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드론 영상을 이용한 리기다소나무림의 개체목 및 수고 추출
Extraction of Individual Trees and Tree Heights for Pinus rigida Forests Using UAV Images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7 no.6 pt.1, 2021년, pp.1731 - 1738  

송찬 (국립공주대학교 산림과학과) ,  김성용 (국립산림과학원 산불.산사태연구과) ,  이선주 (국립산림과학원 산불.산사태연구과) ,  장용환 (국립공주대학교 산림과학과) ,  이영진 (국립공주대학교 산림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드론 정사영상객체추출 기법을 융합하여 개체목을 선별함과 더불어 수고를 추정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는 충청남도 예산군 공주대학교 학술림에 위치한 리기다소나무림으로 간벌을 강도별로(40%, 20%, 10%, 대조구)로 조성한 시험지이다. 정사영상취득은 DJI사의 MAVIC2 PRO 드론을 이용하였으며, 촬영 범위 내 가장 높은 지형지물을 고려하여 고도를 180 m로 설정하였다. 영상왜곡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상기준점 설치 및 내중첩(End lap)과 옆중첩(Side lap)을 각각 80%로 설정하였다. 영상분석 통하여 수치표면모델(DSM)과 수치지형 표고모델(DTM)을 추출하고 두 모델의 고도차를 이용해 수고모델(DCHM)을 생성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간벌강도별 개체목 추출율은 간벌강도 40%는 109.1%, 간벌강도 20% 87.1%, 간벌강도 10% 63.5%, 대조구 56.0% 수준이었다. 개체목 별 수고특성을 추출한 결과, 간벌강도 40%는 현장조사 결과보다 약 1.43 m 낮았으며, 간벌강도 20%는 1.73 m, 간벌강도 10%는 1.88 m, 대조구는 2.22 m 낮게 측정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tract individual trees and tree heights using UAV drone images. The study site was Gongju national university experiment forest, located in Yesan-gun, Chungcheongnam-do. The thinning intensity study sites consisted of 40% thinning, 20% thinning, 10% thinning and ...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고해상도 드론영상 정보와 원격탐사 방법 중 하나인 객체기반 영상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산림내 개체목 추출과 수고를 추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간벌강도가 수고와 개체목 추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드론영상을 활용한 산림자원정보의 추정 가능성을 검토하는데 있어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드론정사영상과 객체추출 기법을 융합하여 개체목 선별 및 수고를 추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지는 충청남도 예산군 내리기다소나무림으로 간벌강도 40%, 20%, 10% 대조구가 설치된 지역이다.
  • 본 연구에서는 고해상도 드론영상 정보와 원격탐사 방법 중 하나인 객체기반 영상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산림내 개체목 추출과 수고를 추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간벌강도가 수고와 개체목 추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드론영상을 활용한 산림자원정보의 추정 가능성을 검토하는데 있어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ndersen, H.E., R. McGaughey, and J. Reutebuch, 2004. Estimating forest canopy fuel parameters using LIDAR data,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94(4): 441-449. 

  2. Grigillo, D. and U. Kanjir, 2012. Urban object extraction from digital surface model and digital aerial images, ISPRS annals of the Photogrammetry, Remote Sensing and Spatial Information Sciences, 1: 215-220. 

  3. Beucher, S., 1992. The watershed transformation applied to image segmentation, Scanning Microscopy, 1992(6): 28. 

  4. Belaid, L.J. and W. Mourou, 2009. Image segmentation: a watershed transformation algorithm, Image Analysis and Stereology, 28(2): 93-102. 

  5. Hyyppa, J., M. Schardt, H. Haggren, H. Koch, U. Lohr, H.U. Scherrer, R. Paananen, H. Luukkonen, M. Ziegler, and H. Hyyppa, 2001. The first europeanwide attempt to derive single-tree information from laserscanner data, Journal of Finland, 17: 43-53. 

  6. Iizuka, K., T. Yonehara, M. Itoh, and Y. Kosugi, 2018. Estimating tree height and diameter at breast height (DBH) from digital surface models and orthophotos obtained with an unmanned aerial system for a Japanese cypress (Chamaecyparis obtusa) forest, Remote Sensing, 10: 1-13. 

  7. Jucker, T.J., J. Caspersen, C. Chave, N. Antin, F. Barbier, M. Bongers, K.Y. Dalponte, D.L. Forrester, and M. Haeni, 2017. Allometric equations for integrating remote sensing imagery into forest monitoring programmes, Global Change Biology, 23: 177-190. 

  8. Jain, Y., Y.H. He, and C. John, 2014. A multi-band watershed segmentation method for individual tree crown delineation from high resolution multispectral aerial image, Proc. of 2014 IEEE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Symposium, Quebec City, QC, CAN, Jul. 13-18, pp. 1599-1591. 

  9. Kamal, M. and S. Phinn, 2011. Hyperspectral data for mangrove species mapping: A comparison of pixel-based and object-based approach, Remote Sensing, 3(10): 2222-2242. 

  10. Kim, S.Y., J.H. Jeong, S.J. Lee, and C.G. Kwon. 2021. Estimating tree height and diameter at breast height using the unmanned aerial system for Pinus koraiensis in Bonghwa region, Journal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55(2): 25-32. 

  11. Liu, D. and F. Xia, 2010. Assessing object-based classification: Advantages and limitations, Remote Sensing Letters, 1: 187-194. 

  12. Lynn, T.J., 2016. Tree height quantification with the use of DSM generated from uav-acquired imagery: Pinus densiflora forest in andong and Pinus koraiensis plantation in gwangju, Ph.D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yungsang, KOR. 

  13. Mlambo, R., I.H. Woodhouse, F. Gerard, and K. Anderson, 2017. Structure from motion (SfM) photogrammetry with drone data: A low cost method for monitoring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forests in developing countries, Forests, 8: 68. 

  14. Nemec, P., 2015. Comparison of modern forest inventory method with the common method for management of tropical rainforest in the Peruvian Amazon, Journal of Tropical Forest Science, 27: 80-91. 

  15. Ota, T., M. Ogawa, K. Shimizu, T. Kajisa, N. Mizoue, S. Yoshida, G. Takao, Y. Hirata, N. Furuya, and T. Sano, 2015. Aboveground Biomass Estimation Using Structure from Motion Approach with Aerial Photographs in a Seasonal Tropical Forest, Forests, 6: 3882-3898. 

  16. Woo, C.S., 2006. DEM generation and tree height estimation in forest area using airborne LiDAR data, M.S.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KOR. 

  17. Yim, Y.S. 2017. A study on the extraction of tree structure characteristics by Drone images, M.S. Thesis, Kunkook University, Seoul, KOR. 

  18. Yim. W.T., 2016. A study on automatic extraction of tree using UAV-based spatial information, Ph.D thesis, Kunkook University, Seoul, KOR. 

  19. You, J.H, M.Y. Kim, J.G. Kim, and K.C. Shin, 2020. Detection of pine wilt disease using RGB-based low altitude images and spectral vegetation indices from a drone, Journal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54(6): 21-2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