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만족도와 간호사역할이행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Clinical Placement and Role Transition among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11, 2020년, pp.171 - 179  

한미라 (울산과학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만족도와 간호사역할이행 관계에서 회복탄력성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C도 소재의 2개 대학에서 편의추출한 간호학과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을 하였고, 최종적으로 분석에 참여한 대상자 수는 135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독립표본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Baron과 Kenny의 3단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해 SPSS의 Process macro를 활용한 부트스트래핑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만족도의 평균점수는 3.32점, 회복탄력성 3.68점, 간호사역할이행 3.48점이었고, 일반적 특성 중 전공만족도, 평균 학점, 지각하는 건강 수준, 임상실습 동안 동료관계에 따라 간호사역할 이행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간호사역할이행은 회복탄력성(r=.76, p<.001), 임상실습만족도(r=.50, p<.001)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회귀분석 결과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만족도와 간호사역할이행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부분적 매개역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확인되었고, 설명력은 66%, 간접효과 값은 .16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근거로 간호대학생의 간호사역할이행 수준 향상을 위해 회복탄력성을 증진시키는 다양한 중재 개발과 추가적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clinical placement and role transition among nursing students. A descriptive survey with convenience sampling was conducted among senior year nursing students from two nursing col...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성공적인 간호사로 역할이행을 위해 임상실습만족도와 회복탄력성 모두를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적 전략을 모색할 필요가 있어 이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최근 갑작스런 코로나 상황으로 인해 간호학과의 임상실습이 제한되면서, 간호사역할이행을 돕기 위한 새로운 교육방법과 전략에 대한 관심이 더욱 증가하고 있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만족도, 간호사역할 이행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만족도와 간호사역할이행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규명하여, 간호대학생의 간호사로의 역할이행 증진을 위한 중재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만족도와 간호사역할이행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간호사역할이행 향상을 위한 중재개발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간호학과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회복탄력성은 임상실습만족도와 간호사역할이행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간호학과 4학년 학생의 임상실습만족도, 회복탄력성, 간호사역할이행 간의 영향을 분석하고, 임상실습만족도와 간호사역할이행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 효과를 파악하기 위함으로 구체적 목표는 다음과 같다.
  • 따라서 회복탄력성의 매개요인으로 작용여부를 확인하여 간호사로의 역할이행을 증진시킬 방안 모색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세 변수들 간의 영향관계와 경로를 규명하여, 간호대학생의 간호사로의 역할이행 증진을 위한 중 재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M. Y. Park, S. Y. Kim, "A qualitative study of nursing students' first clinical experience", The Journal of Korea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6, No. 1, pp.23-35, 2000. 

  2. K. H. Yang, G. Y. Ko, M. H. Kim, S. Park, S. J. Park, "Strategies to improve clinical practice of nursing students: content analysis approach", The Journal of Korean Research, Vol. 2, No. 1, pp.47-55, 2018. 

  3. J. G. Kim, J. H. Yoo, E. Y. Cheon, "Relationship among incivility, burnout, coping and satisfaction to clinical practice experienced by nursing college students in clinical practic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8, No. 1, pp.316-324, 2017. DOI: https://doi.org/10.5762/KAIS.2017.18.1.316 

  4. W. S. Lee, J. Y. Uhm, T. Lee, "Role transition of senior year nursing students: analysis of predictors for role transi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20, No. 2, pp.187-194, March 2014. DOI: https://doi.org/10.11111/jkana.2014.20.2.187 

  5. M. S. Chung, "The relations of self-esteem. practical performance, and practical satisfaction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Vol. 18, No. 1, pp. 60-68, March 2009. 

  6. S. H. Kim, "Influences of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confidence in practice of core basic nursing skills between proactive personality and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Lea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 17, No. 12, pp.163-182, 2017. DOI: http://dx.doi.org/10.22251/jlcci.2017.17.12.163 

  7. S. H. Lee, S. Y. Kim, J. A. Kim, "Nursing students' image of Nurse and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0, No. 2, pp.219-231, 2004. 

