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도권 신성장산업 창업 사업체의 지역 간 유출입 네트워크 및 영향 요인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Regional Networks of Start-ups in New Growth Industries in the Capital Region 원문보기

地域硏究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v.38 no.1, 2022년, pp.3 - 20  

송창현 (연세대학교 도시공학과) ,  김주영 (한국은행 경기본부) ,  임업 (연세대학교 도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수도권을 분석의 공간적 범위로 설정하여 2010년부터 2019년까지의 신성장산업의 창업 사업체 및 종사자 이전 패턴을 탐색적으로 분석하고, 신성장산업 창업 사업체의 유입 및 유출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 수준 요인을 밝히는 데에 있다. 분석을 위한 자료로는 「전국사업체조사」원자료를 이용했으며, 신성장산업 사업체 및 종사자 수 유입 및 유출 자료를 바탕으로 시군구 수준 공간 자료를 구축했다. 분석을 위해 지역별 유출 유입에 대한 연결정도 중심성을 산출했으며, 음이항 회귀모형을 응용해 신성장산업의 유입 및 유출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 수준 요인에 대한 실증 분석을 수행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신성장산업 제조업 부문은 경기 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신성장산업 서비스업 부문은 강남 및 구로-금천구 일대를 중심으로 활발한 입지 이전이 발생하고 있었으며, 지역 수준 요인들이 신성장산업 창업 사업체의 유입 및 유출에 미치는 영향은 업종에 따라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최근 정책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신성장산업에 대한 공간 이전 패턴을 파악하고, 영향 요인을 밝혀내기 위해 실증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신성장산업 유치를 통해 지역 경제의 경쟁력 향상을 달성하고자 하는 지역산업정책에 대해 시사점을 제시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atory analyze the transition pattern of establishments and workers in new growth industries in the metropolitan area from 2010 to 2019 and to identify regional factors affecting the inflow and outflow of new growth industry start-ups. As for the analysis, the or...

주제어

표/그림 (7)

참고문헌 (34)

  1. 강호제.류승한.서연미.표한형, 2018,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혁신기업을 위한 입지정책 연구」, 국토연구원. 

  2. 권영섭.김은란.김대종.구정은, 2009, 「신성장산업의 입지패턴 분석을 통한 산업입지정책 개선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3. 김지수.최윤기.김송년.오정현.조성민.송우경, 2020, 「지역산업발전을 위한 혁신정책 개선방향 연구: 혁신주체의 상호작용 촉진을 중심으로」, 산업연구원, 세종 

  4. 박승빈, 2017, 「4차 산업혁명 주요 테마 분석: 관련 산업을 중심으로」, 통계청. 

  5. 이상현.오윤경, 2017, "지역 간 시계열 인구이동의 정량적 특징 분석 및 인구이동 네트워크의 연결중심성 분석", 「한국농공학회논문집」, 59권 5호, 1-15. 

  6. 서동혁.최윤희.김승민.심우중, 2016, 「한국형 신성장산업의 유형화와 산업화 전략」, 산업연구원, 세종 

  7. 정우성.장철순.이미영.홍사흠.김수연.이원복.송정현. 김진영, 2017,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는 국토 정책추진전략」, 국토연구원. 

  8. 정윤선, 2016, "기업의 지역간 이동분석 및 고용효과에 관한 연구", 「시장경제연구」, 45권 2호, 101-120. 

  9. 조성철.남기찬.장철순, 「창업.혁신생태계 구축을 위한 산업입지 전략 연구」, 2018, 국토연구원. 

  10. 최준영.오규식, 2010, "수도권 소프트웨어 기업의 입지이전 결정요인 분석: 1999년에서 2008년 사이 SW기업의 본사 이전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45권 6호, 161-178. 

  11. 현대경제연구원, 2018, "신성장동력, 어떻게 찾을 것인가? 산업측면에서 바라본 신성장동력", 「경제주평」, 18권 40호, 1-16. 

  12. Acs, Z. J., & Szerb, L., 2007, "Entrepreneurship, Economic Growth and Public Policy", Small Business Economics, 28(2), 109-122. 

