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양육 미혼모의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극복력 증진 영역 개발
Development of Domains for Improving the Resilience of Unmarried Mothers to Prevent Child Abuse 원문보기

동서간호학연구지 =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26 no.2, 2020년, pp.109 - 117  

박일태 (고려대학교 간호대학) ,  오원옥 (고려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We aimed to develop domains for the resilience improvement of unmarried mothers to prevent child abuse based on a nursing model of resilience. Methods: We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and in-depth interviews with unmarried mothers. Results: Based on Polk's nursing model of resilience, we d...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를 위해 연구자는 질적연구방법론 수업을 이수하였으며, 심리상담자 교육을 이수하였고 심리상담자 1급 자격증을 취득하였다. 또한, 서울소재 미혼모 보호시설에서 2개월 동안의 봉사활동을 통해 실제 미혼모들과 접촉하고 이야기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짐으로써 대상자에 대한 이해도를 높였다.
  • 본 연구는 Polk(1997)의 극복력 간호 모델 기반[10] 극복력 증진 영역을 개발하여 양육 미혼모의 아동학대예방을 도모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 결과, 미혼모의 극복력 증진 영역은 철학적 패턴에서 부모됨의 의미, 부모의 역할에 대해 깨닫게 하는 것, 기 질적 패턴에서 우울과 부정적 감정을 조절하고 아동학대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교정하는 영역들이 확인되었다.
  • 본 연구는 미혼모의 극복력 증진을 통해 아동학대를 조기에 예방하기 위하여, 미혼모의 극복력 증진 영역을 개발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결과 Polk의 극복력 간호 모델 기반으로 도출된 미혼모의 극복력 증진 영역은 4개의 패턴, 10개의 영역, 24개 의 하위영역이었다.
  • 본 연구는 미혼모의 아동학대 예방을 위해, 문헌고찰과 양육 미혼모와의 심층면담을 통해 미혼모의 극복력 증진 영역을 확인하고, 극복력 간호 모델 기반 극복력 증진 영역을 개발하는 방법론적 연구(methodological research)이다. 세부 절차는 Figure 1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문헌고찰과 심층 면담을 통해 미혼모의 상황과 개별적 요구를 파악하고 미혼모의 극복력 증진 영역을 개발하고자 한다. 극복력 증진 영역은 Polk(1997)의 극복력 간호 모델[10]의 4가지 패턴을 토대로 개발하며, 극복력 증진을 통해 아동학대 예방을 도모하고자 한다.
  • 녹음된 내용은 면담이 이루어진 직후 필사하여 면담 당시의 느 낌과 상황을 자료화하는데 누락이 없도록 하였다. 전체 면담 내용을 요약하고 면담 내용 속에 존재할 수 있는 주제를 파악하기 위해 일반성 있는 내용을 메모하였으며,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주제의 실질적인 부분을 연결하는 중요한 개념을 확인하였다. 또한, 의미있는 진술에 밑줄을 긋고, 계속적으로 추출하여 개념화 한 후 공통된 특성을 묶어 범주화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Pew Research Center. The changing profile of unmarried parents: A growing share are living with a partner; 2018 April. Available from: https://www.pewsocialtrends.org/2018/04/25/the-changing-profile-of-unmarried-parents/ 

  2.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A census of population; Single mother and single father by age [Internet]. Seoul: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8 [cited 2019 Nov 2]. Available from: http://kosis.kr/ 

  3. Cairney J, Boyle M, Offord DR, Racine Y. Stress,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in single and married mothers. Social Psychiatry and Psychiatric Epidemiology. 2003;38(8):442-9. https://doi.org/10.1007/s00127-003-0661-0 

  4. Berger LM, Font SA, Slack KS, Waldfogel J. Income and child maltreatment in unmarried families: Evidence from the earned income tax credit. Review of Economics of the Household. 2017;15(4):1345-72. https://doi.org/10.1007/s11150-016-9346-9 

  5. Pereira M, Negrao M, Soares I, Mesman J. Predicting harsh discipline in at-risk mothers: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oeconomic deprivation severity.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2015;24(3):725-33. https://doi.org/10.1007/s10826-013-9883-2 

  6. Abbasi MA, Saeidi M, Khademi G, Hoseini BL. Child maltreatment in the worldwide: A review article. International Journal of Pediatrics. 2015;3(13):353-65. 

