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하대공간 초동 화재진압에 적용가능한 자율형 소화체계의 폼 분사 해석 기법 연구
Numerical study on the foam spraying for AFDSS applicable to initial fire suppression in large underground space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논문집, v.23 no.6, 2021년, pp.503 - 516  

박진욱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화재안전연구소) ,  유용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화재안전연구소) ,  김휘성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화재안전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자율형 초동소화 체계는 복합적 감지 기술 및 화재 위치별 정확한 타격을 위한 분사/제어 기술등에 대한 고도의 기술이 필요하다. 또한, 상황에 따라 유류화재에 대한 대응을 위해 폼(foam) 분사 기능이 포함하여야 한다. 다만, 단일 분사 모니터를 공용으로 사용할 시 청수와 폼(foam) 분사 특성이 상이하므로 정확한 화재 진압을 위해서는 분사궤적 및 거리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자율형 소화체계 구축을 위해 개발된 분사 모니터를 통한 폼 분사 특성 분석을 위해 실험적 연구와 수치해석적 연구를 복합적으로 수행하였다. 폼 분사에 대한 유동해석을 위해 OpenFOAM 해석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모델링을 하였으며, 폼 특성은 일반적인으로 사용되고 있는 포소화약제 수성막포를 적용하였다. 폼 형태에 따라 분사압, 분사각에 따른 분사 거리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동시에 분사 실험을 통해 결과에 대한 검증 및 결과를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utonomous fire detection and suppression system requires advanced technology for complex detection technology and injection/control technology for accurate hitting by fire location. Also, foam spraying should be included to respond to oil fires. However, when a single spray monitor is used in commo...

주제어

표/그림 (20)

참고문헌 (6)

  1. Grosshans, H., Movaghar, A., Cao, L., Oevermann, M., Szasz, R.Z., Fuchs, L. (2016), "Sensitivity of VOF simulations of the liquid jet breakup to physical and numerical parameters", Computers and Fluids, Vol. 136, pp. 312-323. 

  2. Korea Fire Safety Standards (2007), Standard on foam extinguishing system. 

  3. Lee, Y.H., Ryu, Y.C., Seong, J.H., Park, Y.C. (2016), "Numerical investigation of the effect of flow passage variation on the projection distance of the foam monitor",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7, No. 1, pp. 244-251. 

  4. Menchini, C.P. (2013), "Experimental flow characterization and computational model development of aqueous film-forming foam (ARFF) firefighting jets", Doctoral Dissertation, West Virginia University, pp. 1-8. 

  5. National Fire Agency (2017), Technical standards for type approval and product inspection of fire extinguishing agents. 

  6. National Fire Agency (2021), Fire safety standards for fire extinguishing facilities (NFSC 10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