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폭력 상담자 대리외상 경험에 대한 개념도 연구
Concept Mapping Analyzing on Counselors' Vicarious Trauma Experience from Working with Victims of Sexual Violenc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11, 2020년, pp.457 - 471  

허찬희 (인천대학교 교육학과) ,  이지연 (인천대학교 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성폭력 상담자 대리외상 경험의 심층내용을 탐색하고 이에 대한 개입전략을 개발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성폭력 상담 현장에서 3년이상 근무한 12명의 성폭력 상담자를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개념도(concept mapping) 방법을 활용하여 성폭력 상담자 대리외상 경험에 대한 내용 탐색과, 그 개념 구조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성폭력 상담자 대리외상 경험에 관한 60개의 핵심 문장을 추출하였다. 이후 심층 면접 참여자와 같은 조건의 평정 참여자 19명에게 핵심 문장을 분류하고 평정하도록 한 뒤, 다차원적 척도법과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x축의 부정적 인식차원과 심리·정서적 차원, y축의 개인 내적 차원과 행동적 차원이 나타났고, 일에 대한 몰입과 회의감, 정서적으로 동화되는 경험, 성에 대한 과민성, 남성에 대한 경계 증가, 안전감 위협이라는 5개의 군집이 나타났다. 이는 성폭력 상담자가 경험하는 성폭력 상담자 대리외상의 내용을 범주화하여 파악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였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그동안 국내 성폭력 상담자 대리외상에 대한 양적인 연구에 필요성이 대두 되었던 결과를 다시 확인 하였고, 성폭력 상담자 대리외상 척도 개발의 필요성을 확신하는 결과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n-depth content of vicarious trauma experience of sexual violence counselors and to develop intervention strategy. To this end, 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welve sexual violence counselors working at the sexual violence counseling site for more ...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위해 개별 면담을 통해 성폭력 상담자 관점에서 성폭력 상담자 대리외상 경험에 대한 내용을 심층적으로 탐색하고, 자료 분석 과정에 참여시켜 이들의 경험과 견해를 충분히 반영하며, 통계 분석을 통해 시각적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성폭력 상담자 대리외상 경험을 파악 하고자 한다. 그래서 본 연구가 성폭력 상담자 대리외상 경험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고, 성폭력 상담자 대리외상 경험을 실질적으로 파악하여 이와 관련한 성폭력 상담자 대리외상에 대한 개입전략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기여하고자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폭력 상담자가 경험하는 성폭력 상담자 대리외상과, 성폭력 상담자 대리외상의 잠재적 개념 구조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개념도 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 그리고 개념도 제작에 있어서 참여자 수에 대한 엄격한 제한은 없으며 일반적으로 10명 이상을 권장하고 있다[26].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집되는 정보가 포화되는 것을 전제로[29], 선정된 성폭력 상담자 12명과 개별 면담을 하였고, 참여자들에게 자율성을 부여하고 다양한 진술문을 확보할 수 있도록 탐색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25].
  • 본 연구의 목적은 성폭력 상담자 대리외상의 경험을 파악하여 잠재적 구조를 확인하고, 실질적인 자료를 수집함에 있다. 이를 위해 개별 면담을 통해 성폭력 상담자 관점에서 성폭력 상담자 대리외상 경험에 대한 내용을 심층적으로 탐색하고, 자료 분석 과정에 참여시켜 이들의 경험과 견해를 충분히 반영하며, 통계 분석을 통해 시각적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성폭력 상담자 대리외상 경험을 파악 하고자 한다.
  • 그동안 우리사회는 성폭력과 관련된 지원과 관심이 피해자에게 집중되어 있었기 때문에 성폭력 상담자들의 대리외상에 대해서는 관심을 보이지 못하였다[34][35]. 이번 연구를 통해 성폭력 상담자들은 대부분 자신이 경험하는 성폭력 대리외상을 자각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향후 성폭력 상담자들에 대한 지원과 관심을 가져야 함을 파악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노안영, 상담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05. 

  2. 권해수, "성폭력 상담자의 대리외상 관련 변인 연구:상담유형, 외상경험, 사회적지지를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제12권, 제1호, pp.415-430, 2011. 

  3. 오지원, 학교폭력 피해자 상담에서 상담자가 경험하는 압도감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4. 장진이, 이지연, "교사의 소명의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일의 의미, 소명수행의식, 삶의 의미, 직업 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 회지:상담 및 심리치료, 제26권, 제1호, pp.123-146, 2014. 

  5. I. L. McCann and L. A. Pearlman, "Vicarious traumatization: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psychological effects of working with victims," Journal of Traumatic Stress, Vol.3, No1, pp.131-149, 1990. 

  6. R. L. Trippany, V. E. White Kress, and S. A. Wilcoxon, "Preventing vicarious trauma: What counselors should know then working with trauma survivors,"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Vol.82, No.1, pp.31-37, 2004. 

