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하공간통합지도 품질관리 개선방안 연구 - 관로형 지하시설물을 중심으로 -
Research on Improving Quality Management for Underground Space Integration Map - Focusing on pipe-type underground facilities - 원문보기

지적과 국토정보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v.50 no.2, 2020년, pp.221 - 235  

배상근 (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연구원) ,  김상민 (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연구원) ,  유은진 (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인구증가 및 산업화에 따른 급속한 도시화로 인해 지표 중심의 토지이용에 한계가 나타남에 따라 지하공간에 대한 개발과 활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한정된 국토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한다는 측면에서 큰 장점을 가지는 반면 이로 인해 싱크홀, 지하시설물 파손과 같은 재난재해가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도 가지고 있다. 2014년도에 전국 각지에서 발생했던 싱크홀을 계기로 2015년부터 15종의 지하정보를 통합한 지하공간통합지도가 구축되고 있으나, 그 이후에도 고양시 온수관 파열, 서울 아현동 통신구 화재 등이 지속됨에 따라 지하정보의 품질 향상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지하공간통합지도의 품질 향상을 위해 공간데이터 품질과 관련된 표준, 규정 및 지침 등을 분석하여 지하공간통합지도 제작 작업규정 내 명시된 품질검사 기준 및 방법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특히 지하공간통합지도를 통해 관리되는 15종의 지하정보 중 사고 발생의 가장 큰 원인이자, 국민들의 일상생활에 반드시 필요해 라이프 라인(life line)이라고도 불리는 관로형 지하시설물을 대상으로 데이터 품질관리를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underground spaces are increasing as the use of land based on ground surface became limited due to rapid urbanization triggered by population growth and industrialization. Despite its merit of efficient use of limited land and space, it may contribute to occurrence...

주제어

표/그림 (6)

참고문헌 (13)

  1. Bae SK, Shin YH, Seo YS. 2017. A Study on Efficient Management for Information of Shopping Center in Underground Passage based on the Spatial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Cadastre Information Association. 19(2):75-87. 

  2. Bae SK, Kim SM, Lee YJ. 2020a. Construction of Underground Space Registration Information Using Public Dat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adastre. 36(2):23-37. 

  3. Bae SK, Kim SM, Yoo. EJ. 2020b. Analysis on Spatial Data Quality Standards.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020 Convention Conference & Civil Expo. 

  4. Lee IS, Ko JS. 2008. 3D Cadastral Mapping for Complex Underground Construction ?Based on Underground Store, Underground Sidewalk Surveying-.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38(2):233-250. 

  5. Choi JY, Kim EH. 2020. A Quality Management Model for Consumer-oriented Spatial Information.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50(1):47-62. 

  6. Choi HO, Baek, SJ. 2020. Analysis of Issues on Underground Space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Utilizing Social Media Data.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46(1):75-85. 

  7.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7. Regulations for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Center Operation.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Order No. 644. 

  8.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8. Regulations on Underground Space Integrated Map Production.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Notice No.2018-661. 

  9.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20. Special Act on Underground Safety Management. Act No.14545. 

  10.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2019. Regulations on Establishment of 3D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Notice No.2019-146. 

  11. Larry P. English. 1999. Improving data warehouse and business information quality : methods for reducing costs and increasing profits. John Wiley & Sons, p.544. 

  12. ISO/TC 211. 2013. ISO 19157:2013 Geographic information - Data quality. Available online: https://www.iso.org/standard/32575.html. 

  13. NAVER. 2011. Lifeline[Internet]. [https://ko.dict.naver.com]. Last accessed 25 September 20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