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년은 정보 활용격차에서 자유로운가? - 한국 2030 청년세대의 모바일 정보 활용에 관한 연구 -
Is the Youth Generation Free from the Digital Divide?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Mobile Information of the 2030 Youth Generation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1, 2021년, pp.39 - 54  

김설인 (충남대학교 소비자학과) ,  구혜경 (충남대학교 소비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30 청년세대의 모바일 정보 활용수준에 따라 집단을 유형화하고, 유형별 소비자역량과 생활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 실증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세대 내 정보격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파악하고 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8년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 원자료를 활용하여 총 1779부의 유효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2030 청년세대의 정보 활용요인은 '개인의 정보활동', '공유활동', '생활서비스', '사회참여', '정보 및 네트워킹', '경제활동'으로 도출되었다. 정보 활용수준에 따라 소비자는 준거집단(46.5%), 고활용집단(27.2), 저활용집단(26.3%) 3가지로 유형화되었으며, 유형별 인구통계학적 특성, 소비자역량, 생활 만족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준거집단과 비교하여, 고활용집단과 저활용집단의 정보격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2030 청년세대 내 정보 활용수준이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고, 이러한 차이가 정보격차로 이어질 가능성을 피력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청년세대 역시 정보격차의 대상이 될 수 있으며, 향후 정책이나 교육에서도 청년세대 정보격차에 대한 발전된 차원의 논의가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 to demonstrate and categorize the status of level of mobile information utilization of the 2030 youth generation, and to identify factors that may affect the digital divide within the generation. For this purpose, 1779 data were analyzed using materials for the 2018 digital divide sur...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특히 정보통신 기술을 익숙하게, 잘 활용하고 있다고 여겨지는 2030 청년세대의 경우, 정보 활용수준이 가장 높은 집단으로 인식되어 이에 대한 논의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19년에 발표된 2018년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 원자료를 활용하여 2030 청년세대의 모바일 정보 활용수준의 차이를 파악하고, 정보 활용수준에 따른 집단별 정보활동 및 생활 만족도 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2030 청년 세대 내 정보 활용수준 차이가 새로운 정보격차로 이어질 가능성에 대해 탐색하고, 향후 정책이나 교육에서 청년 정보격차에 관한 사전적 대응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2030 청년세대의 정보 활용수준을 구체적으로 탐색하고, 이에 따라 소비자를 유형화하여 유형별 소비자의 역량 및 생활 만족도 등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청년세대 안에서도 정보 활용격차가 일어날 수 있다는 점을 환기하고, 잠재되어있는 청년세대 내 정보격차에 대해 사전적 대응방안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19년에 발표된 2018년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 원자료를 활용하여 2030 청년세대의 모바일 정보 활용수준의 차이를 파악하고, 정보 활용수준에 따른 집단별 정보활동 및 생활 만족도 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2030 청년 세대 내 정보 활용수준 차이가 새로운 정보격차로 이어질 가능성에 대해 탐색하고, 향후 정책이나 교육에서 청년 정보격차에 관한 사전적 대응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서형준, 명승환, "국내 정보격차연구 동향,"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제19권, 제4호, pp.151-187, 2016. 

  2. 민영, "인터넷 이용과 정보격차: 접근, 활용, 참여를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 제48권, 제1호, pp.150-187, 2011. 

  3. 한국정보화진흥원, 2018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9. 

  4. S. Molnar, "The Explanation Frame of the Digital Divide," Proceedings of the Summer School, Risks and Challenges of the Network Society, pp.4-8, Aug. 2003. 

  5. NTIA, Falling through the net: A survey for the have nots in rural and urban America, www.ntia.doc.gov, 1995. 

  6. OECD, Understanding the Digital Divide, 2001. 

  7.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212081&efYd20200611#0000 

  8. M. Warren, "The digital vicious cycle: Links between social disadvantage and digital exclusion in rural areas," Telecommunications Policy, Vol.31, pp.374-388, 2007. 

  9. F. Belanger and L. Carter, "The impact of the digital divide on e-government use," Communications of the ACM, Vol.52, No.4, pp.132-135, 2009. 

  10. 서이종, "디지털 정보격차의 구조화와 사회문제화," 정보사회와 미디어, 제2권, pp.68-87, 2000. 

  11. 이원태, "스마트 모바일 환경에서 참여격차의 개념화와 정책과제," 21세기정치학회보, 제23권, 제2호, pp.371-395, 2013. 

  12. 김호기, 신기욱, 고동현, 이승훈, 스마트폰 시대의 모바일 디바이드, KT 경영경제연구소, pp.39-40, 2011. 

  13. 신혜원, 지성우, "스마트미디어 시대의 새로운 정보 격차 유형과 해소방안에 대한 규범적 검토," 미국헌법연구, 제25권, 제3호, pp.171-203, 2014. 

  14. 김문조, 김종길, "정보격차(Digital Divide)의 이론적.정책적 재고," 한국사회학, 제36권, 제4호, pp.123-155, 2002. 

  15. J. Van Dijk, "Digital divide research," achievements and shortcomings, Poetics, Vol.34, No.4, pp.221-235, 2006. 

  16. 이승민, "미국 사회에서 스마트 기기가 정보격차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43권, 제2호, pp.29-52, 2012 

  17. 이상윤, 정명주, "다문화사회에서의 정보격차해소를 위한 플랫폼 구축 연구," 한국행정학회 춘계학술발표 논문집, pp.1685-1708, 2013. 

  18. 심상완, 김정식, "사회인구학적 배경에 따른 정보격차의 다원모형분석," 한국인구학, 제24권, 제2호, pp.235-253, 2001. 

  19. 이향수, 이성훈, "농어민의 정보격차와 소득수준에 대한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논문지, 제16권, 제1 호, pp.13-20, 2018. 

  20. 김태환, 이상용, "개인의 모바일 정보격차가 모바일 인터넷의 인지적 가치 차이에 미치는 영향 분석," Information Systems Review, 제19권, 제2호, 2017. 

  21. 송효진, "질적 정보격차와 인터넷 정보이용의 영향요인 고찰," 한국정책과학학회보, 제18권, 제2호, pp.85-116, 2014. 

  22. https://sites.google.com/view/cdlkr/%EB%94%94%EC%A7%80%ED%84%B8-%EB%A6%AC%ED%84%B0%EB%9F%AC%EC%8B%9C 

  23. 서형준, "정보격차 연구에 대한 비판적 논의,"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1호, pp.657-666, 2014. 

  24. 구윤모, 오주현, "개인의 사회적 관계가 디지털 기기 활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사회적 자본 관점," Information Systems Review, 제21권, 제3호, pp.131-149, 2019. 

  25. 김봉섭, 김정미, "노년층의 정보격차 결정요인 연구정보기술수용모형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35권, 제2호, pp.193-222, 2009. 

  26. 오지안, 유재원, "노년층의 디지털 리터러시가 심리적 안녕감과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공공관리학보, 제32권, 제2호, 2018. 

  27. 박웅기, 박윤정, "인터넷 자기효능감과 인터넷 정보 격차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3권, 제2호, pp.395-417, 2009. 

  28. 구혜경, 나종연, "금융소비자의 문제경험 요인의 탐색을 위한 융복합적 접근 연구-기술적 정보특성과 주관적 역량을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3권, 제5호, pp.31-39, 2015. 

  29. 구혜경, "우리나라 소비자의 리콜 역량과 리콜 경험에 관한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6권, 제4호, pp.1-10, 2018. 

  30. 김판수, 김희섭, 이미숙, "고령층의 정보활용수준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정보화학회,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제17권, 제1호, pp.25-47,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