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LID 시설 관리를 위한 사물인터넷(IoT) 활용 복합 센싱 적용기술 개발
Development of Composite Sensing Technology Using Internet of Things (IoT) for LID Facility Management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22 no.4, 2020년, pp.312 - 320  

이승재 (공주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전민수 (공주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이정민 (토지주택연구원 건설환경연구실) ,  김이형 (공주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도시 환경문제 및 개발사업 환경영향 저감을 위하여 자연적 물 순환 기능을 가진 다양한 LID가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LID 시설의 과도한 침투와 증발산은 LID 내부 토양을 건조화시켜 식물과 미생물 활동성을 떨어뜨리고 환경저감 능력을 감소시킨다. 본 연구는 LID 시설의 관리 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복합적인 센서를 적용한 실시간 측정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측정 가능한 센서와 사물인터넷(IoT) 적용 실험은 아크릴 상자에 형상화한 인공습지에서 수행되었다. 적용되는 센서는 분산형으로 설치되는 LID를 고려하여 저비용으로 구축하고자 하였으며 비교적 저렴하면서 상용화되어있는 아두이노와 라즈베리 파이를 기반으로 하였다. 그리고 LID 시설의 현재 상태와 유지관리 및 이상기후 시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복합적인 센서 측정 개발에 목표를 두었다. 센서는 풍향·풍속, 강우량, 이산화탄소, 미세먼지, 온도·습도, 산성도, 위치 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도록 하였다. 또한 측정된 데이터의 수집, 전송 및 결과 확인을 위하여 데이터 수집 장치, 저장 서버 프로그램 및 PC와 모바일 활용 결과 확인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각 센서를 통해 얻은 측정값들은 Wifi 모듈을 통해 관리 서버로 전달되고 실시간으로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된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4개월간의 측정 결과를 분석한 결과 LID 시설에 ICT 기술 적용의 안정성과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실시간으로 측정된 값은 LID 시설의 기능 평가 및 유지관리 방안 도출을 위한 빅데이터 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Various LIDs with natural water circulation function are applied to reduce urban environmental problems and environmental impact of development projects. However, excessive Infiltration and evaporation of LID facilities dry the LID internal soil, thus reducing plant and microbial activity and reduci...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LID 시설의 기능 평가 및 유지관리 방안 도출을 위하여 LID 시설 내·외부에 복합적인 센서를 구축하고자 수행되었다.
  • 그러나 LID 시설은 소규모 분산형 시설이기에 시설의 효율 측정 및 유지관리를 위한 다양한 센서 설치는 비경제적이며, 센서를 이용한 측정 방법의 정보 부족 등으로 적용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LID 시설에 기능 유지와 시설의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해 필요한 측정항목 선정과 실시간 측정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 그러나 측정 자료가 실시간 현황을 반영하지 못하기에 LID 시설의 내부 환경변화에 따른 효율의 지속가능성을 유지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LID 시설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내부 및 외부 환경변화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전송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 일반적으로 LID 시설의 기능은 내부의 복잡한 상호작용으로 나타나기에 그동안 기능 유지를 위한 관리 주기 및 방법 도출에 어려움을 겪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용 효율적 LID 운영 및 시설 관리를 위하여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한 복합 센싱 기술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하지만 Arduino와 Raspberry PI는 슬롯의 정해진 개수와 적용 센서항목들의 제한으로 인하여 필수 항목만 선정하여 측정하고 미계측 항목에 대해서는 상관성 분석을 통한 예측을 해야 한다.
  • IoT 기술 활용을 위해 다양한 보드를 선택할 수 있다. 하지만 상업과 교육용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Arduino와 Raspberry PI는 Odroid, Udoo, Cubieboard, Pcduino, 비글보드, 라떼판다 등의 보드 보다 가격이 저렴하고 성능 면에서도 크게 뒤지지 않기 때문에 본 연구를 위해서 사용되었다. Arduino는 오픈소스를 기반으로 단일 보드 마이크로컨트롤러로 완성된 보드와 관련 개발도구 및 환경을 말한다(Massimo et.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Airkorea. http://www.airkorea.co.kr/stationinfo 

  2. Arduino web site, https://www.arduino.cc/ 

  3. Choi, H.S, Jeon, J.C, Hong J.S, Lee, S.Y and, Kim, L.H (2016), Assessment of Salt Resistance and Performances of LID Applicable Plants. J. of Wetlands Research, 18(2), pp. 201-207. 

  4. Jeon, J.C, Junh, J.H, Kim, Y.S and, Kim, L.H (2018), A Review of Research Trend Related to NPS and Suggestion for Research Direction in the Future. J. of Wetlands Research, 20(1), pp. 80-93. 

  5. Kim, L.H and Kang, J.H (2004), Determination of Event Mean Concentrations and Pollutant Loadings in Highway Storm Runoff. J.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20(6), pp. 631-640. 

  6. Kim, L.H, Lee, S.Y, and Min, K.S (2008). The 21st sustainable environmental policies for protecting the water quality and aquatic rcosystems. J. of Wetlands Research, 10(2), pp. 53-66. 

  7. KMA, https://www.weather.go.kr/ 

  8. Kim, T.Y, Lee, Y.S (2017), Development of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Using Raspberry Pi and Verification of System through HILS, J. Institute of Control, Robotics and Systems, 23(11) pp. 927-934 

  9. Lee, S.Y, Choi, J.Y, Hong, J.S Choi, H.S and Kim, L.H (2016). Cost-effective assessment of filter media for treating stormwater runoff in LID facilities, J. of Wetlands Research, 18(2), pp. 194-200. 

  10. Lee, S.Y, Maniquiz-Redillas, MC, Choi, J.Y, and Kim, L.H (2014). Nitrogen mass balance in a constructed wetland treating piggery wastewater effluent, J. of Environmental Sciences, 26(6), pp. 1260-1266. 

  11. Maniquiz-Redillas, MC, and Kim, L.H (2014). Fractionation of heavy metals in runoff and discharge of a stormwater management system and its implications for treatment, J. of Environmental Sciences, 26(6), pp. 1214-1222. 

  12. MOE (Ministry of Environment) (2012). The 2nd Phase NPS Management Measures,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13. US EPA, (2000), Low impact development(LID), A literature review.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841-B00-005. 

  14. Yoo M.S (2018), Development of experimental water level measuring device using an Arduino and an ultrasonic sensor,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18(4), pp.143-147 

  15. Massimo Banzi, and Michael Shiloh (2014), "Getting Started with Arduino: The Open Source Electronics Prototyping Platform (Make)", 3rd Edition, Maker Media, Inc., pp. 15-2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