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시각장애 비만대상자를 위한 동기강화 비만관리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평가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Motivation-Strengthening Obesity Management Program for Obese Subjects with Visual Impairment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22 no.4, 2020년, pp.232 - 248  

이성희 (가천대학교 평생교육원 간호학과) ,  최정실 (가천대학교 간호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apply a motivation-strengthening obesity management program for obese subjects with visual impairment and evaluate its effects. Methods: The program development and evaluation periods were from March to August 2018. The study design was an experi...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시각장애 비만대상자가 스스로 문제점을 인식하는 것에서 시작하여 건강하고 바람직한 식생활과 신체활동을 습관화하여 건강 유지 및 증진까지 연계될 수 있도록 간호학 측면에서 동기강화 비만관리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여 시각 장애 비만대상자의 비만 관리와 더 나아가 시각장애 대상자의 건강증진을 위한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장애 비만대상자의 특성에 맞게 동기강화 비만관리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이에 따른 효과를 파악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시각장애 비만대상자를 위한 동기강화 비만관리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반복측정설계의 유사 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를 위하여 I 소재 시각장애학교를 방문하여 학교장과 보건교사에게 연구목적과 연구 진행절차에 관해 설명한 후 행정적인 허락과 함께 프로그램 진행을 위한 장소에 대한 협조를 받았다. 안내문 공지에 따라 신청한 대상자의 자료수집은 보건실에서 이루어 졌으며, 연구 설명문 및 동의서에는 연구목적, 연구 절차, 자료수집 과정, 비밀 보장, 연구대상자 참여의 자율적 결정 등이 포함되어 있다.
  • 동기강화 비만관리프로그램은 선행연구 비만프로그램을 검토하고 이를 근거로 개발하되 다양한 연령층의 시각장애 대상자가 좀더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자 노력하였다. 운동프로그램은 문헌과 요구도 분석을 기초로[6] 시각장애로 인한 제한된 신체활동 이나 운동 경험이 부족한 대상자, 기초 체력의 저하로 운동 미이행 대상자 등 연령대가 다양한 시각장애 대상자가 운동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하였다.
  • 본 연구는 시각장애 비만대상자가 스스로 문제점을 인식하고 바람직한 식생활과 신체활동을 습관화하여 비만관련 문제개선과 함께 적극적으로 자가관리를 할 수 있도록 시각장애 비만대상자의 특성을 기초로 비만관리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들에게 적용하여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간호학 측면에서 시각장애 대상자의 건강 유지 및 효과적인 건강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 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시각장애 비만대상자가 스스로 문제점을 인식하고 바람직한 식생활과 신체활동을 습관화하여 비만관련 문제개선과 함께 적극적으로 자가관리를 할 수 있도록 시각장애 비만대상자의 특성을 기초로 비만관리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들에게 적용하여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간호학 측면에서 시각장애 대상자의 건강 유지 및 효과적인 건강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 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시각장애 비만대상자를 위한 교육·운동·상담·토의로 구성된 동기강화 비만관리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함으로써 비만관련 지식, 인지된 유익성, 인지된 장애성, 식이 자기효능감, 운동 자기효능감, 비만관련 삶의 질, 생리학적 지수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의 지속성 효과 확인을 위해 사전·사후·추후 시점에 따라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Woo JT. 2014 Guidelines for obesity treatment. seoul: korean society of obesity treatment guidelines committee; 2014. p. 1-204. 

  2. Lee GE. 2015 Diabetes care guidelines. seoul: korean diabetes association; 2015. p. 1-161. 

  3. Kang CW, Jung HK, Kim JH, Lee MH, Yoon HW, Nam MH, et al. Health korea starts from obesity management! national obesity management comprehensive measures[Internet]. Sejong Cit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8 July 26[cited 2018 July 27].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345515 

  4. Kim Y. A study of prevalence of obesity and policy development for reducing obesity among people with disabilities in korea. Final report.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Research & Business Development Foundation; 2011 Feb. Publication registration No.: 11-1352000-000218-14. 

  5. Lee BS, Ho SH, Kim YS, Yang JH, Ahn BK, Baek YJ, et al. 2017 Disabled health care project. Final report. Seoul: National Rehabilitation Center; 2018 April. Report No.: IS-11-18-06. 

  6. Exercise guide for the visually impaired.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National Health Knowledge Center; 2014. 

  7. Carroll DD, Courtney-Long EA, Stevens AC, Sloan ML, Lullo C, Visser SN, et al. Vital signs: disability and physical activity-united states, 2009-2012. Morbidity and Mortality weekly report. 2014;63(18):407-413. 

  8. Choi OJ, Cho SI.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change of the obesity condition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2019;45(1):23-35. https://doi.org/10.22900/kphr.2019.45.1.003 

  9. Ku HW, Kim YW, Yi YK, Choi HS. Physical education and guidance materials for visually impaired students-visually impaired characteristics[Internet]. Asan: National Institute of Special Education. 2005[cited 2018 July 26]. Available from: http://www.nise.go.kr/ebook/site/20170125_150054/ 

  10. Kim SH, Lee YH, Oh WC, Hwang JH, Oh MA, Lee MK, et al. 2017 Disability reality survey. Policy report. Sejong City: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7 May. Report No.: 2017-90. 

