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이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공유리더십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Team Leader's Facilitation Competency on the Team Effectiveness: Mediating Effects of the Shared Leadership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1, 2021년, pp.243 - 257  

이명희 (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 평생학습학과) ,  정기수 (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 평생학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과 팀 효과성의 관계에서 공유리더십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했고, 이를 위해 팀제를 운영하는 조직의 구성원 37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의 하위요인인 커뮤니케이션 및 참여 분위기 조성은 팀 효과성(팀 성과, 팀 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과업 및 조직화는 팀 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의 커뮤니케이션 및 참여 분위기 조성, 과업 및 조직화 모두 공유 리더십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유리더십은 팀 효과성(팀 성과, 팀 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공유리더십은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과 팀 효과성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이 확인됐다. 본 연구는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과 다른 변인들 간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퍼실리테이션 연구를 이론적으로 확장하고, 현대 조직에서 요구하는 리더와 구성원의 역할과 역량에 대한 방향을 제안하여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shared leadership between team leader's facilitation competency and team effectiveness.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377 members in the team-operated organiza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가설 설정

  • 가설 1
  • 가설 2
  • 가설 3
  • 가설 4
  • 가설 5
  • 가설 6
  • 가설 7
  • 가설 8
  • 가설 9
  • 가설 6. 팀 리더의 과업 및 조직화는 공유리더십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 팀 리더의 과업 및 조직화는 팀 성과에 정(+) 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4. 팀 리더의 과업 및 조직화는 팀몰입에 정(+) 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9.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과 팀 효과성의 관계에서 공유리더십은 매개 효과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0)

  1. K. Schwab,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urrency, 2016. 

  2. H. R. Jessup, "New roles in team leadership," Training & Development Journal, Vol.44, No.11, pp.79-84, 1990. 

  3. P. Bergevin, 강선보, 채성주, 김희선(번역), 성인교육철학, 원미사, 2017. 

  4. Kimitosi Hori, 임해성(번역), 퍼실리테이션 테크닉 65, 비즈니스맵, 2014. 

  5. D. Hunter, The art of facilitation: The essentials for leading great meetings and creating group synergy, Jossey-Bass, 2009. 

  6. R. M. Schwarz, The skilled facilitator: A comprehensive resource for consultants, facilitators, managers, trainers, and coaches, John Wiley & Sons, 2002. 

  7. M. John, "퍼실리테이터형 리더십이 끌린다," 월간 HRD 4월호, pp.22, 2010. 

  8. J. A. Kolb, S. Jin, and J. Hoon Song, "A model of small group facilitator competencies," Performance improvement quarterly, Vol.21, No.2, pp.119-133, 2008. 

  9. M. Wilkinson, The Secrets of Facilitation. The SMART Guide to Getting Results with Groups, Jossey-Bass, 2004. 

  10. Bens. Ingrid, Facilitating to lead!: Leadership strategies for a networked world, John Wiley & Sons, 2006. 

  11. J. A. Stewart, "High-performing(and threshold) competencies for group facilitators," Journal of change management, Vol.6, No.4, pp.417-439, 2006. 

  12. G. Hirst, L. Mann, P. Bain, A. Pirola-Merlo, and A. Richver, "Learning to lead: The development and testing of a model of leadership learning," The Leadership Quarterly, Vol.15, No.3, pp.311-327, 2004. 

  13. A. Carmeli and P. B. Paulus, "CEO ideational facilitation leadership and team creativity: The mediating role of knowledge sharing," The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Vol.49, No.1, pp.53-75, 2015. 

  14. C. K. De Dreu and M. A. West, "Minority dissent and team innovation: The importance of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6, No.6, pp.1191-1201, 2001. 

  15. L. A. O'Hara, Leadership style and group creativity, Doctorial dissertation, Yale University, 2001. 

  16. M. A. West and M. Wallace, "Innovation in health care teams," Europe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Vol.21, No.4, pp.303-315, 1991. 

  17. Q. Miao, A. Newman, and X. Huang, "The impact of participative leadership on job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Distinguishing between the mediating effects of affective and cognitive trust,"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Vol.25, No.20, pp.2796-2810, 2014. 

  18. C. K. Lam, X. Huang, and S. C. Chan, "The threshold effect of participative leadership and the role of leader information sharing,"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58, No.3, pp.836-855, 2015. 

