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학과와 타 보건의료관련 학과 학생들의 전문직 간 학습 준비도 차이
Differences between Perceived Readiness for Interprofessional Learning in Nursing and Other Health-related Students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25 no.3, 2019년, pp.312 - 320  

이현경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김모임간호학연구소) ,  김인숙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김모임간호학연구소) ,  이태화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김모임간호학연구소) ,  김광숙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김모임간호학연구소) ,  조은희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김모임간호학연구소) ,  이경희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김모임간호학연구소) ,  김정희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김모임간호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perceived readiness for interprofessional learning and its differences between nursing and other health-related students. Methods: A web-based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25 to June 30, 2017 in one university in Korea. A total of...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국내의 경우, 간호대학 교수진 및 간호사의 전문직 간 교육에 대한 인식과 필요성에 대하여 조사되었지만(Kim, Hwang, & Shin, 2017), 아직까지 학부 학생들의 전문직 간 학습 준비도에 대해서는 파악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간호학과와 타 전공 학생들의 전문직 간 국제보건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요구도 분석의 일환으로 일 대학의 간호학과 학생들과 타 보건의료관련 학과 학생들의 전문직 간 학습 준비도의 수준을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건의료 분야에서 IPE의 장점은 무엇인가? 보건의료 분야에서 IPE는 학습자의 협력적인 팀워크의 지식, 기술, 태도를 향상시키며, 환자 중심 치료의 질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로 보고되었다(Guraya & Barr, 2018). 팀 기반의 건강문제 중재는 전문직의 실무 능력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대상자의 건강 지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Zwarenstein et al., 2009).
전문직 간 교육이란 무엇인가? 전문직 간 교육은(Interprofessional Education [IPE]) 둘 이상 전문직의 학생들이 효과적인 협력을 가능하게 하고 건강 결과를 개선하기 위해 서로에 대하여 배우고, 상대방으로부터 배우고, 서로 함께 배우는 것을 의미한다(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2010). 학생들은 전문직 간 업무 방법의 이해를 통해 협력적으로 실무팀의 일원으로서의 준비를 할 수 있으며, 전문직 간 건강관리팀은 각 구성원이 가지고 있는 기술을 최적화할 뿐 아니라, 사례 관리를 공유하고 더 나은 건강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이해하게 된다(WHO, 2010).
학생들이 전문직 간 업무 방법 이해를 통해 얻는 것은 무엇인가? 전문직 간 교육은(Interprofessional Education [IPE]) 둘 이상 전문직의 학생들이 효과적인 협력을 가능하게 하고 건강 결과를 개선하기 위해 서로에 대하여 배우고, 상대방으로부터 배우고, 서로 함께 배우는 것을 의미한다(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2010). 학생들은 전문직 간 업무 방법의 이해를 통해 협력적으로 실무팀의 일원으로서의 준비를 할 수 있으며, 전문직 간 건강관리팀은 각 구성원이 가지고 있는 기술을 최적화할 뿐 아니라, 사례 관리를 공유하고 더 나은 건강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이해하게 된다(WHO, 2010). 보건의료 분야에서 다학제 간 건강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Zwarenstein, Goldman, & Reeves, 2009), 미국간호교육협의회를 포함한 6개 보건의료학생 교육단체의 협력을 통해 Interprofessional Education Collaborative (IPEC)가 2009년에 발 족 되었고, 가치와 윤리, 역할과 책임, 전문직 간 의사소통, 팀워크의 핵심역량을 제시하였다(Interprofessional Education Collaborative [IPEC], 20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arton, Amy J., Brandt, Barbara. Interprofessional Education in the Age of Risk and Innovation. Th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vol.57, no.11, 635-637.

  2. Behling 2000 

  3. Dilman 2000 

  4. Granheim, Benedikte M., Shaw, Julie M., Mansah, Martha. The use of interprofessional learning and simulation in undergraduate nursing programs to address interprofessional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An integrative review of the literature. Nurse education today, vol.62, 118-127.

  5. Guraya, Salman Yousuf, Barr, Hugh. The effectiveness of interprofessional education in healthcar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The Kaohsiung journal of medical sciences, vol.34, no.3, 160-165.

