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진로 성공 대학 졸업생의 교육 참여 경험을 탐색하는 것이다. 교육 참여 경험은 투입과, 환경, 그리고 산출의 세 가지 관점에서 탐색되었다. 학생의 투입 요인으로 입학 전형, 지원 동기, 등록금 충당 방법을 탐색하였다. 환경 요인으로는 교내외 활동, 수업 중 활동, 대학 구성원과의 상호관계를 탐색하였다. 마지막으로 산출요인으로 대학 교육의 성과와 사회 진출에의 인식을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스스로 의도한 바대로 사회 진출에 성공한 21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인터뷰와 설문이 진행되었고, 이들의 진로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세 가지 상위 범주와 각각의 하위 범주로 구분하여 분석함으로써 향후 대학생의 진로 지도를 위한 대학 교육의 방향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진로 성공 대학 졸업생의 교육 참여 경험을 탐색하는 것이다. 교육 참여 경험은 투입과, 환경, 그리고 산출의 세 가지 관점에서 탐색되었다. 학생의 투입 요인으로 입학 전형, 지원 동기, 등록금 충당 방법을 탐색하였다. 환경 요인으로는 교내외 활동, 수업 중 활동, 대학 구성원과의 상호관계를 탐색하였다. 마지막으로 산출요인으로 대학 교육의 성과와 사회 진출에의 인식을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스스로 의도한 바대로 사회 진출에 성공한 21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인터뷰와 설문이 진행되었고, 이들의 진로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세 가지 상위 범주와 각각의 하위 범주로 구분하여 분석함으로써 향후 대학생의 진로 지도를 위한 대학 교육의 방향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graduates' career success who actively participated during their school days.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on in education has been explored from three perspectives: input, environment, and output. The first factor which is the input includ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graduates' career success who actively participated during their school days.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on in education has been explored from three perspectives: input, environment, and output. The first factor which is the input includes the admission process, motivation for application, and methods of appropriating tuition fees. The second factor which is the environment includes the interrelationships with both in and out of school activities, in-class activities, and in-college members. Lastly, the output factor of university education includes the results of university education and the perception of social advancement.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1 students who succeeded in entering society based on their goals. The interviews and surveys were conducted,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ir career success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three upper categories and each category is to create implications for the future direction of university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graduates' career success who actively participated during their school days.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on in education has been explored from three perspectives: input, environment, and output. The first factor which is the input includes the admission process, motivation for application, and methods of appropriating tuition fees. The second factor which is the environment includes the interrelationships with both in and out of school activities, in-class activities, and in-college members. Lastly, the output factor of university education includes the results of university education and the perception of social advancement.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1 students who succeeded in entering society based on their goals. The interviews and surveys were conducted,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ir career success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three upper categories and each category is to create implications for the future direction of university education.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본 논문에서는 졸업 후 의도한 바대로 사회 진출에 성공한 진로 성공 학생을 대상으로 대학에서 어떤 교육과 경험이 효과적으로 사회에 진출하는데 도움이 되었는가를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대학에서 어떤 교육과 경험을 한 학생들이 효과적으로 사회에 진출하는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대학의 관련 기관의 지원을 받아 스스로 의도한 바대로 사회진출을 하는데 성공한 학생에 대해 의도적 표집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는 대학에서 어떤 교육과 경험을 한 학생들이 효과적으로 사회에 진출하는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대학의 관련 기관의 지원을 받아 스스로 의도한 바대로 사회진출을 하는데 성공한 학생에 대해 의도적 표집을 실시하였다. 자발적으로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은 총 21명이었으며 이들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제안 방법
본 연구에서 투입(input)요인은 학생들의 배경적 특성[5]으로 본 연구에서는 학교 및 학과 지원동기, 입학전형, 등록금 충당방법으로 설정하였다.
산출(output) 요인은 대학이 교육 프로그램과 실행을 통해 영향을 끼치거나 혹은 끼치려고 시도한 결과로 나타나는 학생의 발달적 측면[5]으로 이 연구에서는 진로 성공 학생이 인식하는 대학에서의 성과, 진로 결정, 진로 준비의 세 가지로 구성하였다.
첫째, 대학생의 진로 성공과 대학에서의 경험에 대한 국내외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이론적인 분석 틀을 탐색하였다.