  19. A. Newman, P. S. Rose, and S. T. Teo, "The role of participative leadership and trust­based mechanisms in eliciting intern performance: Evidence from China," Human Resource Management, Vol.55, No.1, pp.53-67, 2016. 

  20. 권기술, 팀조직 내 회의 주재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이 팀 공유감과 팀 학습활동을 통해 팀 학습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21. 홍아정, 백평구, 조윤성, "농촌진흥공무원 전문지도 연구회 퍼실리테이터 교육과정 설계,"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제44권, 제1호, pp.23-49, 2012. 

  22. V. Pierce, D. Cheesebrow, and L. M. Braun, "Facilitator competencies," Group Facilitation: A Research & Applications Journal, Vol.2, No.2, pp.24-31, 2000. 

  23. H. Siebens, Facilitating leadership. Leading With Wisdom, European Spes Cahiers, 2007. 

  24. D. Archer and A. Cameron, Collaborative leadership: How to succeed in an interconnected world, Routledge, 2009. 

  25. B. A. Jain and D. N. Ross, "Assessing the impact of integrated group support systems on the performance of teams," American Business Review, Vol.16, No.1, pp.105, 1998. 

  26. S. M. Miranda and R. P. Bostrom, "Meeting facilitation: process versus content interventions,"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Vol.15, No.4, pp.89-114, 1999. 

  27. D. A. Waldman, "Designing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s for total quality implementation," Journal of organizational change management, Vol.7, No.2, p.31, 1994. 

  28. A. L. Day and S. A. Carroll, "Using an ability-based measure of emotional intelligence to predict individual performance, group performance, and group citizenship behaviour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36, No.6, pp.1443-1458, 2004. 

  29. S. E. Jackson, A. DeNisi, and M. A. Hitt, Managing knowledge for sustained competitive advantage: Designing strategies for effective human resource management, John Wiley & Sons, 2003. 

  30. C. L. Pearce and H. P. Sims, "Vertical versus shared leadership as predictors of the effectiveness of change management teams: An examination of aversive, directive, transactional, transformational, and empowering leader behaviors," Group dynamics: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Vol.6, No.2, pp.172-197, 2002. 

  31. M. D. Ensley, K. M. Hmieleski, and C. L. Pearce, "The importance of vertical and shared leadership within new venture top management teams: Implications for the performance of startups," The leadership quarterly, Vol.17, No.3, pp.217-231, 2006. 

  32. V. K. Gupta, R. Huang, and A. A. Yayla, "Social capital, collectiv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performance: A resource-based view of self-managed teams," Journal of managerial issues, Vol.23, No.1, pp.31-45, 2001. 

  33. D. V. Day, P. Gronn, and E. Salas, "Leadership in team-based organizations: On the threshold of a new era," The Leadership Quarterly, Vol.17, No.3, pp.211-216, 2006. 

  34. Q. Wu, K. Cormican, and G. Chen, "A meta-analysis of shared leadership: Antecedents, consequences, and moderators," Journal of Leadership & Organizational Studies, Vol.27, No.1, pp.49-64, 2020. 

  35. 정연수, 중등학교 교감의 퍼실리테이션 역량이 교사 리더십, 학교조직문화, 조직몰입 및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36. 전승희, 초등 수석교사의 퍼실리테이션 역량과 교사의 교직헌신, 교사학습공동체와의 구조적 관계, 신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37. S. G. Cohen and D. E. Bailey, "What makes teams work: Group effectiveness research from the shop floor to the executive suite," Journal of Management, Vol.23, No.3, pp.239-290, 1997. 

  38. E. Sunderstrom, K. Demeuse, and D. Futrell, "Work Team," American Psychologist, Vol.45, No.1, pp.120-133, 1990. 

  39. G. P. Shea and R. A. Guzzo, A Theory of Work Group Effectiveness, The Wharton School, University of Pennsylvania, 1984. 

  40. J. R. Hackman, The Design of Work Teams, In J. Lorsch(Eds.), Handbook of Organizational Behavior, Englewood Cliffs, 1987. 

  41. C. C. Kuo, "Research on impacts of team leadership on team effectiveness," Journal of American Academy of Business, Vol.5, No.1, pp.266-277, 2004. 

  42. W. R. Scott and G. F. Davis, Organizations and organizing: Rational, natural and open systems perspectives, Routledge, 2015. 

  43. J. A. Kolb, "Let's bring structure back: A commentary," Management Communication Quarterly, Vol.9, No.4, pp.452-465, 1996. 

