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사현장 근로자의 임시소방시설에 대한 집단 간 Ambivalence 차이분석
Analysis of Ambivalence Differences among Groups for Temporary Firefighting Facilities of Workers at Construction Site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7 no.4, 2021년, pp.765 - 778  

문필재 (우석대 일반대학원 소방방재학과) ,  공하성 (우석대학교 소방방재학과)

초록

이 연구는 공사현장 근로자의 임시소방시설에 대한 집단 간의 사전 지식을 비교 문제점을 도출하고 그에 맞는 개선방안을 강구하여 화재사고를 미연에 예방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화기의 경우 시공사, 감리원, 협력사 근로자와 소화기 관리책임자를 지정 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시공사 공종별로 소화기 관리책임자를 지정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소방관리자 87%, 설비감독자 70%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이는 근로자들이 임의로 화기 작업장으로 이동하여 배치하고 작업 후 그냥 방치하는 사례가 많기 때문에 소화기 관리책임자를 지정하고 수시로 점검하고 재배치하는 관리지정이 필요하다. 둘째, 간이소화장치의 경우 시공사, 감리원, 협력사 근로자와 간이소화장치 무단사용 시 벌칙적용 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비상경보장치의 경우 시공사, 감리원, 협력사 근로자와 임시방송설비로 비상경보음 발생 적용 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넷째, 유도등의 경우 시공사, 감리원, 협력사 근로자와 통로유도등 및 비상조명등 연계 적용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협력사 공종별로 피난구 유도등과 통로유도등 및 비상조명등 연계 적용은 건축근로자 65%, 전기근로자 55%가 통로유도등 및 비상조명등 연계 적용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건축물 구조상 피난구 유도등의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해서 통로유도등 및 비상조명등과 연계 적용하여 출입문의 방향을 먼 거리에서도 쉽게 구별하여 작업자가 인지하여 안전하게 대피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vent fire accidents in advance by deriving prior knowledge among groups about temporary fire-fighting facilities of workers at construction sites and devising appropriate improvement measur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First, in the case of fire extinguishers, st...

주제어

표/그림 (11)

참고문헌 (21)

  1. Lim, Pil, Gun(2018), "A Study on the Problems Analysis and the mprovement for the Standards of Temporary Fire-Fighting Facility on the Building under Construction", A dissertation on the Department of Safety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pp, 40. 

  2.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tvh&oid056&aid0011031834 

  3.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tvh&oid052&aid0000901563 

  4. Shin, Gi, Yun(2019), "A Study on the Workers' Recogni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Temporary Fire-fighting Facilities at a Construction Site", Master's Degree in Fire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Industry, pp, 144-146. 

  5. https://www.moleg.go.kr/index.es?sida1 

  6. https://www.law.go.kr/LSW/lsSc.do?menuId 

  7. Choi Chul(2020), "A study on the operational status of temporary firefighting facilities in construction sites and research on system improvement", A dissertation on the Department of Disaster Prevention Engineering, Graduate School of Urban Sci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pp, 108-110. 

  8. Cho, Yong, Gu(2020), "An Experimental Study on Methods for Ensuring the Effectiveness of Temporary Fire Protection System in Large Construction Sites", Major of Fire Protection and Urban Disaster Management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 Kyonggi University, pp, 57-58. 

  9. Shin, Seun, Hoon(2004), "(A) study on the difference of ambivalence between groups depending upon consumers' innovative adoption : focusing on new products of non-durable goods', Graduate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Marketing major, Master's degree thesis, pp, 84. 

  10. Lee, Eui, Pyeong(2008), "Analysis of the Actual Conditions of Fire Outbreak and its Preventive Measures during New Construction of Buildings", JpOagUeRs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Vol.24, No.10, pp. 21-27 (7 pages) 

  11. Jung, Il, gyun(2014).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fire safety in high-rise building construction", Major in Construction Management,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pp, 109-110. 

  12. Kang, Yun, Jin(2010), "A Study on Cause Analysis and Countermeasure for Fire Accident during Constructio", Myongji University Graduate School, Department of Industrial Engineering, Ph.D. thesis.pp. 91-95. 

  13. Han, Wan,Seok(2010), "Drawback and Preventive Measures of Fire Outbreak during [3] Seo, Dong, Hyun, Han, Ou, Sup and Lee, Keun, Won(2019),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tal Accidents Caused by Fire, Explosion and Asphyxiation during Welding and Flame Cutting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Vol.34,No.3, pp. 21-27 (7 pages) New Construction of Buildings", Graduate School of Urban Sci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pp, 76-77. 

  14. Cho, Cheon, Mook(2016), "A Study on Improvement of Fire Safety Measures at Construction Work Sites", Master's degree thesis at Kyonggi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Construction Industry, pp, 76-77. 

  15. Kim, Sung, Jip(2018), "A Study on the Fire Prevention and Response of Construction Site for Large mixed-use buildings",Graduate School of Construction and Industry, Kyonggi University, Firefighting and Urban Disaster Prevention Major, Master's Degree, pp, 90-92. 

  16. Lee, Hee, Chan,(2017), "A Study on the Cause of Fire Accidents and Safety Measures at Construction Sit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Graduate School of Global Convergence, Department of Safety Engineering, Department of Safety Engineering, Master's Degree, pp, 73. 

  17. Hwang, Ho, Cheon(2020), "Fire accident safety measures and response of securing fire protection of high-rise building projects",Graduate School of Safety and Environmental Technology, Hoseo University, M.A. thesis, pp, 51-52. 

  18. Kim Tae, Han(2020), "A Study on the Effect of Fire Accident Reduction through Fire Watcher Education at Construction Sites", Architecture of Kyonggi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 Safety engineering major, master's degree thesis, pp, 64. 

  19. Pyo,Yeon, Soo(2020), "A Study on Improvement of Safety Education for Fire Prevention in Construction Sites", A thesis on disaster prevention engineering and master's degree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Urban Science, pp, 116-117. 

  20. Park, Jong,Young(2021), "A Study on the Site Safety Inspection by Analysis of Accident Risk by Construction Types", Forum of Public Safety and Culture Vol., No.11,pp. 17-27 (11 pages) 

  21. Sin, Yoon,Seok(2021), "A Study on the Potential Risk Analysis for the Safety Management in the Formwork",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J. Korea Inst. Build. Constr.), Vol.21, No.2, pp. 121-128 (8 page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