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쇠퇴지역 재난·재해 종합진단지수 개발과 지역간 위험성 비교·분석 - 서울시 사례 -
Development of A Comprehensive Diagnosis Index for Disasters in Declining Areas and Comparison of Risks between Regions: A case of Seoul 원문보기

地域硏究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v.37 no.4, 2021년, pp.33 - 47  

임효진 (국립 한밭대학교 도시공학과) ,  안민수 (국립 한밭대학교 도시공학과) ,  이창효 (국립 한밭대학교 도시공학과) ,  이상민 (노아에스엔씨(주) 안전사업부) ,  이재수 (강원대학교 부동산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도시 쇠퇴지역은 인구가 감소하고, 건축물과 시설물 등 건조환경은 노후화되고 있다. 따라서 재난·재해 발생 시 취약하며, 복구에도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쇠퇴지역의 재난·재해를 종합적으로 진단하기 위한 평가기법을 개발하고 사례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재난·재해 종합진단지수를 산출하기 위한 평가지표를 선정하고, AHP 분석으로 유형, 구성요소, 평가지표를 포함한 계층별 가중치를 산정하였다. 산정된 가중치로 유형별 종합진단지수를 산출하고, 도시쇠퇴 수준에 따른 위험성을 분석하였다. 서울시를 사례지역으로 분석한 결과 서초구, 동작구, 금천구, 강서구 등 남부지역에서 재난·재해 종합 위험도가 높고, 서울시 도심지와 북부지역 그리고 공원 및 녹지지역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연재난과 사회재난을 포함해 재난·재해 유형별 종합진단지수 평가체계와 기법을 제시한 점에서 학술적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urban declining areas, the population is decreasing, and drying environments such as buildings and facilities are aging. Therefore, it is vulnerable in the event of disaster, and recovery takes a lot of time and mone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valuation technique for comprehens...

주제어

표/그림 (11)

참고문헌 (18)

  1. 강상준.조성한.홍순영, 2013, 자연재해로부터의 지역사회 회복탄력성 도입방안, 「경기연구원 기본연구」. 

  2. 김선명.김남의, 2012,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에 관한 연구: 전남 22개 시, 군을 중심으로, 「한국거버넌스학회 학회보」, 19(2), pp.99-124. 

  3. 김윤정.박보영.정휘철, 2018, 기후변화에 따른 도시 노후 건축물의 재해피해 분석, 「인천연구원 IDI 도시연구」, 18(14), pp.73-92. 

  4. 김지명.김부영.양성필.오정일.손기영, 2015, 태풍에 따른 지역별 건물피해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도출 및 피해 예측모델 개발, 「한국건축시공학회 학회지」, 15(5), pp.515-525. 

  5. 김지영.박종화.조병호.이삼수, 2020, 쇠퇴지역과 도시지역의 재난 취약요인 비교.분석,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21(11), pp.2,021-2,032. 

  6. 박소연.윤상훈, 2017, 풍수해 재난 회복력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특성요인 규명, 「국토연구원 국토연구」. 

  7. 성지훈.이기림.권용석.한유경.이원희, 2020, 공간적 자기 상관성을 고려한 폭염 취약지역 도출에 관한 연구: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한국측량학회 학회지」, 38(4), pp.295-304. 

  8. 양동석.이동건.이삼수, 2012, 도시재생종합정보시스템을 위한 도시 잠재력 진단시스템 구축,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9(1), pp.1,306-1,309. 

  9. 오세민.김길호.정영훈.김덕환.김형수, 2015, PROMETHEE 기법을 이용한 폭설위험도 평가: 강원도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5(1), pp.87-98. 

  10. 유가영.김인애, 2008,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지표의 개발 및 도입방안,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기본연구보고서」. 

  11. 이삼수.박종화.조병호.정승현.양병선.김민주 .최희선.이길상, 2021, 쇠퇴지역 재난재해 위험성 분석과 도시 회복력 향상을 위한 계획.설계,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도시정보」, 21(4), pp.5-15. 

  12. 이소영.오은주.이희연, 2012, 지역쇠퇴분석 및 재생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기본연구과제」, 2012(0), pp.1-258. 

  13. 최예술.김재원.임업, 2018, 서울시 폭염 취약지역의 공간적 패턴 및 적응능력 취약지역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학회지」, 53(7), pp.87-107. 

  14. 한지혜.김진수, 2020, Decision Tree와 Frequency Ratio 모델을 이용한 경주시 지진 취약성 평가 및 지도제작, 「대한공간정보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pp.180-181. 

  15. IPCC, 2014, Climate change 2014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Part A,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I to the Fif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lmate Change, 「IPCC」. 

  16. Satty, T. L. and K. P. Kearns, 1985, Analytical Planning, 「Pergamon press」, pp.19-62. 

  17. UNISDR, 2009, UNISDR terminology on disaster risk reduction, 「UNISDR」. 

  18. 기상청 날씨누리, 「기상특보 발표기준」.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