둘째, 대학의 사회진출을 지원하는 기관의 협조를 받아 2015년 2월부터 2018년 8월까지 졸업생 중 원하는 분야에 취업이 확인된 학생에게 이메일을 통해 본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인터뷰 질문을 발송하였다. 자발적으로 인터뷰 및 설문에 응한 졸업생은 총 21명이었다.
0으로 분석되었다. Nvivo의 분석코드는 그림 1의 개념 틀을 활용하여 투입요인은 입학전형, 학교 및 학과 지원동기, 등록금 충당방법을 주요 범주로 코딩하고, 환경 요인은 학생들의 교내외 활동, 대학 구성원과의 관계, 대학의 교육지원서비스를 주요 범주로 코딩하고, 대학에서의 산출은 대학에서의 성과와 사회진출에의 인식을 주요 범주로 코딩하였다.
인터뷰 자료에 대한 분석은 먼저 서면 및 대면 인터뷰 내용을 읽어보고 주요 범주에 해당되는 내용을 범주화하였다. 전체 인터뷰 내용을 대상으로 이 작업을 수행한 다음, 각 범주로 배치된 내용들을 보고 의미를 나타내는 주제어를 부여하였다.
인터뷰 자료에 대한 분석은 먼저 서면 및 대면 인터뷰 내용을 읽어보고 주요 범주에 해당되는 내용을 범주화하였다. 전체 인터뷰 내용을 대상으로 이 작업을 수행한 다음, 각 범주로 배치된 내용들을 보고 의미를 나타내는 주제어를 부여하였다. 범주에 속하지 않는 내용은 범주와 관계없이 새로운 주제어로 코딩한 후, 기존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전체 인터뷰 내용을 대상으로 이 작업을 수행한 다음, 각 범주로 배치된 내용들을 보고 의미를 나타내는 주제어를 부여하였다. 범주에 속하지 않는 내용은 범주와 관계없이 새로운 주제어로 코딩한 후, 기존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기존의 범주에 포함이 가능한 경우에는 해당 범주의 하위 범주로 이동시켰다.
기존의 범주에 포함이 가능한 경우에는 해당 범주의 하위 범주로 이동시켰다. 마지막으로, 기존에 잘 못 부여된 메시지의 주제범주를 확인하고 변경하였다. 그 후 유사주제어와 내용들을 수정하여 최종 주제범주체계를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기존에 잘 못 부여된 메시지의 주제범주를 확인하고 변경하였다. 그 후 유사주제어와 내용들을 수정하여 최종 주제범주체계를 도출하였다.
선정된 학생들은 계획한대로 진로 선택에 성공한 학생들이었다. 이 연구에서 투입 요인은 입학 전형, 학교 및 학과 지원동기, 등록금 충당 방법의 세 가지로 구성되었다.
수업 중 적극적인 수업 태도를 갖추고, 수업 관련 질문에 대답하는 것 이상의 교수와 학생과의 관계는 “산업 작업자 동작 분석해서 시간 재고.
산출 요인으로 대학 교육의 성과와 사회 진출에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첫째, 학생들은 설문을 통해 대학 교육의 성과로 다른 사람들과 팀워크 및 협력하는 능력의 향상을 들었고, 인터뷰를 통해서는 지식 습득, 의사소통 능력, 자신에 대한 이해, 리더십 등에 대해 언급하였다.
이 연구는 진로 성공 학생의 교육 경험과 성과를 탐색하기 위한 것으로 첫째, 학생의 투입 요인으로 입학 전형, 지원 동기, 등록금 충당 방법을 탐색하였고, 둘째, 교육 환경 요인으로 교내외 활동, 수업 중 활동, 대학구성원과의 상호관계를 탐색하였고, 셋째, 대학 교육의 성과 요인으로 인지적, 심리적, 사회적 성과와 사회 진출에의 인식을 살펴보았다.
대상 데이터
이에 대학의 관련 기관의 지원을 받아 스스로 의도한 바대로 사회진출을 하는데 성공한 학생에 대해 의도적 표집을 실시하였다. 자발적으로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은 총 21명이었으며 이들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둘째, 대학의 사회진출을 지원하는 기관의 협조를 받아 2015년 2월부터 2018년 8월까지 졸업생 중 원하는 분야에 취업이 확인된 학생에게 이메일을 통해 본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인터뷰 질문을 발송하였다. 자발적으로 인터뷰 및 설문에 응한 졸업생은 총 21명이었다.
