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품종에 따른 국내산 누에의 항산화 활성 비교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y According to Silkworm Cultivar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31 no.11, 2021년, pp.1010 - 1018  

박종우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물부) ,  이창훈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물부) ,  정찬영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물부) ,  강상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물부) ,  주완택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물부) ,  김성완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물부) ,  김남숙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물부) ,  권해용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물부) ,  김기영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물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건강 기능성 식품으로 주목받고 있는 누에는 다양한 품종이 생산되고 있지만, 품종에 따른 기능성의 차이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농가에서 사육되고 있는 누에의 품종에 따른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였고,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특화 품종으로서의 육성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항산화 활성의 비교를 위하여 백옥잠, 골든실크, 연녹잠 및 한생잠 등 4개 품종을 사육하고 5령 유충기 3일째 및 7일째 누에에 대하여 물 및 에탄올 추출물을 제작하였다. 그 결과, 물을 이용한 5령 3일째의 골든실크에서 가장 높은 추출 수율이 나타냈으나 총 페놀화합물과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5령 3일째 연녹잠의 물 추출물(86.11±4.04 ㎍/mg of gallic acid equivalent) 및 70% (v/v) 에탄올 추출물(46.70±2.81 ㎍/mg quercetin equivalent)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DPPH 라디칼 소거능 분석에서 백옥잠과 연녹잠이 최대 78%의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냈으며, 연녹잠의 IC50 값은 11.94±1.93 ug/ml이었다. 연녹잠의 최대 SOD 유사 활성은 약 47%로 백옥잠 보다 높았으며, 비타민 C 40 ㎍/ml 농도의 SOD 유사 활성 45%와 유사했다. 아질산염 소거능 분석에서 pH 1.2 조건에서 백옥잠과 연녹잠이 8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pH 3.0에서는 백옥잠이 25%, 연녹잠이 20%의 아질산염 소거 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연녹잠 추출물 48 ㎍/ml 농도의 환원력은 0.7 abs 수준으로 gallic acid 3.6 ㎍/ml 농도의 환원력과 유사한 수준으로 4개 품종 중 가장 우수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항산화 활성 지표 분석에서 공통적으로 우수한 성적을 보인 5령 3일째의 연녹잠이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품종으로 육성하기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though varieties of silkworms, which have recently attracted attention as a health functional food, are being produced, studies on the differences in the functionality of different silkworm varieties are insufficient. Therefore, in this study,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different silkworm breed...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농가에서 주로 사육되는 4가지 품종의 누에를 생산하여 유충 성장 시기 및 추출 용매를 달리하여 추출물을 제작하고, 각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비교하여 특화 품종 선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hn, H. Y., Cha, J. Y., Park, K. R., Kim, Y. R. and Cho, Y. S. 2013. Improvement effect of fermented silkworm (Bombyx mori L.) powder against orotic acid-induced fatty liver in rats. J. Life Sci. 23, 789-795. 

  2. Bae, S. M., Jo, Y. Y., Lee, K. G., Kim, H. B. and Kweon, H. Y. 2016. Antioxidant activity of silkworm powder treated with protease. Int. J. Indust. Entomol. 33, 78-84. 

  3. Blois, M. 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4. Choi, Y., Lee, S. M., Chun, J., Lee, H. B. and Lee, J. 2006. Influence of heat treatment on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polyphenolic compounds of Shiitake (Lentinus edodes) mushroom. Food Chem. 99, 381-387. 

  5. Folin, O. and Denis, W. 1912. On phosphotungstic phosphomolybdic compounds as a color reagent. J. Biol. Chem. 12, 239-249. 

  6. Halliwell, B. and Gutteridge, J. M. C. 1990. Role of free radicals and catalytic metal ions in human disease: an overview. Methods Enzymol. 186, 1-85. 

  7. Jeong, S. J., Lee, J. H., Song, H. N., Seong, N. S., Lee, S. E. and Baeg, N. I. 2004. Screening for antioxidant activity of plant medicinal extracts. J. Kor. Soc. Appl. Biol. Chem. 47, 135-140. 