  8. B. J. Park, S. J. Park, H. Cho,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practice stress,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and the nursing profession in nursi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7, No. 7, pp.220-227, 2016.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6.17.7.220 

  9. Y. M. Kim, J. M. Park, S. Yoon, "A study on professional self-concept,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clinical practice stress,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of nursing college students after women health nursing clinical practice",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Vol. 9, No. 8, pp.373-385, August 2019. DOI: http://dx.doi.org/10.35873/ajmahs.2019.9.8.033 

  10. S. Lee, S. Kim, "The factors of role transition perceived by the nursing student in clinical practice", Journal of Lea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 17, No. 21, pp.405-420, 2017. DOI: http://dx.doi.org/10.22251/jlcci.2017.17.21.405 

  11. S. Y. Lee, J. H. Lee, "The effects of reality shock on turnover intention in new nurses: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nursing professionalism and compensation equity", Journal of Leaner - 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 20, No. 4, pp.677-693, 2020. DOI: http://dx.doi.org/10.22251/jlcci.2017.17.21.405 

  12. T. Stephens, "Nursing student resilience: a concept clarification", Nursing Forum, Vol. 48, No. 2, pp.125-133, April 2013. DOI: http://dx.doi.org/10.1111/nuf.12015 

  13. M. J. Shin, Y. E. Chun, "Convergence among resilience,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stress in clinical practice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Vol. 9, No. 2, pp.19-32, 2018. DOI: https://doi.org/10.15207/JKCS.2018.9.2.019 

  14. S. G. Kim, E. S. Do, "Affect of emotional resilience caring efficacy and resilience on satisfaction on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20, No. 8, pp.231-239, 2019. DOI: https://doi.org/10.5762/KAIS.2019.20.8.231 

  15. H. J. Choi, "Relationships between nursing competency and emotional intelligence and nurse role transition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7, No. 9, pp.221-229, 2019. DOI: https://doi.org/10.14400/jdc.2019.17.9.221 

  16. Y. H. Yang, E. M. Kim, M. Yu, S. M. Park, H. Y. Lee, "Development of the resilience scale for korean nursing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ol. 27, No. 3, pp.337-346, June 2015. DOI: http://dx.doi.org/10.7475/kjan.2015.27.3.337 

  17. O. Doody, D. Touhy, C. Deasy. "Final-year student nurses' perceptions of role transition", British Journal of Nursing, Vol. 21, No. 11, pp.684-688, 2012. DOI: http://dx.doi.org/10.12968/bjon.2012.21.11.684 

  18. R. M. Baron, D. A. Kenny, "The moderator - 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51, No. 6, pp.1173-1182, 1986. 

  19. A. F. Hayes, M. Scharkow, "The relative trustworthiness of inferential tests of indirect effect in statistical mediation analysis: Dose method really matter?", Psychological Science, Vol. 24, No. 10, pp.1918-1927, October 2013. DOI: http://dx.doi.org/10.1177/0956797613480187 

  20. A-M Kaihlane, E. Haavisto, C. Strandell-Laine. S. Salminen, "Facilitating the transition from a nursing student to a registered nurse in the final clinical practicum: a scoping literature review", Scandinavian Journal of Caring Sciences, Vol. 32, No. 2, pp.466-477, 2018. DOI: https://doi.org/10.1111/scs.12494 

  21. E. H. Jang, " The mediating effect and meaning in life between stress and quality of life o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Lea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 19, No. 24, pp.385-403, 2019. DOI: http://dx.doi.org/10.22251/jlcci.2019.19.24.385 

  22. M. H. Nam, H. O. Kim, "Effect of personality and resilience on satisfaction with major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24, No. 4, pp.298-306, 2018. DOI: https://doi.org/10.11111/jkana.2018.24.4.298 

  23. M. R. Han, "Effect of the simulation-based adult nursing education on resilience, clinical competence, and role transition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Vol. 13, No. 4, pp.329-339, 2019. DOI: https://doi.org/10.21184/jkeia.2019.8.13.6.329 

  24. G. Meyer, B. Shatto, "Resilience and transition to practice in direct entry nursing graduates", Nurse Education in Practice, Vol. 28, pp.276-279, 2017. DOI: https://doi.org/10.1016/j.nepr.2017.10.008 

  25. P. Walsh, P. A. Owen, N. M. Mustafa, R. Beech, "Learning and teaching approaches promoting resilience in student nurses: an integrated review of the literature", Nurse Education in Practice, Vol. 45, pp.102748, 2020. DOI: https://doi.org/10.1016/j.nepr.2020.102748 

  26. H. Shin, D. Rim, H. Kim, H. Kim, S. Park, S. Shon, "Educational characteristics of virtual simulation in nursing: an integrative review",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Vol. 37, pp.18-28, 2019. DOI: https://doi.org/10.1016/j.ecns.2019.08.002 

  27. W. Sigalit, B. Sivia, I. Michal, "Factors associated with nursing students' resilience: communication skills course, use of social media and satisfaction with clinical placement",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Vol. 33, No. 2, pp.153-161, 2017. DOI: https://doi.org/10.1016/j.profnurs.2016.08.006 

  28. D-L. Baptiste, S. J. M. Shaefer, "Online module to assure success as prelicensure nursing students transition to professional practice", The Quarterly Review of Distance Education, Vol. 16, No. 4, pp.1-5, 201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