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태계교란 식물 가시박의 개체밀도에 대한 환경요인 영향 분석 - 금강수계 미호천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Density of Ecosystem-Disturbing Plant Sicyos angulatus - Centering on Miho Stream -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22 no.4, 2020년, pp.295 - 301  

이영기 (K-water 수질안전처) ,  김호준 (K-water 유역물관리연구소) ,  김이형 (공주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생태계 교란식물 가시박의 방제를 위한 기초자료 확보를 위해 금강수계 미호천을 대상으로 가시박의 개체밀도에 영향을 주는 환경요인과의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가시박 서식지 토양입도 분석결과 가시박 개체밀도는 실트질 및 점토질 함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시박 서식지 대부분은 모래질 및 실트질 함량이 높았으며 점토질은 2% 이하로 낮게 나타났다. 유량의 경우 평수량 및 풍수량 초과 이벤트가 증가할수록 가시박 개체밀도는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유량증가시 가시박의 침수로 인한 토양특성 변화와 성장장애 떄문이다. 수질은 가시박이 침수시 양분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나 가시박이 물에 침수시 토양특성 변화로 성장장애를 받기 때문에 오히려 가시박 개체밀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생태하천복원사업 등 하천의 자연성 회복을 위한 자연적 방제기법으로 가시박 성장환경을 가진 토양에 자연형 물길을 조성함으로써 물관리를 통한 기법이 적용 가능할 것으로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 density of Sycios angulatus in the Miho Stream, Geum River water system in order to secure basic data for the control of the ecosystem-distrubing plant Sycios angulatus. As a result of the soil particle size analysis of Sy...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따라 주로 물에 의해 수계를 따라 전국적으로 확산된 가시박의 특성을 고려 가시박 조사 및 방제방안 마련 등을 위해서는 하천 수변구역(riparian zone)에 서식하는 가시박과 주요 환경요인과의 영향관계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장 여건에 맞는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가시박 관리기법 도출을 위해 가시박 서식지 개체밀도와 해당 지점의 토양 특성, 하천의 유량, 수질 등과의 상관성을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하천의 자연성 회복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하천 관련 사업(생태하천복원사업, 하천정비사업 등)시 가시박의 효율적 관리기법 도출에 활용될 수 있다.
  • 이러한 가시박의 확산 방지를 위해 물리적, 화학적 방제 등이 연구개발 되었으나(MOE, 2014) 아직 실용화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생태계 교란식물인 가시박에 대한 하천 수계 내에서의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관리대책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로 수행되었으며 가시박 밀도와 서식지 토양, 유량, 수질 등 환경요인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금강 수계 내 생태계교란종인 가시박의 발생과 주요 환경요인과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금강의 지류인 미호천 일대와 금강 본류인 세종보-대청댐 구간을 대상으로 2018년 가시박 서식지를 탐색하여 총 37지점을 확인하였고, 2019년에 상기 37개 지점에 대한 현장조사를 통해 19개 지점을 정밀조사 지점으로 선정한 후 가시박 분포 및 서식환경 조사를 수행하였다(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Water Information Portal(http://www.water.or.kr). 

  2.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Information of Korean alien spicies(https://kias.nie.re.kr). 

  3.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Water Environment Information System(https://water.nier.go.kr). 

  4.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2013). The First 10 years of KNLTER (2004-2013) Final Report. NIER-SP2013-427. 

  5. Ministry of Environment(2014). Development of environmentally-friendly control of burcucumber. 403-112-003. Research & Business Foundation, Korea University 

  6. Asaeda T, Rashid MDH, Kotagiri S, Uchida.(2011). The role of soil characteristics in the succession of two herbaceous lianas in a modifided river floodplain. River Research and Application, 21. pp. 591-601. 

  7. Asaeda T, Rashid MDH(2013). Floodplains of Regulated Rivers: Plant-Soil Interactions in Changing Ecosystems. Restoration and Ecological Implications, 21. 

  8. Bang JY, Hn YB, Kim HJ, You YH(2015). Studies on the woody vegetation in the edge of natural river for Ecological Restoration in Korea.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17(2), pp. 124-129. 

  9. Johansson ME, Niisson E(1996). Do rivers function as corridors for plant dispersal. Journal of Vegetation Science, 7, pp. 593-598. 

  10. Joo GJ, Kim HW, Ha K(1997). The development of stream ecology and current status in Korea.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20(1), pp. 69-78. 

  11. Kang BH(2009). Sycios angulatus and ecological disturbing plant. Korean J. Weed Sci., 29(suppl. 2), pp. 3-10 

  12. Kim JW, Lee IY. Lee J(2017). Distribution of invasive alien species in Korean croplands. Weed and Turfgrass Science, 6, pp 117-123. 

  13. Moon BC, Park TS, Cho JR, Oh SM, Lee IY, Kang CK, Kuk YI(2007). Kor. J. Weed Sci, 27(1), pp. 36-40. 

  14. Oh DG, Shim DB, Song SH, Oh JH, Hong SH, Shim SI(2015). Effects of soil moisture condition and shading on growth of invasive plant burcucumber (Sicyos angulatus L.). Weed and Turfgrass Science, 4(4) pp 315-320. 

  15. Smeda RJ, Weller SC(2001). Biology and control of burcucumber. Weed Science, 49, pp. 99-1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