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포항 지열수의 지진에 의한 수온, 화학성분 및 헬륨가스의 변화
Variations of Temperature, Chemical Component and Helium Gas of Geothermal Water by Earthquake Events in Pohang Area 원문보기

지질공학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31 no.4, 2021년, pp.647 - 658  

이용천 (대전대학교 건설안전공학과) ,  정찬호 (대전대학교 건설안전공학과) ,  이유진 (대전대학교 건설안전공학과) ,  김영석 (부경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강태섭 (부경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지진발생에 따른 지열수의 수온, 화학성분, 헬륨가스 성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포항 신광지역 지열수를 대상으로 2018년 1월부터 2019년 6월까지 추적 관찰하였다. 연구기간 중 지열수 관측정 100 km 이내 규모 2.0 이상 지진은 총 58회이며, 그 중 규모 3.0~3.9의 지진은 2회, 규모 4.0~4.9의 지진은 2회가 발생하였다. 지열수에 미치는 지진의 영향력을 지진규모와 진앙-지열수공 거리를 반영한 q-factor와 earthquake effectiveness(ε)값으로 변환하여 지진영향지수로 사용하였다. 지열수공은 불국사 흑운모화강암지질로 심도 715 m 온천공으로 관측기간 중 수온은 51.8~56.3℃ 범위에서 변동이 확인되었으며, 규모 4.1, 4.6 지진발생 시 뚜렷한 수온 상승(𝜟T 2.6~4.5℃)이 관찰되었고, SO4, Cl과 같은 특정 이온성분의 변화와 파이퍼도 상에서의 화학적 유형의 미세한 변화가 관찰되었다. 지열수의 헬륨의 변화는 규모 4.1 지진 전후 헬륨가스의 기원별 혼합을 보여주는 3He/4He vs. 4He/20Ne 관계도에서 지각 기원의 4He의 값이 83.0%에서 83.2%로 미세하게 증가하였고 맨틀 기원의 3He은 16.3%에서 16.7%으로 미세한 증가를 보였다. 지열수의 온도변화에 따른 실리카-엔탈피 혼합모델의 석영 및 칼세도니 용해도 곡선을 이용하여 지진으로 인한 열수-냉수 혼합비를 계산한 결과, E1, E2 지진발생 후 열수의 비가 각각 6.9~7.72%, 1.65~4.94% 증가하는 것으로 계산되었다. 지열수의 온도와 헬륨가스가 관측될 정도의 변화를 유발하는 지진은 규모 4.1 이상, 유효 q-factor 값은 30.0 이상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change of temperature, chemical composition, and helium gas of thermal water in Pohang area was observed from January 2018 to June 2019 in order to interpret the relationship with earthquake events. During observation period earthquakes above M 2.0 within 100 km in a radius from a...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대상 데이터

  • 노블가스(He, Ne) 동위원소 분석을 위하여 구리관(Copper tube)과 클램프(Clamp)를 이용하여 채취하였다. 시료 채취는 구리관 양쪽 끝에 고무호스를 연결하고 호스 클램프로 고정한 후, 배출부분을 구리관보다 높은 위치를 유지하여 약 1 L 의 물을 통과시킨 후, 구리관 내 공기를 제거한 후 볼트를 이용하여 구리관을 조인 후, 클램프를 평행하게 압착방법으로 밀봉시켰다.

이론/모형

  • 시료 채취는 구리관 양쪽 끝에 고무호스를 연결하고 호스 클램프로 고정한 후, 배출부분을 구리관보다 높은 위치를 유지하여 약 1 L 의 물을 통과시킨 후, 구리관 내 공기를 제거한 후 볼트를 이용하여 구리관을 조인 후, 클램프를 평행하게 압착방법으로 밀봉시켰다. 모든 영족기체의 절대량과 He, Ne 동위원소 비는 미국 Utah University Noblegas Lab의 모델 215-50 Magnetic Sector-Field Mass Spectrometer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Aka, F.T., Kusakabe, M., Nagao, K., Tanyileke, G., 2001, Noble gas isotopic compositions and water/gas chemistry of soda springs from the islands of Bioko, Sao Tome and Annobon, along with Cameroon Volcanic Line, West Africa, Applied Geochemistry, 16, 323-338. 