  44. G. A. Gladstein, "Empathy and counseling outcome: An empirical and conceptual review," The Counseling Psychologist, Vol.6, No.4, pp.70-79, 1977. 

  45. 김경석,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팔로워십 유형을 조절변수로,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46. 우성희, 대기업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과 구성원의 직무몰입의 관계,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47. J. A. Conger and C. L. Pearce, Shared leadership: Reframing the hows and whys of leadership, Sage Publications, 2003. 

  48. 양동민, 심덕섭, "수직적 리더십(Vertical leadership)과 공유리더십(Shared leadership)이팀 몰입과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제2014권, 제11호, pp.163-178, 2014. 

  49. D. Wang, D. A. Waldman, and Z. Zhang, "A meta-analysis of shared leadership and team effectiven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99, No.2, pp.181, 2014. 

  50. B. J. Avolio, D. I. Jung, W. Murry, and N. Sivasbramaniam, Building highly developed teams: Focusing on shared leadership process, efficacy, trust, and performance. Advances in Interdisciplinary Studies on Work Teams, CT: JAI Press, 1996. 

  51. A. Mehra, B. R. Smith, A. L. Dixon, and B. Robertson, "Distributed leadership in teams: The network of leadership perceptions and team performance," The Leadership Quarterly, Vol.17, No.3, pp.232-245, 2006. 

  52. B. A. De Jong and T. Elfring, "How does trust affect the performance of ongoing teams? The mediating role of reflexivity, monitoring, and effort,"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53, No.3, pp.535-549, 2010. 

  53. C. Pearce and C. C. Manz, "The new silver bullets of leadership: the importance of self and shared leadership in knowledge work," Organizational Dynamics, Vol.34, No.2, pp.130-140, 2005. 

  54. J. E. Hoch, "Shared leadership and innovation: The role of vertical leadership and employee integrit," Journal of Business and Psychology, Vol.28, No.2, pp.159-174, 2014. 

  55. M. S. Fausing, T. S. Joensson, J. Lewandowski, and M. Bligh, "Antecedents of shared leadership: empowering leadership and interdependence," Leadership & Organization Development Journal, Vol.36, No.3, pp.271-291, 2015. 

  56. 방호진, 공유 리더십과 심리적 안전 분위기가 팀 성과, 팀 몰입 및 변화지향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팀 성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57. J. B. Carson, P. E. Tesluk, and J. A. Marrone, "Shared leadership in teams: An investigation of antecedent conditions and performan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50, No.5, pp.1217-1234, 2007. 

  58. J. E. Hoch, "Shared leadership and innovation: The role of vertical leadership and employee integrity," Journal of Business and Psychology, Vol.28, No.2, pp.159-174, 2013. 

  59. J. Nahapiet and S. Ghoshal, "Social capital, intellectual capital, and the organizational advantag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23, No.2, pp.242-266, 1998. 

  60. J. C. Henderson and S. Lee, "Managing I/S design teams: a control theories perspective," Management science, Vol.38, No.6, pp.757-777, 1992. 

  61. 신제구, 백기복, 신창근, "조직구성원이 집단주의 성향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집단결과 기대감과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제28권, 제2호, pp.139-155, 1999. 

  62. 이진경, 공유리더십이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63. G. Van Der Vegt, B. Emans, and E. Van De Vliert, "Team members' affective responses to patterns of intragroup interdependence and job complexity," Journal of management, Vol.26, No.4, pp.633-655, 2000. 

  64. 김용근, 분산 리더십과 활력관계가 조직시민행동, 팀 몰입 및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65. N. J. Hiller, D. Day, and R. J. Vance, "Collective enactment of leadership roles and team effectiveness: A field study," Leadership Quarterly, Vol.17, No.4, pp.387-397, 2006. 

  66. 이욱기, "팀구성원 특성과 팀과정이 팀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제6권, 제1호, pp.269-281, 2004. 

  67. 이운형, 유현상, 임상호, "S자동차 개발 부서 근로자의 근무환경이 직원의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기업경영리뷰, 제10권, 제2호, pp.133-145, 2019. 

  68. J. E. McGrath, Social psychology: A brief introduction, Holt, Rinehart and Winston, 1964. 

  69.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No.6, pp.1173-1182, 1986. 

  70. J. E. Hoch and S. W. J. Kozlowski, "Leading virtual teams: Hierarchical leadership, structural supports, and shared team leadership,"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99, No.3, pp.390-403, 2014.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