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판 학생진로구성검사 타당화 연구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Student Career Construct Inventory(K-SCCI)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11, 2020년, pp.391 - 401  

박지연 (배재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조경덕 (배재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심호규 (공군리더십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Savickas 등(2018)이 개발한 학생진로구성검사(Student Career Construct Inventory, SCCI)를 한국어로 번안한 한국판 학생진로구성검사(K-SCCI)의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53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문항의 내용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준거타당도 검증 등을 실시하였다. 문항의 내용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의 결과 K-SCCI는 4요인 모형과 18문항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4가지 요인은 직업적 자기개념 구체화, 직업탐색행동, 진로결정, 직업훈련으로 명명하였다. 4요인 모델의 적합도를 검증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수행한 결과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척도의 준거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관련 척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학생진로구성은 취업불안과는 부적상관을 진로적응력과는 정적상관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verifi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Student Career Construct Inventory(K-SCCI) that was translated into Korean language from the Student Career Construct Inventory (SCCI) developed by Savickas et al.(2018). To achieve this, this study conducted item content ...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구성주의 진로이론 기반으로 한 진로적응모형에서 적응반응의 측정도구인 학생진로구성검사를 한국에서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번안하고 타당화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대학 학제에 따른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측정동일성을 검증하였다.
  • 본 연구는 진로적응모형에서 적응반응의 측정도구인 학생진로구성검사의 표준화를 위한 타당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Savickas 등[32]이 개발한 SCCI를 번안하고 한국 실정에 맞게 사용하고자 4년제 대학생과 전문대학생을 대상으로 타당화 연구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한국판 진로구성검사(SSCI)를 한국 실정에 맞게 사용하기 위해 요인분석 및 타당화 검증을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M. L. Savickas and E. J. Porfeli, "Revision of the career maturity inventoryThe adaptability form,"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Vol.19, No.4, pp.355-374, 2011. 

  2. M. L. Savickas, L. Nota, J. Rosier, J. P. Dauwalder, M. E. Duarte, J. Guichard, and A. E. Van Vianen, "Life designing: A paradigm for career construction in the 21st century,"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75, No.3, pp.239-250, 2009. 

  3. 박지연, 조경덕, "전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역기능적 진로사고의 매개효과," 진로교육연구, 제32권, 제1호, pp.61-76, 2019. 

  4. S. D. Brown and A. Hirschi, Personality, career development, and occupational attainment, In S. D. Brown & R. W. Rent (Eds.), Career Development and Counseling: Putting Theory and Research to Work, New York, NY: Wiley, 2013. 

  5. 조은주, 대학생의 성격강점, 강점활용, 진로정체감, 진로적응성 간의 구조적 관계, 동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6. T. S. Krieshok, M. D. Black, and R. A. McKay, "Career decision making: The limits of rationality and the abundance of non-conscious processes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75, No.3, pp.275-290, 2009. 

  7. A. E. M. Vianen, I. E. De Pater, and P. T. Y. Preenen, "Adaptable Careers: Maximizing Less and Exploring More,"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Vol.57, No.4, pp.298-309, 2009. 

  8. J. Krumboltz, Luck is no accident: Making the most of happenstance in your life and career, Atascadero, CA: Impact Publishers, 2004. 

  9. D. E. Super, The psychology of careers, New York: Harper & Row, Vol.195, 1957. 

  10. D. E. Super and J. M. Kidd, "Vocational maturity in adulthood: Toward turning a model into a measur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14, No.3, pp.25-270, 1979. 

  11. D. E. Super,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Applying contemporary theories to practice, 2nd ed, A life-span, life-space aproach to career development. SF: Jossey-Bass, 1990. 

  12. 김소연, 정희숙, "한 중년여성의 진로구성 과정,"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5호, pp.265-282, 2015. 

  13. P. J. Hartung, "Barrier or benefit? Emotion in life-career design,"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Vol.19, pp.296-305, 2011. 