  11. Haegele JA, Famelia R, Lee JH.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physical activity, and sedentary behavior of adults with visual impairments.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2017;39(22):2269-2276. https://doi.org/10.1080/09638288.2016.1225825 

  12. Jeon EY. The effects of daily lifestyle factors on metabolic syndrome among adults with visual impairment. Journal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2015;25(2):41-53. 

  13. Kim SH, Han MK. Norm-standard of physical fitness test for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Korean Journal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2012;20(2):57-69. https://doi.org/10.17006/kjapa.2012.20.2.57 

  14. Jones N, Bartlett H. The impact of visual impairment on nutritional status: a systematic review. British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2018;36(1):17-30. https://doi.org/10.1177/0264619617730860 

  15. Hwang SY, Lee KR, Lee HH. The status and preference types of the leisure activities of visually impaired workers. The Korean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2015;31(3):127-156. 

  16. Kwon SJ. Health care and health statu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policy issues.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18;263(0):21-33. 

  17. Byeun JK, Kim KS. The analysis of exercise program for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improvement of people with visually impaired. The Korean Society of Sports Science. 2016;25(1):1451-1461. 

  18. Kim SS, Chung JS, Kim IK, Song YM. The effect of exercise programs on blood component of visually handicapped.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2001;40(2):611-622. 

  19. National Information Law Center. Enforcement decree of the act on welfar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rticle 2 (Types and standard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Internet]. Sejong City: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8 Dec 31 [cited 2018 Dec 31].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lsSc.do?menuId1&subMenuId15&query%EC%9E%A5%EC%95%A0%EC%9D%B8%EB%B3%B5%EC%A7%80%EB%B2%95%20%EC%8B%9C%ED%96%89%EB%A0%B9#J9807335 

  20. Bak SH. Understanding and education of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s. 3rd ed. Seoul: Hakjisa; 2014. p. 1-575. 

  21. Dedeli O, Fadiloglu C.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health belief model scale in obesity. TAF Preventive Medicine Bulletin. 2011;10(5):533-542. https://doi.org/10.5455/pmb.20110118022318 

  22. Parcel GS, Edmundson E, Perry CL, Feldman HA, O'Hara-Tompkins N, Nader PR, et al. Measurement of self-efficacy for diet-related behaviors amo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Journal of School Health. 1995;65(1):23-27. https://doi.org/10.1111/j.1746-1561.1995.tb03335.x 

  23. Clark MM, Abrams DB, Niaura RS, Eaton CA, Rossi JS. Self-efficacy in weight management.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1991;59(5):739-744. https://doi.org/10.1037//0022-006x.59.5.739 

  24. Shin JH. A comparative study on obesity index, nutritional knowledge, dietary attitudes and dietary self-efficacy of home economics teachers, dietitians, and nurses in daegu and kyungbuk province[master's thesis]. Daegu:Kyungpook ational University; 2008. p. 1-83. 

  25. Park HS, Sung SW, Sang WO, Lee KY, Kim BS, Han JH, et al.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obesity-related quality of life scal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003;12(4):280-293. 

  26. Seels, BB, Richey RC. Instructional technology: the definitions and domains of the field. 1st ed. Bloomington, I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communications; 1994. p. 1-186. 

  27. Wallace JP, Ray S. Obesity. In: Larry DJ, et al. editors. ACSM's Exercise management for persons with chronic diseases and disabilities. 3rd ed. Indianapolis: Human Kinetics; 2009. p. 192-200. 

  28. Kim YH, Kim HS, Kang SJ. Effects of obesity management program on changes in body mass, physical activity and its related psychological variables in obese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 2013;24(1): 193-208. 

  29. Seo NS, Kim YH, Kang HY. Effects of an obesity control program based on behavior modification and self-efficacy in obese elementary school childr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5;35(3):611-620. 

  30. Bramlage P, Wittchen HU, Pittrow D, Kirch W, Krause P, Lehnert H, et al. Recognition and management of overweight and obesity in primary care in germany.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2004;28(10):1299-1308. https://doi.org/10.1038/sj.ijo.0802752 

  31. So WY, Jun TW, Seo DI, Chang HK, Seo HK, Eom WS, et al. Effects of 12-week elastic band exercise on physical self-efficacy scale, beck depression inventory and SF-36 in middle-aged obese women.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2009;9(2):161-167. 

  32. Haegele JA, Kirk TN, Zhu X. Self-efficacy and physical activity among adults with visual impairments. Disability and Health Journal. 2018;11(2):324-329. https://doi.org/10.1016/j.dhjo.2017.10.012 

  33. Oh HS, Sim MJ, Oh HE. The effects of an obesity-management program on body composition, abdominal circumference, and lipid metabolism for middle-aged obese women.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10;12(2):89-96. 

  34. Park SY, Choi JH. The effects of exercise participation body composition, blood pressure, and blood lipids in obese middle aged women. The Korean Society of Sports Science. 2017;26(2):1027-1035. https://doi.org/10.35159/kjss.2017.04.26.2.1027 

  35. Jung SL. The effect of circuit training and aerobic exercise on the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the arteriosclerosis index of the middle-aged obesity women. The Korean Society of Sports Science. 2009;18(1):1019-1030. 

  36. Jung HS, Chang YS, Yun KE, Kim CW, Choi ES, Kwon MJ, et al. Impact of body mass index, metabolic health and weight change on incident diabetes in a Korean Population. Obesity. 2014;22(8):1880-1887. https://doi.org/10.1002/oby.20751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