  7. Paavilainen E, Astedt-Kurki P. Functioning of child maltreating families: Lack of resources for caring within the family. Scandinavian Journal of Caring Sciences. 2003;17:139-47. https://doi.org/10.1046/j.1471-6712.2003.00120.x 

  8. Tucker MC, Rodriguez CM. Family dysfunction and social isolation as moderators between stress and child physical abuse risk. Journal of Family Violence. 2014;29:175-86. https://doi.org/10.1007/s10896-013-9567-0 

  9. Chung MS. Resilience, coping methods, and quality of life in middle-aged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11;20(4):345-54. https://doi.org/10.12934/jkpmhn.2011.20.4.345 

  10. Polk LV. Toward a middle-range theory of resilience. Advances in Nursing Science, 1997;19(3):1-13. https://doi.org/10.1097/00012272-199703000-00002 

  11. Hess CR, Papas MA, Black MM. Resilience among African American adolescent mothers: Predictors of positive parenting in early infancy. Journal of Pediatric Psychology. 2002;27(7):619-29. https://doi.org/10.1093/jpepsy/27.7.619 

  12. Wright MOD, Fopma-Loy J, Fischer S.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resilience in mothers who are child sexual abuse survivors. Child Abuse and Neglect, 2005;29(10):1173-93. https://doi.org/10.1016/j.chiabu.2005.04.004 

  13. Murry VM, Bynum MS, Brody GH, Willert A, Stephens D. African American single mothers and children in context: A review of studies on risk and resilience. Clinical Child and Family Psychology Review. 2001;4:133-55. https://doi.org/10.1023/A:1011381114782 

  14. Morse JM, Field PA.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or health professionals.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1995. p. 1-272. 

  15.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9 Dream start project guide. Dream start project guide report. Sejong: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8 December. Report No: 11-13520000-000584-10. 

  16. Holton JK, Harding K. Healthy families America: Ruminations on implementing a home visitation program to prevent child maltreatment. Journal of Prevention and Intervention in the Community. 2007;34(1-2):13-38. https://doi.org/10.1300/J005v34n01_02 

  17. Olds DL. Preventing child maltreatment and crime with prenatal and infancy support of parents: The nurse-family partnership. Journal of Scandinavian Studies in Criminology and Crime Prevention. 2008;9(1):2-24. https://doi.org/10.1080/14043850802450096 

  18. Koniak-Griffin D, Verzemnieks IL, Anderson NL, Brecht ML, Lesser J, Kim S, et al. Nurse visitation for adolescent mothers: Two-year infant health and maternal outcomes. Nursing Research. 2003;52(2):127-36. https://doi.org/10.1097/00006199-200303000-00009 

  19. Moss E, Dubois-Comtois K, Cyr C, Tarabulsy GM, St-Laurent D, Bernier A. Efficacy of a home-visiting intervention aimed at improving maternal sensitivity, child attachment, and behavioral outcomes for maltreated children: A randomized control trial.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2011;23(1):195-210. https://doi.org/10.1017/S0954579410000738 

  20. Pillhofer M, Spangler G, Bovenschen I, Kuenster AK, Gabler S, Fallon B, et al. Pilot study of a program delivered within the regular service system in Germany: Effect of a short-term attachment- based intervention on maternal sensitivity in mothers at risk for child abuse and neglect. Child Abuse and Neglect. 2015;42:163-73. https://doi. org/10.1016/j.chiabu.2014.07.007 

  21. Nomaguchi KM, Milkie M. Costs and rewards of children: The effects of becoming a parent on adults' live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2003;66:413-30. 

  22. Smith BW, Tooley EM, Christopher PJ, Kay VS. Resilience as the ability to bounce back from stress: A neglected personal resource? The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2010;5(3):166-76. https://doi.org/10.1080/17439760.2010.482186 

  23. Coleman PK, Karraker KH. Self­efficacy and parenting quality: Findings and future applications. Developmental Review. 1998;18:47-85. https://doi.org/10.1006/drev.1997.0448 

  24. Taylor ZE, Conger RD. Promoting strengths and resilience in single­mother families. Child Development. 2017;88(2):350-8. https://doi.org/10.1111/cdev.12741 

  25. Songprakun W, McCann TV. Effectiveness of a self-help manual on the promotion of resilience in individuals with depression in Thailand: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BMC Psychiatry. 2012;12:12. https://doi.org/10.1186/1471-244X-12-12 

  26. Alhusen JL, Gross D, Hayat MJ, Woods AB, Sharps PW. The influence of maternal-fetal attachment and health practices on neonatal outcomes in low­income, urban women.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2012;35(2):112-20. https://doi.org/10.1002/nur.21464 

  27. Taffazoli M, Montakhab Asadi M, Aminyazdi SA, Shakeri MT.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fetal attachment and mother-infant attachment behaviors in primiparous women referring to Mashhad health care centers. Journal of Midwifery and Reproductive Health. 2015;3(2):318-27. https://doi.org/10.22038/JMRH.2015.3949 

  28. Duggan A, Caldera D, Rodriguez K, Burrell L, Rohde C, Crowne SS. Impact of a statewide home visiting program to prevent child abuse. Child Abuse and Neglect. 2007;31:801-27. https://doi.org/10.1016/j.chiabu.2006.06.011 

  29. Borden LA, Schultz TR, Herman KC, Brooks CM. The incredible years parent training program: Promoting resilience through evidence­based prevention groups. Group Dynamics: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2010;14:230-41. https://doi.org/10.1037/a0020322 

  30. Chen M, Chan KL. Effects of parenting programs on child maltreatment prevention: A meta-analysis. Trauma Violence Abuse. 2016;17(1):88-104. https://doi.org/10.1177/152483801456671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