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적용한 실시간 화상강의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Use Real-time Video Conferencing Using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1, 2021년, pp.292 - 310  

이장석 (가천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  양승현 (가천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  송병원 (가천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VID 19의 영향이 교육계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비대면 수업이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된 상황에서 실시간 화상강의에 대한 학습자의 만족과 이용의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화상강의 특성으로서 학습자-교수자 간 상호작용성, 사회적 실재감, 이용가능성, 자기효능감, 참여정도가 인지된 유용성과 이용 용이성, 학습 만족과 화상강의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인지된 이용 용이성에는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성과 이용가능성, 자기효능감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지된 유용성에는 이용가능성을 제외한 모든 변인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인지된 유용성과 이용 용이성은 학습 만족과 화상강의 이용의도를 높이는 요인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학습 만족 역시 화상강의 이용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실증적인 분석을 통해 향후 많은 교육 현장에서 활용하게 될 실시간 화상강의에 대해 여러 이론적, 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nfluence of COVID 19 has a direct impact on the education field. In the situation where non-face-to-face classes are inevitably required, interest in the learning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use real-time video conferencing is increasing.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learner-teacher int...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 학기 동안 실시간 화상 강의를 진행한 사례를 토대로 확장된 TAM을 적용하여 다양한 외부변수를 고려한 실증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실시간 화상강의를 고려하는 다양한 교육 및 실무 현장에 이론적, 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의의를 가진다.

가설 설정

  • 가설 10: 학습자의 학업 참여정도는 인지된 유용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11: 인지된 이용 용이성은 인지된 유용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12: 인지된 이용 용이성은 학습 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13: 인지된 유용성은 학습 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14: 인지된 이용 용이성은 화상강의 이용의 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15: 인지된 유용성은 화상강의 이용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16: 학습 만족은 화상강의 이용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1: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은 인지된 이용 용이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은 인지된 유용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3: 사회적 실재감은 인지된 이용 용이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4: 사회적 실재감은 인지된 유용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5: 이용가능성은 인지된 이용 용이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6: 이용가능성은 인지된 유용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7: 자기효능감은 인지된 이용 용이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8: 자기효능감은 인지된 유용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9: 학습자의 학업 참여정도는 인지된 이용 용이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3)

  1. 임철일, 김혜경, 김동호, "글로벌 공학교육의 원격화상 강의에 대한 학습자 만족도 분석," J.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제15권, 제4호, pp.66-75, 2012. 

  2. 서희전, "대학에서의 국제 원격 화상강의 사례 연구 국제-문화이해 인식 및 참여적 수업전략을 중심으로," 문화예술교육연구, 제6권, 제2호, pp.127-160, 2011. 

  3. 허운나, 박미혜, "인터넷과 화상회의를 활용한 원격수업운영에 관한 사례연구: 네덜란드 University of Twente의 코스 운영을 중심으로," 교육공학연구, 제16권, 제4호, pp.225-258, 2000. 

  4. Y. Wang, "Supporting synchronous distance language learning with desktop video conferencing," Language Learning & Technology, Vol.8, No.3, pp.90-121, 2004. 

  5. 문철우, 김재현, "이러닝 만족도 영향요인으로서의 상호작용과 몰입,"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제14권, 제3호, pp.63-72, 2011. 

  6. 권순동, 윤숙자, "이러닝의 특성과 유용성이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J.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anagement, Vol.17, No.1, pp.35-54, 2010. 

  7. 김영민, 박기훈, "e-Learning에서 학습실재감, 학습몰입 및 학습성과의 관계," e-비즈니스연구, 제19권, 제3호, pp.99-115, 2018. 

  8. 정한호, "대학에서 강의보조도구로 활용되는 이러닝의 지속적인 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기대일치모형, 기술 수용모형, 계획된 행동이론, 몰입이론을 기반으로," 교육공학연구, 제30권, 제2호, pp.307-334, 2014. 

  9. H. Mohammadi, "Investigating users' perspectives on e-learning: An integration of TAM and IS success model,"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45, pp.359-374, 2015. 

  10. 주영주, 정애경, 정유진, "이러닝과 연계된 모바일러닝에서 사이버대학생의 모바일 자기효능감과 이동성이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제18권, 제1호, pp.55-68, 2015. 

  11. M. A. Almaiah, M. A. Jalil, and M. Man, "Extending the TAM to examine the effects of quality features on mobile learning acceptance," Journal of Computers in Education, Vol.3, No.4, pp.453-485, 2016. 

  12. 오영범, 이창두, "원격화상시스템을 활용한 영어 수업이 수업만족도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0권, 제8호, pp.317-326, 2012. 

  13. 이예지, 김태영, "농.어촌 및 도서지역 원격 화상 수업이 영어 학습 동기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 영어학, 제19권, 제1호, pp.95-119, 2019. 

