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중차분법 적용을 통한 경제기반형 도시재생선도사업 전·후 개선실태 분석
An Analysis of the Improvement before and after Economic-Bas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using the Difference in Difference Method 원문보기

지적과 국토정보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v.50 no.2, 2020년, pp.5 - 20  

김성연 (감사원 감사연구원) ,  권성문 (대구대학교 도시.조경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와 청주시에서 진행한 경제기반형 도시재생선도사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사업 전·후의 인구, 지역경제 및 노후도 관련 지표 비교 분석을 통해 선도지역의 사회적, 경제적, 물리적 개선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도시재생선도사업이 적어도 인근지역과 비교했을 때, 선도지역의 사회적, 경제적, 물리적 개선에 영향을 미쳤다고 보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나타났다. 즉 도시재생선도사업이 종료된 시점에서 볼 때, 사업성과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도시재생선도사업을 실시함에 있어 세부사업 구성과의 연계성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백화점식으로 나열하는 등의 계획을 수립하고 집행한다면, 사회적, 경제적, 물리적 개선을 기대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향후 도시재생사업 추진에 있어서도 도시재생활성화계획 수립 시 사업목적에 부합하는 세부사업을 면밀하게 선정해야 한다. 또한 마중물사업, 지자체사업, 부처연계사업 및 민간투자사업이 상호 유기적으로 진행됨에 따라 시너지효과가 해당지역에 발현될 수 있도록 세부사업 추진 시 상시 모니터링하고 사후 성과평가를 통한 개선방안을 찾는 등 도시재생사업의 사후관리에 대한 노력도 병행되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social, economic, and physical improvement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using difference in difference method in Busan and Cheongju City, utilizing population, regional economic, and old building data. The results of analysis indicated that the urban regeneration ...

주제어

표/그림 (14)

참고문헌 (19)

  1. Kang HK, Yu JH, Kim CD, Son BS. 2009. Key Management Factors Considering Characteristic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5(7):219-228. 

  2.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3. National Urban Regeneration General Policies. MOLIT Notice. 2013-1094. 

  3.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7a. Urban Regeneration White Paper I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and Results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 in Neighborhood Regeneration Type). 

  4.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7b. Urban Regeneration White Paper II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and Results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 in Neighborhood Regeneration Type). 

  5. National Assembly Research Service. 2018. The Evaluation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and Policy Alternatives for Its Improvement. 

  6. Kim SY, Cheong HY. 2017. A Study on Qualitative Indicators and Methods of Urban Regeneration Activating Areas, Journal of the Korean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30(4):33-51. 

  7. Kim H. 2013. A Critical Review on the Conceptual Scope and Policy Institution Process in the Korean Context of Urban Regeneration, Journal of the Korean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26(3):1-22. 

  8. Busan City. 2015. The Urban Economic Based Plan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Busan City. 

  9. Yun BH, Nam J, 2015. The Analysis on SocioEconomic Ripple Effect of Project for Urban Regeneration Focusing on the Changsin-Sungin Priority area for Urban Regeneration.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50(8):19-38. 

  10. Lee SH, Hwang J. 2013. Urban Regeneration, its Political Background and New Paradigm shift.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48(6): 387-410. 

  11. Lee IH, Lee JH. 2011. A Study on the Urban Planning Elements for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Urban Design. 12(6):101-114. 

  12. Jung KJ, Jeon HJ, Jeong YW, Lee SS. 2017. A Study on the Application Methods of Indicators for Monitoring Urban Regeneration Projects - Focused on Urban Regeneration Priority Regions.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52(3):55-74. 

  13. Cho JH, Kim Y, Shin JW, Kim JT. 2018.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in Changwo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Residential Environment : Journal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nstitute of Korea 16(4):123-137. 

  14. Cheongju City. 2017. The Changed Urban Economic Based Plan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Cheongju City 

  15. Choi MJ, Yang WJ. 2018. Physical, Economic, and Social Effects of Commercial Gentrification in Residential Area.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53(1):123-136. 

  16. Choe J, Yoo S, Cho H. 2016. Performance Analysis of Support Policies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Focusing on the World Class 300 Project. Productivity Review. Vol.30. 30(1):103-132. 

  17. LHI. 2018. The Study on Business Promotion Monitoring and Information Utilization Plans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18.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2018. Local Extinction in South Korea 2018. Employment Information Brief 

  19. Peter Roberts and Hugh Sykes(2000). Urban Regeneration, London, SAGE.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