  7. D. G. Kilpatrick and H. S. Resnick, "A description of the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field trial: in J.R.T. Davison and E.B Foa(Eds) Posttraumatic Disorder : DSM and beyond," pp243-250,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ress. 1992. 

  8. 박옥임, 도미향, 류도희, 박애선, 백경숙, 성정현, 이규미, 이영석 공저, 성폭력 전문상담, 한국가족복지학회.시그마프레스, 2004. 

  9. 임수진, 김해숙, "자기 효능감, 지각된지지, 내재적 동기가 성폭력 상담소 종사자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여성, 제16권, 제4호, pp.461-475, 2011. 

  10. 이명신, 양난미, 안수영, 김보령, "성폭력 상담원의 소진 결정 요인: 업무과중, 공감피로, 피해자중심서비스(Victim-centered service)와 이차피해태도," 비판사회정책, 제50호, pp.284-333, 2016. 

  11. C. R. Figley, Compassion fatigue: Coping with secondary traumatic stress disorder in those who treat the traumatized, New York: Brunner/Mazel, 1995. 

  12. J. Canfield, "Secondary traumatization, burnout, and vicarious traumatization: Review of the literature as it relates to therapists who treat trauma," Smith College Studies in Social Work, Vol.75, No.2, pp.81-101, 2005. 

  13. V. M. Gottfried, "Indirect trauma syndrome.:Empirical validation of a model that synthesizes secondary and vicarious trauma,"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Louisville, Kentucky, 2010. 

  14. M. Benatar, "A qualitative study of the effects of a history of childhood sexual abuse on therapists who treat survivors of sexual abuse," Journal of Trauma & Dissociation, Vol.1, No.3, pp.9-28, 2000. 

  15. 강방글, 한인영, 이현정, 박정림, "성폭력 상담사의 대리외상에 대한 주관성 인식 유형 연구," 정신과 사회사업, 제41권, 제3호, pp.118-147, 2013. 

  16. 권해수, 김소라, "성폭력 상담자의 대리외상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8권, 제3호, pp.495-518, 2006. 

  17. 조현빈, "성폭력과 성폭력 피해자 심리의 이해," 한국범죄심리연구, 제18권, 제1호, pp.39-59, 2006. 

  18. 김민선, 고학력 기혼 한국 여성들의 진로지속동기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013. 

  19. 김은영, 성폭력 상담자의 대리외상 감소를 위한 인지 행동치료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명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20. 조영매, "상담자의 대리외상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재난에 투입된 상담자를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제18권, 제1호, pp.67-85, 2017. 

  21. 최민정, 성폭력 관련기관 상담자들의 현장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개인적. 전문적 영역을 중심으로, 덕성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22. 최순선, "성폭력 상담기관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 사회적지지 및 우울과의 관계," 경북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제19권, 제1호, pp.10-20, 2015. 

  23. Sarah E. Ullman and Stephanie M. Towsend "Barriers to Working With Sexual Assault Survivors: A Qualitative Study of Rape Crisis Center Workers," University of Illinois at Chicago Research Article, Vol.13, No.4, pp.412-443, 2007. 

  24. L. G. Steed and R. downing, "A Phenomenological study of vicarious traumatization amongst psychologists and professional counselors working in the field of sexual abuse/ assault," The Australasian Journal of Disaster and Trauma, 1998. 

  25. W. Trochim, "An introduction of concept mapping for planning and evaluation."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Vol.12, pp.1-16, 1989. 

  26. M. Kane and W. Trochim, Concept mapping for planning and evaluation, California: Sage. 2007. 

  27. H. J. Freudenberger, "Staffburnout," Journal of SocialIssues, Vol.30, pp.150-165, 1974. 

  28. 남희경, "숙련 및 초심 외상 상담자가 지각하는 대리외상의 영향과 대처레 관한 개념도 연구," 상담학연구, Vol.17, No.3, pp.1-22, 2016. 

  29. Seidman, Irving. 질적 연구 방법으로서의 면담, [Interviewing as qualitative research]. (박혜준, 이승연 역), 서울: 학지사(원전은 2006 년 출판), 2009. 

  30. K. B. Park, multidimensional scaling, Seoul:Kyoyookbook. 2000. 

  31. J. B. Kruskal, "Multidaimensional scaling by optimizing goodness of fit to a nonmetric hypothesis," Psychometrika, Vol.29, No.1, pp.1-27, 1964. 

  32. R. Campbell, "Emotionally involved: The impact of researching rape," New York:Routledge, 2002. 

  33. 남순열, 한국인의 성폭력에 대한 태도유형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 

  34. 변혜정, 조중신, 성폭력 피해자 치유 매뉴얼, 여성가족부, 2005. 

  35. 김영택, "성폭력 피해자의 정신건강 관리방안," 보건복지포럼, pp.43-39, 2013.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