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 영어 읽기 성취도에 따른 읽기 불안 하위요소 간 관계 분석
Analysis on Relationships of Subcategories in English Reading Anxiety based on College Students' TOEIC Achievement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11, 2020년, pp.492 - 500  

주대환 (목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영어 읽기 불안 하위요소 간 상관관계와 인과관계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읽기 불안 요인이 학습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수업 설계와 교수 방법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여 효과적인 읽기 학습에 기여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의 읽기 불안 정도는 설문지를 통해 측정하였고, SPS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설문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사실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평균 점수 이상·미만 향상집단 모두에서 영어 읽기 불안 하위요소 간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두 번째, 두 집단 모두에서 자신감 결여 불안이 전체 읽기 불안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장문 읽기, 평가 그리고 문법·어휘와 관련된 일반읽기 불안 순으로 전체 읽기 불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영어 읽기 교수 학습에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학습을 준비하는 교사나 학습의 주체인 학습자는 읽기 불안 요소가 서로 독립적으로 분리된 것이 아니라 상호 연관되어 있음을 인식하고, 교사는 학습자가 영어 읽기 학습에서 느끼는 불안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학습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성공적인 읽기 학습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1) the aspect of the correlation among subcategories in English reading anxiety, (2) the aspect of the cause and effect relation. The reading anxiety was measured by a questionnaire. Then,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SPSS program. The findings of this s...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런 이유로 학습자가 학습 과정에서 맞닥뜨릴지 모르는 불안 요인을 예측하여 그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수업을 설계하고 교수하는 것은 모든 영어교육 담당자들의 과제일 것이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영어 학습자들이 영어 읽기 불안을 경험하고 있다는 사실에 따라 읽기 불안 요인을 적절히 제어 하고 성공적인 영어학습의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몇 가지 시사점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방학 중 실시한 토익 집중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읽기 성취도에 따른 읽기 불안 하위요소 간의 관계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이 결과는 영어 읽기 수준이 높은 학습자의 경우 읽기에 대한 불안감이 읽기 과업에 중요한 영향 요일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로 Hudson(2006)이 외국어 읽기에서 언어적, 인지적, 심리 정의적 요인은 읽기 과정에서 독립적인 것이 아니라 상호 작용한다는 주장과 맥을 함께한다고 할 수 있다[28]. 본 연구에서는 앞서 살펴본 선행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읽기 불안하위요소 간 관계성 분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영어 읽기에 영향을 미치는 많은 요인 중 자신감 결여 불안, 장문 읽기 불안, 평가 불안 그리고 일반읽기 불안 간의 관계성을 파악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성공적인 영어 학습에 미치는 요인이 매우 다양함을 고려하면[37] 본 연구결과를 모든 외국어 읽기 학습에 일반화하여 적용하는 데는 다소 무리가 있어 보인다.
  • 최근 들어 대표적인 정의적 요인 중 학습자가 학습에 대해 느끼는 불안(anxiety)과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성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10-13].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대부분의 영어 수업이 학습자의 말하기, 쓰기 능력보다는 읽기 능력 신장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고, 대부분의 영어 능력 평가 시험이 학습자의 영어 읽기 능력을 주로 평가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학습자의 읽기 성취도에 따른 학습자의 읽기 불안 요인들 간의 관계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읽기 불안 요인이 학습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수업 설계와 교수 방법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여 학습자의 효과적인 읽기 학습에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대부분의 영어 수업이 학습자의 말하기, 쓰기 능력보다는 읽기 능력 신장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고, 대부분의 영어 능력 평가 시험이 학습자의 영어 읽기 능력을 주로 평가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학습자의 읽기 성취도에 따른 학습자의 읽기 불안 요인들 간의 관계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읽기 불안 요인이 학습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수업 설계와 교수 방법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여 학습자의 효과적인 읽기 학습에 기여하고자 한다.
  • 성공적인 영어 학습에 미치는 요인이 매우 다양함을 고려하면[37] 본 연구결과를 모든 외국어 읽기 학습에 일반화하여 적용하는 데는 다소 무리가 있어 보인다. 하지만, 본 연구를 통해 영어 읽기 불안 하위요소 간 관계성이 다시 한번 입증되었으며 추후 읽기 불안을 최소화하여 학습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영어 읽기 수업 설계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가설 설정

  • 2. 대학생 읽기 성취도에 따른 읽기 불안 하위요소가 읽기 불안 전체에 미치는 영향력 양상은 어떠한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K. Goodman, "Reading: A psycholinguistic guessing game," Literacy Research and Instruction, Vol.6, No.4, pp.126-135, 1967. 

  2. H. S. Song,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readers' perception of reading in a second language and their reading processes," English Teaching, Vol.48, pp.349-372, 1994. 

  3. P. Bailey, E. C. Daley, and J. A. Onwuegbuzie, "Correlates of anxiety at three stages of the foreign language learning process," Journal of Language and Social Psychology, Vol.19, pp.474-490, 2000. 

