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시지가의 형평성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Equity of Officially Assessed Land Price in Seoul 원문보기

지적과 국토정보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v.50 no.2, 2020년, pp.133 - 153  

진동석 (서울특별시 도봉구청) ,  최윤수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김재명 (서경대학교 도시공학과) ,  윤하수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의 공시지가 제도는 1989년 도입되어 각종 조세와 복지 등 여러 분야에 걸쳐 활용되어 왔다. 공시지가는 부동산의 보유세를 대표하는 재산세에 대한 과세평가액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국민 공평과세에 있어서 공시지가의 형평성은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의 토지의 실거래가격을 활용하여 2016~2018년 공시지가의 형평성을 분석하고 검증하였다. 그 결과 서울특별시의 현실화율은 해마다 점진적으로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3년 전체 현실화율은 60.64%로 나타났다. 수평적 형평성은 2017년이 가장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해마다 자치구별 수평적 형평성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직적 형평성은 대부분 지역에서 역진적 불형평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강남구, 서초구, 강동구 등 강남권역에서 누진적 불형평성으로 나타나 자치구별 균형성 측면에서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분위 회귀분석 결과는 대부분 분위에서 역진적 불형평성이 나타났지만, 분위별 계수 값에 차이가 존재하여 공시지가 분위별 형평성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공시지가 형평성 검증 결과 연도별, 자치구별, 용도지역별 형평성이 결여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정부는 비율 연구를 도입하여 수평적·수직적 형평성을 검증하고 부동산 공시 제도를 체계적으로 보완·점검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fficially assessed land price has been the index of South Korea since 1989 throughout different sectors of tax and welfare. Officially assessed land price is used as a tax valuation for the tax on property holdings, and the equity of such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fair taxation for the pe...

주제어

표/그림 (16)

참고문헌 (23)

  1. Koh SS, Jung JH. 2009.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Vertical Equity Using the Sales Price in the Taxation of Land. Journal of the Korea Real Estate Analysts Association. 15(2):23-40. 

  2. Noh MJ, Yoo SJ. 2014. A Study on Horizontal and Vertical Equity of Tax Assessment in Land. The Korea Spatial Planning Review. 81(1):21-33. 

  3. Park SK. 2005. A Study on the Vertical Equity of Land Tax Base. Korea Real Estate Review. 15(2):69-87. 

  4. Park SK. 2015. A Study on the inequity of Land Assessment. The Korean Journal of Local Finance. 20(3):1-29. 

  5. Lee BU. 2011.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Assessment Ratio using the Sales Price and Officially Announced Land Price. Appraisal Studies. 10(1):89-100. 

  6. Lee CH, Sung CJ. 2018. Accuracy Analysis of Topographic Survey Data for the Official Land Price Appraising.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48(1):153-167. 

  7. Lee HY. 2019.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Valuation for Land Taxation: Focused on the Seoul Metropolitan City[Thesis]. Kangnam University. pp. 76-81. 

  8. Lim EY. 2011. Conceptualization of Equity. Korea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49(2):183-206. 

  9. Lim JM. 2013. Horizontal and Vertical Equity in Property Assessment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 Real Estate Analysts Association. 19(2):37-56. 

  10. Yang JW, Yoo SJ. 2016. A Study on the Horizontal Equity of Land Assessment. Korean Journal of Taxation Research. 33(2):37-61. 

  11. Yang HS, Seo WS. 2020. Time Series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ing Consumer Sentiment and Regional Housing Prices in Seoul.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50(1):125-141. 

  12. Cho TI, Choi BG, Na YW, Moon YS, Kim SH. 2018. A Suggestion for Spatiotemporal Analysis Model of Complaints on Officially Assessed Land Price by Big Data Mining.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48(2):79-97. 

  13. Chung HC. 2018. A study o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Equity of Land Assessment Using the Sales Prices: Focussed on the Subject Study within the Jurisdictional Boundary of Busan Metropolitan[Thesis]. Dong Eui University. pp. 20-32. 

  14. Bell E. 1984. Administrative Inequality and Property Assessment: The Case for the Traditional Approach. Property Tax Journal. 3(2):123-131. 

  15. Cheng P. 1974. Property Taxation, Assessment Performance and Its Measurement. Public Finance. 29(3):268-284. 

  16. Clapp J. 1990. A New Test for Equitable Real Estate Tax Assessment. Journal of Real Estate Finance and Economics. 3(9):233-249. 

  17. IAAO. 1978. Improving Real Property Assessment: A Reference Manual. Chicago: IAAO. pp.121-155. 

  18. Jensen D. 2009. The effects of heterogeneous variance on the detection of regressivity and progressivity. Journal of Property Tax Assessment & Administration. 6(3):5-22. 

  19. Kochin L, Parks R. 1982. Vertical Equity in Real Estate Assessment: A Fair Appraisal. Economic Inquiry. 20(1):511-531. 

  20. McMillen D. 2013. A Quantile Regression Analysis of Assessment Regressivity. in Quantile Regression for Spatial Data. Springer Berlin Heidelberg. pp. 29-35. 

  21. Paglin J, Fogarty M. 1972. Equity and the Property Tax: A New Conceptual Focus. National Tax Journal. 25(4):557-565. 

  22. Sunderman M, Birch J, Cannaday R, Hamilton T. 1990. Testing For Vertical Inequity in Property Tax Systems. Journal of Real Estate Research. 15(3):319-334. 

  23. IAAO. 2013. Standard_on_Ratio_Studie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