  13. Aldrich, H. E., 2010, "Entrepreneurship", In N. Smelser & R. Swedberg (Eds.), Handbook of economic sociology (pp.451-477), Princeton and Oxford: Princeton University Press. 

  14. Arauzo Carod, J. M., 2005, "Determinants of Industrial Location: An Application for Catalan Municipalities", Papers in Regional Science, 84(1), 105-120. 

  15. Asheim, B., Coenen, L., & Vang, J., 2007, "Face-toFace, Buzz and Knowledge Bases: Sociospatial Implications for Learning, Innovation, and Innovation Policy", Environmental and Planning C 25: 655-670. 

  16. Asheim, B. T., 2019, "Smart Specialisation, Innovation Policy and Regional Innovation Systems: What about New Path Development in Less Innovative Regions?" Innovation: The European Journal of Social Science Research, 32(1), 8-25. 

  17. Berge, L. R., Wanzenbock, I., & Scherngell, T., 2017, "Centrality of Regions in R&D Networks: A New Measurement Approach Using the Concept of Bridging Paths", Regional Studies, 51(8), 1165-1178. 

  18. Boschma, R., Minondo, A., & Navarro, M., 2013, "The Emergence of New Industries at the Regional Level in Spain: A Proximity Approach Based on Product Relatedness", Economic Geography, 89(1), 29-51. 

  19. Brachert, M., Cantner, U., Graf, H., Gunther, J., & Schwartz, M., 2013, "Which Regions Benefit from Emerging Industries?" European Planning Studies, 21(11), 1703-1707. 

  20. Broekel, T., Balland, P.-A., Burger, M., & van Oort, F., 2014, "Modeling Knowledge Networks in Economic Geography: A Discussion of Four Methods", The Annals of Regional Science, 53(2), 423-452. 

  21. Brouwer, A. E., Mariotti, I., & van Ommeren, J. N., 2004, "The Firm Relocation Decision: An Empirical Investigation", The Annals of Regional Science, 38(2), 335-347. 

  22. Cooper, A., 2003, "Entrepreneurship: The Past, the Present, the Future", In Z. J. Acs & D. B. Audretsch (Eds.), Handbook of Entrepreneurship Research: An Interdisciplinary Survey and Introduction (pp. 21-34), Springer US. 

  23. Faggio, G., & Overman, H., 2014, "The Effect of Public Sector Employment on Local Labour Markets", Journal of Urban Economics, 79, 91-107. 

  24. Freeman, L. C., 2004, The Development of Social Network Analysis: A Study in the Sociology of Science, BookSurge, North Charleston, SC. 

  25. Frenken, K., Van Oort, F., & Verburg, T., 2007, "Related Variety, Unrelated Variety and Regional Economic Growth", Regional Studies, 41(5), 685-697. 

  26. Jong, P., de Heller, G. Z., 2008, Generalized Linear Models for Insurance Data,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7. Knoben, J., & Oerlemans, L. A. G., 2008, Ties that Spatially Bind? A Relational Account of the Causes of Spatial Firm Mobility, Regional Studies, 42(3), 385-400. 

  28. Kronenberg, K., 2013, Firm relocations in the Netherlands: Why do firms move, and where do they go?, Papers in Regional Science, 92(4), 691-713. 

  29. Lee, I. H., 2020, Startups, relocation, and firm performance: a transaction cost economics perspective, Small Business Economics. 

  30. Mitze, T., & Strotebeck, F., 2018, Centrality and get-richer mechanisms in interregional knowledge networks. Regional Studies, 52(11), 1477-1489. 

  31. Moretti, E., 2010, Local Multipliers, American Economic Review, 100(2), 373-377. 

  32. Mudambi, R., 2008, Location, control and innovation in knowledge-intensive industries. Journal of Economic Geography, 8(5), 699-725. 

  33. Neffke, F., Henning, M., & Boschma, R., 2011, How Do Regions Diversify over Time? Industry Relatedness and the Development of New Growth Paths in Regions, Economic Geography, 87(3), 237-265. 

  34. Newman, M. E. J., 2001, Scientific collaboration networks. II. Shortest paths, weighted networks, and centrality, Physical Review E, 64(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