  2. Arnorsson, S., Gunnlaugsson, E., 1985, New gas geothermometers for geothermal exploration-calibration and application, Geochimica et Cosmochimica Acta, 49, 1307-1325. 

  3. Ballentine, C.J., Burnard, P.G., 2002, Production, release and transport of noble gases in continental crust, Reviews in Mineralogy and Geochemistry, 47, 481-538. 

  4. Cartigny, P., Jendrzejewski, N., Pineau, F., Petit, E., Javoy, M., 2001, Volatile (C, N, Ar) variability in MORB and the respective roles of mantle source heterogeneity and degassing: The case of the Southwest Indian Ridge, Earth and Planetary Science Letters, 194(1-2), 241-257. 

  5. Dobrovolsky, I.P., Zubkov, S.I., Miachkin, V.I., 1979, Estimation of the size of earthquake preparation zones, Pure and Applied Geophysics, 117, 1025-1044. 

  6. Fournier, R.O., 1977, Chemical geothermometers and mixing models for geothermal systems, Geothermics, 5, 41-50. 

  7. Fu, C.C., Yang, T.F., Chen, C.H., Lee, L.C., Liu, T.K., Walia, V., Kumar, A., Lai, T.H., 2017, Spatial and temporal anomalies of soil gas in northern Taiwan and its tectonic and seismic implications, Journal of Asian Earth Sciences, 149, 64-77. 

  8. Ghose, D., Kr. Das, N., Sinha, B., 1996, Anomalous helium emission: Precursor to earthquakes, Current Science, 71(1), 56-58. 

  9. Goto, M., Yasuoka, Y., Nagahama, H., Moto, J., Omori, Y., Ihara, H., Mukai, T., 2017, Anomalous changes in atmospheric radon concentration before and after the 2011 northern Wakayama Earthquake (MJ 5.5), Radiation Protection Dosimetry, 174(3), 412-418. 

  10. Graham, D.W., 2002, Noble gas isotope geochemistry of mid-ocean ridge and ocean island basalts: Characterization of mantle source reservoirs, Reviews in Mineralogy and Geochemistry, 47, 247-317. 

  11. Greenberg, A.E., Clesceri, L.S., Eaton, A.D., 1992,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 water, The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Washington DC, 4-55. 

  12. Gupta, H.K., Roy, S., 2006, Geothermal energy: An alternative resource for the 21st century, Elsevier Science & Technology, 279p. 

  13. Henley, R.W., Truesdell, A.H., Barten, Jr., P.B., Whitney, J.A., 1984, Fluid-mineral equilibria in hydrothermal system, Society of Economic Geologist, 267p. 

  14. Hwang, H.S., Hamm, S.Y., Cheong, J.Y., Lee, S.H., Ha, K., Lee, C., Woo, N.C., Yun, S.M., Kim, K.H., 2020, Effective time- and frequency-domain techniques for interpreting seismic precursors in groundwater level fluctuations on Jeju Island, Korea, Scientific Reports, 10, 7866. 

  15. Jang, H.W., Jeong, C.H., Lee, Y.C., Lee, Y.J., Hong, J.W., Kim, C.H., Kim, Y.S., Kang, T.S., 2020, Relationship between earthquake and fluctuation of water level in active fault zonee and national groundwater monitoring wells of Gyeongju area, 30(4), 617-63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Jeong, C.H., Lee, B.D., Yang, J.H., Nagao, K., Kim, K.H., Ahn, S.W., Lee, Y.C., Lee, Y.J., Jang, H.W., 2019, Geochemical and isotopic compositions and geothermometry of thermal waters in the Magumsan area, South Korea, Water, 11(9), 1774. 