  14. 조은미, 한안나, "온라인 학습공동체에서 사회적 실재감이 학습몰입과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16권, 제1호, pp.23-43, 2010. 

  15. I. F. Liu, M. C. Chen, Y. S. Sun, D. Wible, and C. H. Kuo, "Extending the TAM model to explore the factors that affect intention to use an online learning community," Computers & Education, Vol.54, No.2, pp.600-610, 2010. 

  16. J. T. Nagy, "Evaluation of online video usage and learning satisfaction: An extension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nternational Review of Research in Open and Distributed Learning, Vol.19, No.1, pp.160-185, 2018. 

  17. 김영민, "사이버대학의 사회적 실재감과 학습만족도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 e-비즈니스연구, 제20권, 제1호, pp.199-216, 2019. 

  18. 주영주, 하영자, 김은경, 유지원, "사이버대학에서 교수실재감, 인지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과 학습성과와의 구조적 관계 규명," 정보교육학회논문지, 제14권, 제2호, pp.175-187, 2010. 

  19. 배재권, 정화민, "e-Learning 재이용의도의 영향요인 분석," e-비즈니스연구, 제10권, 제3호, pp.203-234, 2009. 

  20. F. D. Davis,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Vol.13, No.3, pp.319-340, 1989. 

  21. V. Venkatesh and F. D. Davis, "A theoretical extension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ur longitudinal field studies," Management Science, Vol.46, No.2, pp.186-204, 2000. 

  22. B. Sumak, M. Hericko, and M. Pusnik, "A meta-analysis of e-learning technology acceptance: The role of user types and e-learning technology type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27, No.6, pp.2067-2077, 2011. 

  23. 진창현, 여현철, "소셜 미디어의 수용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산업경제연구, 제24권, 제3호, pp.1295-1321, 2011. 

  24. V. Venkatesh, "Determinants of perceived ease of use: Integrating control, intrinsic motivation, and emotion into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11, No.4, pp.342-365, 2000. 

  25. M. G. Moore and G. Kearsley, Distance education: A systems view(2nd ed.), Belmont, CA: Wadsworth Publishing Co, 2005. 

  26. V. Motamedi, "A critical look at the use of videoconferencing in United States distance," Education, Vol.122, No.2, pp.386-394, 2001. 

  27. 장선영, "이러닝 콘텐츠 개발의 실험적 방법론에 대한 교수자, 개발 관련자, 학습자 인식 및 요구 탐색-A 사이버대학의 1인 미디어식 콘텐츠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방법연구, 제30권, 제4호, pp.395-421, 2018. 

  28. I. Ajzen and M. Fishbein, "Attitude-behavior relations: A theoretical analysis and review of empirical research," Psychological Bulletin, Vol.84, No.5, pp.888-918, 1977. 

  29. 김상연, 유상미, 김미량, "UCC 활용 영어 수업 경험 집단과 비 경험 집단의 참여의도 차이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8권, 제1호, pp.313-341, 2011. 

  30. 김태웅, 엄명용,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본 이러닝 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경영학연구, 제35권, 제1호, pp.51-80, 2006. 

  31. M. Moore, "Three types of interactions," The American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Vol.3, No.2, pp.1-6, 1989. 

  32. A. Hay, M. Hodgkinson, J. W. Peltier, and W. A. Drago, "Interaction and virtual learning," Strategic Change, Vol.13, No.4, pp.193-204, 2004. 

  33. M. H. Abdous and C. J. Yen, "A predictive study of learner satisfaction and outcomes in face-to-face, satellite broadcast, and live video-streaming learning environments," The Internet and Higher Education, Vol.13, No.4, pp.248-257, 2010. 

  34. 김종숙, "이러닝 학습성과의 영향 변인 탐색과 인과 분석의 교육정책적 함의," 열린교육연구, 제15권, 제3호, pp.101-125, 2007. 

  35. 노찬숙, 정철호, "상호작용성이 이러닝 시스템 수용에 미치는 영향," 전자상거래학회지, 제10권, 제4호, pp.3-27, 2009. 

  36. 이장석, 성동규, "모바일 간편결제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자기해석의 조절적 역할을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6권, 제4호, pp.137-147, 2018. 

  37. Y. C. Kuo, A. E. Walker, B. R. Belland, K. E. Schroder, and Y. T. Kuo, "A case study of integrating interwise: Interaction, internet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in synchronous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International Review of Research in Open and Distributed Learning, Vol.15, No.1, pp.161-181, 2014. 

  38. D. R. Garrison, and M. Cleveland-Innes, "Facilitating cognitive presence in online learning: Interaction is not enough," The American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Vol.19, No.3, pp.133-148, 2005. 