  6. 2015 

  7. 2016 

  8. 김조자, 안양희, 김미원, 정연옥, 이주희. 간호학 특성을 반영한 4년제 간호교육 평가인정 표준 및 기준 개발. 대한간호학회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36, no.6, 1002-1011.

  9. 김건희, 황은희, 신수진. 간호교육에서의 전문직 간 교육에 대한 현황과 발전방향. 의학교육논단 = Korean medical education review, vol.19, no.1, 18-24.

  10. 김미원, 박정모, 한애경. 4년제 간호학과 교과과정 분석.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17, no.3, 414-423.

  11. Labrague, Leodoro J., McEnroe – Petitte, Denise M., Fronda, Dennis C., Obeidat, Arwa Atef. Interprofessional simulation in undergraduate nursing program: An integrative review. Nurse education today, vol.67, 46-55.

  12. Lee, Young Hee, Ahn, Ducksun, Moon, Jooyoung, Han, KuemSun. Perception of interprofessional conflicts and interprofessional education by doctors and nurses.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 KJME, vol.26, no.4, 257-264.

  13. Lestari, Endang, Stalmeijer, Renée E., Widyandana, Doni, Scherpbier, Albert. Understanding students’ readiness for interprofessional learning in an Asian context: a mixed-methods study. BMC medical education, vol.16, 179-.

  14. Lim, Daphne A.F.N., Noble-Jones, Rhian. Interprofessional education (IPE) in clinical practice for pre-registration nursing students: A structured literature review. Nurse education today, vol.68, 218-225.

  15. McFadyen, A., Webster, V., Strachan, K., Figgins, E., Brown, H., Mckechnie, J.. The Readiness for interprofessional learning scale: A possible more stable sub-scale model for the original version of RIPLS. Journal of interprofessional care, vol.19, no.6, 595-603.

  16. McFadyen, A. K., Webster, V. S., Maclaren, W. M., O'neill, M. A.. Interprofessional attitudes and perceptions: Results from a longitudinal controlled trial of pre-registration health and social care students in Scotland. Journal of interprofessional care, vol.24, no.5, 549-564.

  17. 2016 

  18. Interprofessional education programs for nursing students: A systematic review Park 235 2018 

  19. Parsell, Glennys, Bligh, John. The development of a questionnaire to assess the readiness of health care students for interprofessional learning (RIPLS). Medical education, vol.33, no.2, 95-100.

  20. Porter, S. R., Whitcomb, M. E.. Mixed-Mode Contacts In Web Surveys. Public opinion quarterly, vol.71, no.4, 635-648.

  21. Reis, Pamela J., Faser, Karl, Davis, Marquietta. A Framework for Web‐Based Interprofessional Education for Midwifery and Medical Students. Journal of midwifery & women's health, vol.60, no.6, 713-717.

  22. Riskiyana, R., Claramita, M., Rahayu, G.R.. Objectively measured interprofessional education outcome and factors that enhance program effectiveness: A systematic review. Nurse education today, vol.66, 73-78.

  23. Talwalkar, Jaideep S., Fahs, Deborah B., Kayingo, Gerald, Wong, Risa, Jeon, Sangchoon, Honan, Linda. Readiness for interprofessional learning among healthcare professional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vol.7, 144-148.

  24. Wong, Risa Liang, Fahs, Deborah Bain, Talwalkar, Jaideep S., Colson, Eve R., Desai, Mayur M., Kayingo, Gerald, Balanda, Matthew, Luczak, Anthony G., Rosenthal, Marjorie S.. A longitudinal study of health professional students’ attitudes towards interprofessional education at an American university. Journal of interprofessional care, vol.30, no.2, 191-200.

  25. 2010 

  26. The impact of an interprofessional practice experience on readiness for interprofessional learning Zaudke 371 2016 

  27. Zwarenstein, Merrick, Goldman, Joanne, Reeves, Scott.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on: effects of practice-based interventions on professional practice and healthcare outcomes..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vol.2009, no.3, 00007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