데이터처리
셋째, 인터뷰 자료는 총 21건으로 Nvivo 9.0으로 분석되었고 설문 자료는 SPSS 20.0으로 분석되었다. Nvivo의 분석코드는 그림 1의 개념 틀을 활용하여 투입요인은 입학전형, 학교 및 학과 지원동기, 등록금 충당방법을 주요 범주로 코딩하고, 환경 요인은 학생들의 교내외 활동, 대학 구성원과의 관계, 대학의 교육지원서비스를 주요 범주로 코딩하고, 대학에서의 산출은 대학에서의 성과와 사회진출에의 인식을 주요 범주로 코딩하였다.
이론/모형
연구의 개념적 틀은 Astin[5]의 투입-환경-산출(input-environment-outcome: I-E-O) 모형이다. 이 모델에 따르면, 학생의 성과인 산출(output)은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같은 투입(input)과 대학에서 제공하는 경험인 환경(environment)의 두 요인이 작용한 결과라 할 수 있다.
Astin[5]의 투입-환경-산출 모형은 다수의 연구들에서 이론적 개념으로 채택되었다[6]. 김안나와 김병식[7]은 대학생의 핵심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과 환경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Astin의 모형을 활용하였으며 Strayhorn[8]은 학생의 참여가 개인적 학습 결과와 사회적 학습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Astin의 모형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진로 성공 졸업생의 개인적 배경과 대학에서의 경험, 그리고 그 결과로서의 성과를 알아보고자 Astin[5]의 모형을 채택하였다.
인터뷰 문항은 Astin의 이론에 근거하여, 투입-환경-성과를 고려하여 만들었으며, 총 44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설문은 한국교육개발원에서 개발한 NASEL(National Assessment of Student Engagement in Learning)의 문항[9] 중 Astin[5]의 투입, 환경, 성과와 관련된 문항을 추출하여 활용하였으며 그 외 학생의 인적사항과 대학 재학 중 참여활동에 대한 문항을 포함하였다. 전체 설문문항은 90문항이었다.
성능/효과
설문에 따르면 학생마다 다르지만 등록금 지원의 평균을 보면 등록금의 57.86%는 부모님이 지원했고 28.57%는 교내외 장학금으로 충당하였다. 생활비는 부모님의 지원과 더불어 학교 내외에서의 아르바이트로 마련하였는데, 부모님의 지원과 아르바이트를 통한 생활비의 비율은 학생마다 달랐다.
둘째, 교수와의 관계는 학생들이 요청하는 만큼의 관계가 형성되었다. 수업 중 적극적인 수업 태도를 갖추고, 수업 관련 질문에 대답하는 것 이상의 교수와 학생과의 관계는 “산업 작업자 동작 분석해서 시간 재고.
설문 결과로는 건강, 복지, 심리, 학습지원, 대학생활, 경력관련, 장학금 서비스 중에서 연구참여자들이 모두 이용한 서비스는 직업 및 경력관련 상담 및 조언 서비스였고, 그 다음으로 장학금 지원 프로그램과 학교에서 제공하는 사회문화 행사의 순이었다.
설문에 따르면, 학생들이 가장 진전되었다고 생각하는 능력은 다른 사람들과 팀워크 및 협력하는 능력의 향상이었다. 그 다음으로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3.
환경 요인으로 첫째, 학생들의 교내외 활동은 교내외 동아리, 소학회, 어학연수, 워킹홀리데이, 해외 강사, 각종 자격증 취득에 걸쳐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더불어 학교에서 공식적으로 제공하는 교환학생, 산학협력실습, 복수 전공, 전과 등의 제도와 프로그램을 통한 인턴십, 학부 인턴제, 복수전공 등에 대한 참여도 진로 설정과 변경, 심화의 계기가 되었다.
프로젝트 학습에서의 수업의 만족도는 수업의 지적효용[11]이라는 결과와 동일하게 학생(15)는 인터뷰에서 프로젝트 학습을 통해 전공지식과 일상생활의 관련성을 느낀 수업이 가장 개인의 발달에 도움이 되었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대학의 서비스는 진로 성공 학생의 과반수가 입학에서 졸업을 하는 기간 동안 활용하지 않는 서비스도 존재하며 가장 활용도가 높은 서비스는 교내 사회문화 행사를 제외하면 직업 및 경력관련 상담 및 조언이었다. 진로 성공 학생들은 대체적으로 개인의 목적 추구를 위해 교내 외 활동에 활발하게 참여하고, 진로 탐색을 위해서도 학교 내 서비스도 활용했다.