  39. 김지심, 강명희, "기업 이러닝에서 학습자가 인식한 교수실재감과 학습실재감, 학습효과의 구조적 관계 규명," 아시아교육연구, 제11권, 제2호, pp.29-56, 2010. 

  40. K. Swan, "Virtual interaction: Design factors affecting student satisfaction and perceived learning in asynchronous online courses," Distance Education, Vol.22, No.2, pp.306-331, 2001. 

  41. J. A. Smith, and S. A. Sivo, "Predicting continued use of online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the influence of social presence and sociability,"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Vol.43, No.6, pp.871-882, 2012. 

  42. J. Wang, P. Antonenko, and K. Dawson, "Does visual attention to the instructor in online video affect learning and learner perceptions? An eye-tracking analysis," Computers & Education, Vol.146, 103779, 2020. 

  43. N. Mallat, M. Rossi, V. K. Tuunainen, and & A. Oorni, "The impact of use context on mobile services acceptance: The case of mobile ticketing," Information & Management, Vol.46, No.3, pp.190-195, 2009. 

  44. A. Bandur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Freeman, 1997. 

  45. M. Abbad, "Learning from group interviews: Exploring dimensions of learning management system acceptance," International Journal of Instructional Technology and Distance Learning, Vol.7, No.3, pp.25-39, 2010. 

  46. A. Bandura, "Self-efficacy mechanism in human agency," American Psychologist, Vol.37, No.2, pp.122-127, 1982. 

  47. F. Abdullah, and R. Ward, "Developing a general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r e-learning(GETAMEL) by analysing commonly used external factor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56, pp.238-256, 2016. 

  48. J. A. Fredricks, P. C. Blumenfeld, and A. H. Paris, "School engagement: Potential of the concept, state of the evidence,"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Vol.74, No.1, pp.59-109, 2004. 

  49. M. Gupta, and J. Pandey, "Impact of student engagement on affective learning: Evidence from a large Indian university," Current Psychology, Vol.37, No.1, pp.414-421, 2018. 

  50. J. J. Appleton, S. L. Christenson, D. Kim, and A. L. Reschly, "Measuring cognitive and psychological engagement: Validation of the student engagement instrument,"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Vol.22, pp.427-445, 2006. 

  51. 박인우, "학습자의 기본적 심리 욕구와 교사의 자율성지지 및 교수전략이 학습자의 수업 참여에 미치는 영향 분석," 교육방법연구, 제23권, 제1호, pp.235-250, 2011. 

  52. 추헌택, 손원숙, "대학생용 학업참여 척도(UWES-S)의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제9권, 제3호, pp.485-503, 2012. 

  53. M. T. Marino, C. M. Gotch, M. Israel, E. Vasquez III, J. D. Basham, and K. Becht, "UDL in the middle school science classroom: Can video games and alternative text heighten engagement and learning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Learning Disability Quarterly, Vol.37, No.2, pp.87-99, 2014. 

  54. 문병무, 신용태, 천양하, "군 이러닝(e-Learning) 학습만족도 영향요인에 대한 실증적 연구,"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0호, pp.109-117, 2015. 

  55. Q. Zhao, C. D. Chen, and J. L. Wang,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ownership and TAM on social media loyalty: An integrated model," Telematics and Informatics, Vol.33, No.4, pp.959-972, 2016. 

  56. 배병렬, Amos 24 구조방정식모델링, 서울:청람, 2017. 

  57. 우종필, 우종필 교수의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서울:한나래출판사, 2013. 

  58. 장선주, 김세리, "상황학습 환경에서의 모바일 학습을 위한 교수-학습 시나리오 및 교육콘텐츠 개발," 교육공학연구, 제25권, 제1호, pp.95-135, 2009. 

  59. S. H. Liu, H. L. Liao, and J. A. Pratt, "Impact of media richness and flow on e-learning technology acceptance," Computers & Education, Vol.52, No.3, pp.599-607, 2009. 

  60. S. Hrastinski, "Asynchronous and synchronous e-learning," Educause Quarterly, Vol.31, No.4, pp.51-55, 2008. 

  61. M. A. Almaiah, M. A. Jalil, and M. Man, "Preliminary study for exploring the major problems and activities of mobile learning system: A case study of Jordan," Journal of Theoretical and Applied Information Technology, Vol.93, No.2, pp.580-594, 2016. 

  62. S. Anderson and J. Harris, "Factors associated with amount of use and benefits obtained by users of a statewide educational telecomputing network,"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Vol.45, No.1, pp.19-50, 1997. 

  63. I. Jung, S. Choi, C. Lim, and J. Leem,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interaction on learning achievement, satisfaction and participation in web-based instruction," Innovations in Education and Teaching International, Vol.39, No.2, pp.153-162, 2002.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