  8. Jun, H. I., Kim, Y. A. and Kim, Y. S. 2014. Antioxidant activities of Rubus coreanus Miquel and Morus alba L. fruits. J. Kor. Soc. Food Sci. Nutr. 43, 381-388. 

  9. Ji, S. D., Kim, N. S., Kweon, H. Y., Choi, B. H., Kim, K. Y. and Koh, Y. H. 2016. Nutrition composition differences among steamed and freeze-dried mature silkworm larval powders made from 3 Bombyx mori varieties weaving different colored cocoons. Int. J. Indust. Entomol. 33, 6-14. 

  10. Kang, I. H., Cha J. H., Han, J. H., Lee, S. W., Kim, H. J., Kwon, S. H., Han, I. H., Hwang, B. S. and Whang, W. K. 2005. Isolation of anti-oxidant from domestic Crataegus pinnatifida bunge leaves. Kor. J. Pharmacogn. 36, 121-128. 

  11. Kang, P. D., Lee, S. U., Jung, I. H., Shon, B. H., Kim, Y. S., Kim, K. Y., Kim, M. J., Hong, I. P., Lee, K. G. and Park, K. Y. 2007. Breeding of new silkworm variety golden silk, a yellow cocoon color for spring rearing season. Kor. J. Seric. Sci. 49, 14-17. 

  12. Kang, Y. H., Park, Y. K. and Lee, G. D. 1996. The nitrite scavenging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phenolic compounds. Kor. J. Food Sci. Technol. 28, 232-239. 

  13. Kato, H., Lee, I. E., Chuyen, N. V., Kim, S. B. and Hayase, F. 1987. Inhibition of nitrosamine formation by nondialyzable melanoidins. Agric. Biol. Chem. 51, 1333-1338. 

  14. Kim, E. Y., Baik, I. H., Kim, J. H., Kim, S. R. and Rhyu, M. R. 2004. Screening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medical plants. Kor. J. Food Sci. Technol. 36, 333-338. 

  15. Kim, J. M., Park, J. Y., Kim, K. W. and Yoon, K. Y. 2014. Nutritional composition and functionality of mixed cereals powder. Kor. J. Food Preserv. 21, 388-395. 

  16. Kim, T. K., Yong, H. I., Kim, Y. B., Kim, H. W. and Choi, Y. S. 2019. Edible insects as a protein source: a review of public perception, processing technology, and research trends. Food Sci. Anim. Resour. 39, 521-540. 

  17. Kim, Y. S., Kim, K. Y., Kang, P. D., Cha, J. Y., Heo, J. S., Park, B. K. and Cho, Y. S. 2008. Effect of silkworm (Bombyx mori) excrement powder on the alcoholic hepatotoxicity in rats. J. Life Sci. 101, 342-347. 

  18. Lee, K. S., Kim, G. H., Kim, H. H., Kim, E. S., Park, H. M. and Oh, M. J. 2009.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of tea thermally processed from Ixeris dentata root. J. Kor. Soc. Food Sci. Nutr. 38, 496-501. 

  19. Lee, Y. M., Bae, J. H., Jung, H. Y., Kim, J. H. and Park, D. S. 2011. Antioxidant activity in water and methanol extracts from Korean edible wild plant. J. Kor. Soc. Food Sci. Nutr. 10, 29-36. 

  20. Marklund, S. and Marklund, G. 1974. Involvement of the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aut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chem. 47, 469-474. 

  21. Oyaizu, M. 1986. Studies on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Antioxidative activities of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amine. Jap. J. Nutr. 44, 307-315. 

  22. Perron, N. R. and Brumaghim, J. L. 2009. A review of the antioxidant mechanisms of polyphenol compounds related to iron binding. Cell Biochem. Biophys. 53, 75-100. 

  23. Ryu, K. S., Lee, H. S., Chung, S. H. and Kang, P. D. 1997. An activity of lowering blood-glucose levels according to preparative conditions of silkworm powder. Kor. J. Seric. Sci. 39, 79-85. 

  24. Zhishen, J., Mengcheng, T. and Jianming, W. 1999. The determination of flavonoid contents in mulberry and their scavenging effects on superoxide radicals. Food Chem. 64, 555-55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