  4. R. Gardner and W. Lambert, Attitudes and motivation in second language learning, Rowley, MA: Newbury House, 1972. 

  5. E. K. Horwitz, M. B. Horwitz, and J. A. Cope, "Foreign language classroom anxiety," The Modern Language Journal, Vol.70, No.2, pp.125-132, 1986. 

  6. S. Krashen, The input hypothesis: Issues and Implications, New York: Longman, 1985. 

  7. L. Ganschow and T. Sparks, "Anxiety about foreign language learning among high school women," The Modern Language Journal, Vol.80, No.2, pp.199-212, 1996. 

  8. M. E. Ehrman and R. L. Oxford, "Cognition plus: Correlates of language learning success," The Modern Language Journal, Vol.79, No.1, pp.67-89, 1995. 

  9. T. Scovel, "The effect of affect on foreign language learning: A review of the anxiety research," Language Learning, Vol.28, pp.129-142, 1978. 

  10. 박혜숙, "동기와 언어 불안감이 영어말하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외국어 교육, 제13권, 제4호, pp.213-241, 2006. 

  11. 이은경, L2 지식, L1 독해력, 읽기 불안이 한국학습자들의 영어독해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12. T. Y. Hsiao and R. Oxford, "Comparing theories of language learning strategies: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Modern Language Journal, Vol.86, pp.368-383, 2002. 

  13. P. D. MacIntyre and R. C. Gardner, "Language anxiety: using the focused essay techniques," The Modern Language Journal, Vol.86, pp.368-383, 1991. 

  14. M. Barnett, "More that meets the eye," Foreign Language Annals, Vol.21, pp.109-119, 1988. 

  15. Eskey, D. E. Theoretical foundations. In F. Dublin, D. Eskey & W. Grabe(Eds.), Teaching second language reading for academic purpose(pp.3-23), MA: Addison-Wesley, 1986. 

  16. P. D. MacIntyre, "How does anxiety affect second language learning? A reply to Sparks and Ganschow," The Modern Language Journal, Vol.79, No.1, pp.90-99, 1994. 

  17. Y. Saito, E. K. Horwitz, and T. J. Garza, Foreign language reading anxiety," The Modern Language Journal, Vol.83, pp.202-218, 1999. 

  18. 이은경, 읽기 불안이 영어 읽기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19. S. Krashe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and Second Language Learning,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1981. 

  20. P. Alpert and R. Haber, "Anxiety in academic achievement situations,"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Vol.61, pp.207-215, 1960. 

  21. P. D. MacIntyre and R. C. Gardner, "The subtle effects of language anxiety of cognitive processing in the second language," Language Learning, Vol.44, No.2, pp.283-305, 1994. 

  22. 김경철, 박혜숙, "대학생들의 영어 읽기 불안과 읽기성취도의 관계," 영어영문학, 제40권, 제4호, pp.253-280, 2014. 

  23. Y. Aida, "Examination of Horwitz, Horwitz, and Corpes construct of foreign language anxiety: the case of students of Japanese," The Modern Journal, Vol.78, pp.155-168, 1994. 

  24. V. D. Sellers, "Anxiety and reading comprehension in Spanish as a foreign language," Foreign Language Annals, Vol.48, pp.71-106, 2000. 

  25. 신동로, 권영선, 노상근, "외국어 학습에서 일반 언어불안과 독해 불안과의 관계," 교육논총, 제21권, pp.23-43, 2001. 

  26. 박창숙, 학습불안과 읽기불안이 영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27. 신수정, "대학생들이 경험하는 영어 읽기불안에 관한 인식 연구," 언어학연구, 제22권, 제1호, pp.17-34, 2017. 

  28. T. Hudson, "The effects of induced schemata on the "short-circuit" in L2 reading: Non-decoding factors in L2 reading performance," Language Learning, Vol.32, No.1, pp.1-33, 2006. 

  29. 고보라, 한국 대학생들의 컴퓨터 기반 영어 읽기 시험과 읽기 불안과의 관계연구, 한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30. 김가람, 중학교 영어 학습자의 영어 읽기 불안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31. P. D. MacIntyre and K. A. Noels, "Using social-psychological variables to predict the use of language learning strategies," Foreign Language Annals, Vol.23, pp.373-386, 1996. 

  32. D. J. Young, "Creating a low anxiety classroom environment: What does language anxiety research suggest?," The Modern Language Journal, Vol.75, pp.426-439, 1991. 

  33. 박경례, 학습자 불안과 전략이 영어 듣기, 읽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34. G. F. Taillefer, "L2 reading ability: Further insights into the short-circuit hypothesis," The Modern Language Journal, Vol.80, pp.461-477, 1996. 

  35. S. Krashen, Free voluntary reading, Santa Barbara, CA: Libaries Unlimited, 2011. 

  36. 박상옥, "영어 이야기책 읽기의 효과", 영어교육, 제54권, 제2호, pp.59-83, 1999. 

  37. 이효웅, "영어 학습 태도, 동기 및 책략의 상관관계," 영어교육연구, 제14권, 제1호, pp.189-211, 2002.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