산출 요인으로 대학 교육의 성과와 사회 진출에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첫째, 학생들은 설문을 통해 대학 교육의 성과로 다른 사람들과 팀워크 및 협력하는 능력의 향상을 들었고, 인터뷰를 통해서는 지식 습득, 의사소통 능력, 자신에 대한 이해, 리더십 등에 대해 언급하였다. 둘째, 사회 진출에의 인식에서 학생들은 학과에 지원을 할 당시 흥미 및 적성 혹은 향후 진로를 염두에 두고 진학을 한 후 교내외 활동, 전공 수업의 수강과 인턴 생활, 선후배와의 대화 등을 통해 조금씩 변화시켜 나갔다.
첫째, 학생들은 설문을 통해 대학 교육의 성과로 다른 사람들과 팀워크 및 협력하는 능력의 향상을 들었고, 인터뷰를 통해서는 지식 습득, 의사소통 능력, 자신에 대한 이해, 리더십 등에 대해 언급하였다. 둘째, 사회 진출에의 인식에서 학생들은 학과에 지원을 할 당시 흥미 및 적성 혹은 향후 진로를 염두에 두고 진학을 한 후 교내외 활동, 전공 수업의 수강과 인턴 생활, 선후배와의 대화 등을 통해 조금씩 변화시켜 나갔다.
이 연구의 결과는 진로 성공을 위해 대학 차원에서 학생들이 일차적으로 대학 구성원들과의 관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이차적으로 대학 외부 학생과 혹은 전문가와 확장된 관계를 맺는 것이 진로 성공에 도움이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무엇보다도 학생이 학교 내부 혹은 학교 외부에서 제공하는 여러 프로그램과 기회들에 적극적으로 반응하여 적합한 진로를 탐색해 나가는 활동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후속연구
학교는 학생들의 동료, 그리고 선후배 간의 팀활동과 학생들이 희망하는 직업군에 이미 취업해 있는 전문가와 직업군에 있는 학생들과의 멘토링 등 사회와 학생을 연계하는 서비스의 제공을 실속 있게 운영하며, 무엇보다 프로그램에 대한 안내를 받지 못해 참여하지 못하는 학생이 없도록 홍보와 안내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겠다. 이 연구는 수도권의 단일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했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여러 지역의 진로 성공 대학생을 대상으로의 확대가 요구된다.
참고문헌 (11)
Anzivino, M. & Rostan, M. (2017). University student participation in out-of-class activities. In: Rosemary Deem, Heather Eggins (Eds.), The University as a Critical Institution?(pp.185-216.). https://doi.org/10.1007/978-94-6351-116-2_11.
Astin, A. W. (1984). Student involvement: A development theory for higher education. Journal of College Student Development. 40. 518-529.
Choi, Y.N.(2019, December 10). Career design as soon as enrollment... Collects employment experience and provides it to students. Donga Ilbo. Retrieved from http://www.donga.com/news/article/all/20191210/98728585/1.
Park, M.J.(2008). Exploring the metaphors of career success of university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26(3), 511-532.
Astin, A. W. (1991). Assessment for excellence: The philosophy and practice of assessment and evaluation in higher education. Washington, DC: American Council on Education/Oryx Press Series on Higher Education.
Pascarella, E. T., & Terenzini, P. T. (2005). How college affects students(Vol. 2): A third decade of research. San Francisco: Jossey-Bass.
Kim, A.N. & Lee, B.S.(2003). An Analytic study of identifying personal and institutional influences on the perceived development of core competencies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Education, 30(1), 367-392.
Strayhorn, T. L. (2016). Factors that influence the persistence and success of black men in urban public universities. Urban University, 52(9). 1106-1128.
You, H.S., Im, H. N., Seo, Y. I., Go, J.W., Shin, H. S., Park, S. H.(2007). A Study on the Analysis of Learning Process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II).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RR 2011-13.43..
Cho, S. A. & Kwak, J. K. (2020). Effects of voluntering participation motivation on major satisfaction and continuance willingness in ophthalmic optics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8(1). 71-81.
Yoo, S. C., Jung, K. H., & Ryoo, J. M. (2020). Project based learning for university-led urban regeneration: A case study on the strategic communication campaign class for the Sinchon regeneration project.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JCCT). 6(2), 207-215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