  17. Jeong, C.H., Park, J.S., Lee, Y.C., Lee, Y.J., Yang, J.H., Kim, Y.S., Ou, S.M., 2018, Relationship of radon-222 and chemical composition of groundwater as a precursor of earthquake,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28(2), 313-32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Kim, G.B., Choi, M.R., Lee, C.J., Shin, S.H., Kim, H.J., 2018a, Characteristics of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groundwater level's change after 2016 Gyeong-ju earthquake,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54(1), 93-10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Kim, J.S., Kim, M., Kim, S., Lee, H., 2018b, An analysis of anomalous radon variation caused by M5.8 Gyeong-ju Earthquake,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51(1), 1-1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Korea Central Hot Spring Institute, 2002, Thermal water investigation report of Pohang Singwang district, 89p. 

  21. Kotarba, M.J., Nagao, K., 2008, Composition and origin of natural gases accumulated in the Polish and Ukrainian parts of the Carpathian region: Gaseous hydrocarbons, noble gases, carbon dioxide and nitrogen, Chemical Geology, 255, 426-438. 

  22. Kuo, M., Fan, K., Kuochen, H., Chen, W., 2006, A mechanism for anomalous decline in radon precursory to an earthquake, Groundwater, 44(5), 642-647. 

  23. Miklavcic, I., Radolic, V., Vukovic, B., Poje, M., Varga, M., Stanic, D., Planinic, J., 2008, Radon anomaly in soil gas as an earthquake precursor, Applied Radiation and Isotopes, 66(10), 1459-1466. 

  24. MOIS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2018, The second comprehensive earthquake preparedness plan, Retrieved from https://www.xn-le5b23c9wbqa.com/plan/earthquake.php?ptypeview&idx418&page1&codeearthquake. 

  25. MPSS (Ministry of the Public Safety and Security), 2016, The first comprehensive earthquake preparedness plan, 136p. 

  26. Ozima, M., Podosek, F.A., 2002, Noble gas geochemistry, 2nd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302p. 

  27. Piper, A.M., 1944, A graphic procedure in the geochemical interpretation of water analyses, Transactions of American Geophysical Union, 25(6), 914-923. 

  28. Rikitake, T., 1979, Classification of earthquake precursors, Tectonophysics, 54(3-4), 293-309. 

  29. Sano, Y., Takahata, N., Kagoshima, T., Shibata, T., Onoue, T., Zhao, D., 2016, Groundwater helium anomaly reflects strain change during the 2016 Kumamoto earthquake in Southwest Japan, Scientific Reports, 6, 37939. 

  30. Skelton, A., Stockmann, G., Andren, M., Tollefsen, E., Sturkell, E., Morth, C.M., Gudrunardottir, H.R., Kristmannsdottir, H., Sveinbjornsdottir, A, Jonsson, S., Balic-Zunic, T., Hjartarson, H., Siegmund, H., Keller, N.S., Odling, N., Broman, C., Dahren, B., Kockum, I., 2016, Chemical changes in groundwater before and after earthquakes in northern Iceland,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Workshop on Earthquakes in North Iceland, Husavik. 

  31. Tronin, A.A., Biagi, P.F., Molhanov, O.A., Khatkevich, Y.M., Gordeev, E.L., 2004, Temperature variations related to earthquakes from simultaneous observation at the ground stations and by satellites in Kamchatka area, Physics and Chemistry of the Earth, 29, 501-506. 

  32. Tsunomori, F., Tanaka, H., 2014, Anomalous change of groundwater radon concentration monitored at Nakaizu well in 2011, Radiation Measurements, 60, 35-41. 

  33. Um, S.H., Lee, D.W., Bak, B.S., 1964, Explanatory text of the geological map of pohang sheet, 39p. 

  34. Ye, Q., Singh, R.P., He, A., Ji, S., Liu, C., 2015, Characteristic behavior of water radon associated with Wenchuan and Lushan earthquakes along Longmenshan fault, Radiation Measurements, 76, 44-53. 

  35. Zhang, B., 2018, Relationship between the temperature abnormal changes of Maoya hot spring water and earthquakes in Sichuan-Yunnan area, American Geophyical Union, Fall Meeting 2018 Abstract #T23B-035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