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하공간통합지도 관리 시스템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공간 데이터 갱신 방법
Spatial Data Update Method for Efficient Operation of the Integrated Underground Geospatial Map Management System 원문보기

산업융합연구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v.20 no.7, 2022년, pp.57 - 64  

이봉준 ((주)씨엠월드) ,  고훈준 (경인여자대학교 소프트웨어융합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하공간에는 다양한 구조물들이 있고 그 구조물들의 지하공간 데이터는 지하공간통합지도 관리 시스템(IUGMMS)에서 3D 데이터로 관리되고 있다. 작업자는 준공도서 제출 프로그램으로 변경된 지하공간 데이터를 반영한 통합지도 전체를 IUGMMS에 전송하여 갱신하고 있다. 그러나 통합지도 파일의 크기가 크기 때문에 전송하고 갱신하는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변경된 통합지도와 IUGMMS에 저장되어 있는 통합지도에서 공간특성정보를 각각 구하고 비교해서 변경된 지하정보 데이터가 있는 통합지도만 추출하여 전송하고자 한다. 실험 결과, 기존 방법은 전송하려는 통합지도의 영역이 넓을수록 통합지도를 전송하는 시간과 갱신하는 시간이 파일 크기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지만, 제안한 방법은 변경된 지하공간 데이터가 포함된 통합지도만 전송하기 때문에 전송 시간이 짧았고 갱신하는 시간도 짧았다. 그 결과 변경된 통합지도를 전송하고 갱신할 때 발생하는 시간의 지연을 줄일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re are various structures in the underground space, and the structures is managed as 3D data in Integrated Underground Geospatial Map Management System(IUGMMS). The worker transmits and updates the integrated map including the changed underground geospatial data to IUGMMS with the completed book ...

주제어

참고문헌 (11)

  1. S. K. Cho, Y. T. Kim, J. Y. Choi & Y. G. Jang. (2020). 3-Dimensional Object Visualization Method Considering the Security on Mobile Service System for Underground Spatial Information Integrated maps, Proceeding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115-118. 

  2. J. M. Kim & S. H. Han. (2019). A Proposal for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Underground Space Integration Map Using3D Spatial Information Data, Proceeding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89-92. 

  3. MOLIT. (2020). Development of technology for renewal automation and field utilization on the integrated underground geospatial information map, R&D plan, 1-30. 

  4. Y. G. Jang, D. H. Park, J. Y. Woo & W. K. Yoon. (2015). A Study on Establishing Basic Plan of Constructing Underground Spatial Integration Map for Underground Safety Management, Proceeding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89-92. 

  5. Y. G. Jang & D. H. Park. (2018). A Study on Link Plan Underground Safety Information System for Underground Spatial Information Map, Proceeding of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75-76. 

  6. B. Y. Lee, B. S. Hwang & W. J. Cho. (2017). Precision Analysis of Geotechnical Information for the 3D Integrated Underground Space Map,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18(4), 5-12. DOI : 10.14481/JKGES.2017.18.4.5 

  7. D. H. Park, Y. G. Jang, H. S. Choi. (2018). A Study on the Construction Plan of 3D Geotechnical Information for the Support of Underground Space Safet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21(1), 23-24. DOI : 10.11108/KAGIS.2018.21.1.023 

  8. K. S. Kim, H. S. Lee & J. W. Kim (2020). A Study on Updated Object Detection and Extraction of Underground Information, Journal of Korea Software Assessment and Valuation Society, 16(2), 99-107. 

  9. Y. G. Jang, D. H. Park & J. S. Ryu. (2020). Enhancement of the Underground Information Integration System by Expanding the Use of Underground Space Integration Map, Proceeding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1635-1636. 

  10. B. J. Lee. (2021). Operation Technique of Spatial Data Change Recognition Data per Fil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24(4), 184-193. DOI : 10.11108/KAGIS.2021.24.4.184 

  11. Y. T. Kim & H. J. Kouh. (2022). Design of Caching Scheme for Mobile Underground Geospatial Information Map System.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12(1), 7-14. DOI : 10.22156/CS4SMB.2022.12.01.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