  14. R. S. Sharf, 진로상담: 아동기부터 성인기까지 진로발달 이론의 적용(제6판), 김진숙, 김정미, 서영숙 역, 서울: 박학사, 2016. 

  15. 강미영, 진로교과목을 수강한 대학생의 진로구성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16. M. L. Savickas, "The theory and practice of career construction," Career development and counseling: Puting theory and research to work, Vol.1, pp.42-70, 2005. 

  17. 김봉환, 김계현,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 행동의 발달 및 이차원적 유형화," 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 제9권, 제1호, pp.311-333, 1997. 

  18. M. L. Savickas, "Career Adaptability: An Integrative Construct for Life-Span, Life-Space Theory," The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Vol.45, No.3, pp.247-259, 1997. 

  19. P. A. Creed, J. Muller, and W. Patton, "Leaving high school: The influence and consequences for paychological well-being and careerrelated confidence," Journal of Adolescence, Vol.26, No.3, pp.295-311, 2003. 

  20. V. Germeijs and K. Verschueren, "High school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Consequences for choice implementation in higher educat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70, No.2, pp.223-241, 2007. 

  21. 문승태, 박미하, 양복만, "대학생의 인간관계와 학습의 자기주도성 및 진로적응성의 관계," 진로교육연구. Vol.25, No.3, pp.39-69, 2012. 

  22. 장계영, 대학생 진로적응성 척도개발,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23. 박현영, 진로결정에 있어서 우연적 사건의 역할-진로적응성을 매개효과로,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24. 이예진, 동기체계이론에 기초한 진로동기수준 군집유형과 진로적응성의 차이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0. 

  25. M. L. Savicka and E. J. Porfeli, "Career adapt-abilities scale: construction, reliability, and measurement equivalence across 13 countrie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80, pp.61-673, 2012. 

  26. C. W. Rudolph, K. N. Lavigne, and H. Zacher, "Career adaptability: A meta-analysis of relationships with measures of adaptivity, adapting responses, and adaptation result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98, pp.14-34, 2017. 

  27. A. Hirschi, A. Herrmann, and A. C. Keller, "Career adaptivity, adaptability, and adapting:A conceptual and empirical investigat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87, pp.1-10, 2015. 

  28. C. S. Johnston, "A Systematic Review of the Career Adaptability Literature and Future Outlook,"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Vol.26, No.1, pp.3-30, 2018. 

  29. 유지연, 신효정, "진로적응성 연구의 문헌고찰: 진로구성주의 이론의 진로적응모형을 중심으로," 진로교육연구, 제32권 제2호, pp.1-24, 2019. 

  30. 신윤정, 이은설, "대학생의 조절초점과 진로결정효능감 간의 관계 내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 적응의 진로구성모형을 중심으로," 진로교육연구, 제31권 제2호, pp.91-112, 2018. 

  31. 김지근, 이기학, "진로결정자율성이 진로적응성과 진로관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서 및 성격 관련 진로 어려움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상담학연구, 제17권, 제3호, pp.205-223, 2016. 

  32. M. L. Savickas, E. J. Porfeli, T. L. Hilton, and S. Savickas, "The Student Career Construction Inventory,"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106, pp.138-152, 2018. 

  33. J. Tak, "Career adapt-abilities scale-Korea form: psychometric properties and construct validity, pp.712-715, 2012. 

  34. 조규판, "취업불안 척도의 개발 및 타당도 연구," 교육학연구, 제46권, 제2호, pp.53-75, 2008. 

  35. 홍세희,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19권, 제1호, pp.161-177, 2000. 

  36. R. B. Kline, 구조방정식모형 원리와 적용(제 2판), 이현숙, 김수진, 전수연 역, 서울: 학지사, 2010. 

  37. M. W. Browne and R. Cudeck,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Bollen, K. A. & Long, J. S. [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Newbury Park, CA: Sage, pp.136-162, 1993. 

  38. 김계수, Amos 18.0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한나래출판사, 2004. 

  39. 표소휘, 양은주, "한국판 학생 진로구성척도의 타당화 연구: 초기 성인기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제17권, 제2호, pp.145-164, 20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