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학과생과 응급구조학과생의 PTSD에 대한 태도와 지식
Attitude and knowledge on PTSD of nursing and paramedic students in Korea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26 no.4, 2020년, pp.393 - 401  

홍선우 (대전대학교 응급구조학과) ,  방경숙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간호과학연구소) ,  방활란 (안동대학교 간호학과) ,  임지희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attitude and knowledge level o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among nursing and paramedic students. Method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rom December 1st to 20th in 2019. A total of 210 students participated from two universities in Korea. Dat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학과생과 응급구조학과생의 PTSD에 대한 태도와 지식 정도를 파악하고, 전공 및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는 서술적 비교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PTSD에 대한 관련성이 높은 보건의료관련 학생 중 간호학과 학생들과 응급구조학과 학생들의 PTSD에 대한 태도와 지식 정도, 그리고 PTSD 발생률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PTSD에 대한 태도와 지식은 두 학과 간에는 치료방법에 대한 지 식 이외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임상실습경험과 PTSD에 대한 교육경험이 있는 경우 지식 정도가 유의하게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학과 학생들과 응급구조학과 학생들의 PTSD에 대한 태도와 지식 정도를 확인하고,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PTSD에 대한 태도와 지식수준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향후 PTSD에 대한 정확한 지식이 필요한 보건의료관련 학생 중 간호학과 학생들과 응급구조학과 학생들의 PTSD에 대한 태도와 지식 정도를 확인하고, 학과, 학년, PTSD에 대한 교육 여부 등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PTSD에 대한 지식과 태도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보건의료관련 학생이나 의료제공자들의 PTSD 관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1040191-20912-HR-091-01), IRB에서는 한국판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에 대한 연구와 간호학과생과 응급구조학과생의 PTSD에 대한 태도와 지식수준 비교에 대한 별도의 2가지 목적을 갖고 논문을 진행하는 것에 대한 승인을 받았다. 즉, 같은 데이터셋을 이용하여 한국판 PTSD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에 대한 연구를 먼저 진행한 바 있으며[22], 본 논문에서는 간호학과생 과 응급구조학과생의 PTSD에 대한 태도와 지식 정도를 파악하고, 전공 및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는 서술적 비교 조사 연구를 진행하여, 각각 다른 목적을 가진 별도의 2개 논문으로 진행한 것임을 밝힌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world outbreak of coronavirus infection-19 (COVID-19) [Internet].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20 [cited 2020 Nov 03]. Available from http://ncov.mohw.go.kr/bdBoardList_Real.do?brdId1&brdGubun14&ncvContSeq&contSeq&board_id&gubun 

  2. Bo HX, Li W, Yang Y, Wang Y, Zhang Q, Cheung T, et al.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attitude toward crisis mental health services among clinically stable patients with COVID-19 in China. Psychological Medicine. 2020 Mar:1-2. https://doi.org/10.1017/S0033291720000999 

  3. Belrose C, Duffaud AM, Dutheil F, Trichereau J, Trousselard M. Challenges associated with the civilian reintegration of soldiers with chronic PTSD: A new approach integrating psychological resources and values in action reappropriation. Frontiers in Psychiatry. 2018;9:737. https://doi.org/10.3389/fpsyt.2018.00737 

  4. Cenat JM, Mukunzi JN, Noorishad PG, Rousseau C, Derivois D, Bukaka J. A systematic review of mental health programs among populations affected by the Ebola virus disease.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2020;131:109966. https://doi.org/10.1016/j.jpsychores.2020.109966 

  5. Dutheil1 F, Mondillon L, Navel V. PTSD as the second tsunami of the SARS-Cov-2 pandemic. Psychological Medicine. 2020;1-2. https://doi.org/10.1017/S0033291720001336 

  6. Hong X, Currier GW, Zhao X, Jiang Y, Zhou W, Wei, J.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convalescent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patients: A 4-year follow-up study. General Hospital Psychiatry. 2009;31(6):546-554. https://doi.org/10.1016/j.genhosppsych.2009.06.008 

  7. Xiang YT, Yang Y, Li, W, Zhang L, Zhang Q, Cheung T, et al. Timely mental health care for the 2019 novel coronavirus outbreak is urgently needed. The Lancet Psychiatry. 2020;7(3):228-229. https://doi.org/10.1016/S2215-0366(20)30046-8 

  8. Goldstein RB, Smith SM, Chou SP, Saha TD, Jung, J, Zhang H, et al. The epidemiology of DSM-5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the United States: Results from the national epidemiologic survey on alcohol and related conditions-III. Social Psychiatry and Psychiatric Epidemiology. 2016;51(8):1137-1148. https://doi.org/10.1007/s00127-016-1208-5. 

