrales. "A simple spectrophotometric method for biomass measurement of important microalgae species in aquaculture.", Aquaculture, Vol. 448, No. 1, pp.87-92, Nov. 2015. DOI: https://doi.org/10.1016/j.aquaculture.2015.05.044 

  7. X. Wei, D. Jie, J. J. Cuello, D. J. Johnson, Z. Qiu, and Y. He, "Microalgal detection by Raman microspectroscopy.", Trends in Analytical Chemistry Vol. 53, pp.33-40, Jan. 2014. DOI: https://doi.org/10.1016/j.trac.2013.09.012 

  8. Y. Shao, H. Fang, H. Zhou, Q. Wang, Y. Zhu, and Y. He, "Detection and imaging of lipids of Scenedesmus obliquus based on confocal Raman microspectroscopy.", Biotechnology for Biofuels, Vol. 10, p. 300, Dec 2017. DOI: http://doi.org/10.1186/s13068-017-0977-8 

  9. G. B. Jung, "Biomedical application of raman spectroscopy.". New Physics: Sae Mulli, Vol. 67, No. 6, pp. 665-678, Jun. 2017. DOI: http://dx.doi.org/10.3938/NPSM.67.665 

  10. J. H. No, T. K. Lee, "Rapid bacterial identification using raman spectroscopy.".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Vol. 53, No. 2, pp.71-78, Jun. 2017. DOI: https://doi.org/10.7845/kjm.2017.7034 

  11. S. K. Kim, D. Y. Ko, J. K. Park, A. R. Park, S. J. Baek, "A hierarchical cluster tree based fast searching algorithm for raman spectroscopic identificatio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20, No. 3, pp.562-569, Mar. 2019. DOI: https://doi.org/10.5762/KAIS.2019.20.3.562 

  12. R. J. Swain, and M. M. Stevens, "Raman microspectroscopy for non-invasive biochemical analysis of single cells.", Biochemical Society Transactions Vol. 35, No. 3, pp.544-549, Jun. 2007. DOI: https://doi.org/10.1042/BST0350544 

  13. S. Y. Kim, S. J. Jung, H. S. Kim, D. H. Gam, J. W. Kim, "Optimization of extraction conditions for astaxanthin from Haematococcus pluvialis.", Korean Society for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Journal Vol. 34, No. 4, pp.346-351, Dec. 2019. DOI: http://dx.doi.org/10.7841/ksbbj.2019.34.4.346 

  14. S. J. Joo, H. J. Hwang, S. Zhang, S. J. Hwang, "Effects of light condition in the continuous mass cultivation of microalgae Scenedesmus dimorphus.",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Vol. 29, No. 3, pp.319-323, Jun. 2015. DOI: https://doi.org/10.11001/jksww.2015.29.3.319 

  15. S. J. Joo, S. Zhang, K. J. Choi, S. M. Lee, S. J. Hwang, "Effects of sodium bicarbonate as an inorganic carbon source on the growth of Scenedesmus dimorphu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stewater, Vol. 28, No. 5, pp.555-560, Oct. 2014 DOI: http://dx.doi.org/10.11001/jksww.2014.28.5.555 

  16. Y. Y. Huang, C. M. Beal, W. W. Cai, R. S. Ruoff, E. M. Terentjev, "Micro-raman spectroscopy of algae: composition analysis and fluorescence background behavior.", Biotechnol Bioeng, Vol. 105, No. 5, pp.889-898, Apr. 2010. DOI: https://doi.org/10.1002/bit.22617 

  17. O. D. Paraschuk, N. N. Brandt, O. O. Brovko, A. Y. Chikishev, "Optimization of the rolling-circle filter for raman background subtraction.", Applied Spectroscopy, Vol. 60, No. 3, pp.288-293, Mar. 2006. DOI: https://doi.org/10.1366/000370206776342553 

  18. I. Ruisanchez, P. M. Ramos, "Noise and background removal in raman spectra of ancient pigments using wavelet transform.", Journal of Raman Spectroscopy, Vol. 36, No. 9, pp.848-856, Sep. 2005. DOI: https://doi.org/10.1002/jrs.13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