  9. Pietrzak RH, Goldstein RB, Southwick SM, Grant BF. Prevalence and Axis I comorbidity of full and partial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the United States: Results from wave 2 of the national epidemiologic survey on alcohol and related conditions. Journal of Anxiety Disorders. 2011;25(3):456-465. https://doi.org/10.1016/j.janxdis.2010.11.010. 

  10. Ryu J, Ha E, Jeong-Choi K, Kim JE, Park S, Kim H. Firefighters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Psychiatry. 2017;24(1):10-18. 

  11.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Firefighter's job stress and PTSD [Internet]. Sejoong: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2014 [cited 2020 Nov 03]. Available from https://www.korea.kr/archive/expDocView.do;JSESSIONID_KOREADPNZcCYKdtlmJGsYwQsjN3Gbq3QfQx52l2VTc50ZqlLJbp8KyLVn!-140279680!1309466957?docId35047 

  12. Schuster M.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nurses: An integrative review.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20;29(15-16):2769-2787. https://doi.org/10.1111/jocn.15288 

  13. Kim HG, Choi JY. Factors influencing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critical care nurses based on Lazarus & Folkman's stress, appraisal-coping model.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20;32(1):88-97. https://doi.org/10.7475/kjan.2020.32.1.88 

  14. Hwang JN, Park WJ. Influence of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conflict management styles on nursing performance of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2018;11(3):58-70. https://doi.org/10.0000/jkccn.2018.11.3.58 

  15. Harik JM, Matteo RA, Hermann BA, Hamblen JL. What people with PTSD symptoms do (and do not) know about PTSD: A national survey. Depression and Anxiety. 2017;34(4):374-382. https://doi.org/10.1002/da.22558 

  16. Hoge CW, Riviere LA, Wilk JE, Herrell RK, Weathers FW. The prevalence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in US combat soldiers: A head-to head comparison of DSM-5 versus DSM-IV-TR symptom criteria with the PTSD checklist. Lancet Psychiatry. 2014;1(4):269-277. https://doi.org/10.1016/S2215-0366(14)70235-4 

  17. Roberts AL, Gilman SE, Breslau J, Breslau N, Koenen KC. Race/ethnic differences in exposure to traumatic events, development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treatment-seeking fo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the United States. Psychological Medicine. 2011;41(1):71-83. https://doi.org/10.1017/S0033291710000401 

  18.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Internet]. Seoul: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20 [cited 2020 Nov 03]. Available from https://www.nhis.or.kr/bbs7/boards/B0039/37570 

  19. Tsai J, Shen J, Southwick SM, Greenberg S, Pluta A, Pietrzak RH. Public attitudes and literacy about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US adults. Journal of Anxiety Disorders. 2018;55:63-69. https://doi.org/10.1016/j.janxdis.2018.02.002 

  20. Chung YK, Kim SY, Cho SM.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firefighters. Journal of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08;51(12):1103-1110. https://doi.org/10.5124/jkma.2008.51.12.1103 

  21. Link KA, Smith LS. Primary care advanced practice RNs' knowledge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screening. Journal of Psychosocial Nursing & Mental Health Services. 2017;55(9):23-32. https://doi.org/10.3928/02793695-20170818-10 

  22. Bang KS, Bang HR, Hong SW, Lim JH.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version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scale (K-PTSD) measuring attitudes and knowledge of PTSD.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20;26(1):47-55. https://doi.org/10.5977/jkasne.2020.26.1.47 

  23. Stuber JP, Rocha A, Christian A, Link BG. Conceptions of mental illness: Attitudes of mental health professionals and the general public. Psychiatric Services. 2014;65(4):490-497. https://doi.org/10.1176/appi.ps.201300136 

  24. Hong Y, Cho SB. Awareness of disaster and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in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7;8(7):539-547. https://doi.org/10.5762/KAIS.2017.18.7.539 

  25. Choi YK. Evidence-based treatment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17;36(4):526-549. https://doi.org/10.15842/kjcp.2017.36.4.006 

  26. Van Ameringen M, Mancini C, Patterson B, Boyle MH.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Canada. CNS Neuroscience & Therapeutics. 2008;14(3):171-181. https://doi.org/10.1111/j.1755-5949.2008.00049.x 

  27. Munro CG, Freeman CP, Law, R. General practitioners' knowledge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 controlled study. British Journal of General Practice. 2004;54(508):843-847. 

  28. Seo YS, Cho HJ, An HY, Lee JS. Traumatic events experienced by South Koreans: Types and prevalenc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012;24:671-701. 

  29. Shin JY, Lee D, Lee SY, Han Y. A study on types of traumatic events experienced by undergraduate students. The Journal of Play Therapy. 2015;19(2):69-9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