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아교사의 정서지능이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교사가 인식한 부모-교사 신뢰관계와 협력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f Infant Teachers on Play Teaching Efficacy: The Mediating Effects of Trust Relationship and Cooperative Behavior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7 no.6, 2021년, pp.29 - 52  

이시은 (수원대학교 일반대학원 아동가족복지학과) ,  송승민 (수원대학교 아동가족복지학과) ,  한정이 (수원대학교 일반대학원 아동가족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parent-teacher trust relationship and cooperative behavi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infant teachers and their play teaching efficacy. Methods: A total number of 216 teachers in charg...

주제어

표/그림 (9)

참고문헌 (105)

  1. 강수경, 김민정, 정미라 (2016). 초임 유아교사의 정서지능,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정서노동의 매개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2(2), 183-200. doi:10.14698/jkcce.2016.12.02.183 

  2. 경기도교육청 (2019). 놀이 2019, 놀이로 유아의 삶을 담다. 경기도: 경기도교육청. 

  3. 고범서 (2001). 신뢰의 윤리적 이해. 신뢰연구, 11(1), 1-68. 

  4. 고봉주 (2016).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지능 및 놀이성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고혜진 (2009). 부모-교사 협력행동과 부모-교사 신뢰관계가 영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구수진 (2001). 유치원교사의 자기효능감과 부모와의 의사소통 수준간의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구연의 (2019). 영아교사의 영아발달지식과 정서지능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권다은 (2019).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과 수업역량의 관계에서 놀이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권영주 (2017). 보육교사의 정서지능과 직장 내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경화 (2012). 영아교사의 영아발달지식과 보육효능감이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남중 (2021). 초등교사의 학교구성원에 대한 신뢰, 교사효능감 및 교사 직무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미란 (2020). 유아교육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교육신념에 대한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김사녀, 부성숙 (2013). 유아교사의 의사소통능력이 교수효능감 및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22(4), 511-524. 

  14. 김선민 (2020). 프로젝트 유아교사의 발달에 적합한 교육신념과 놀이교수효능감이 교수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김선영, 강의정 (2006). 영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에 따른 교사 상호작용 유형에 관한 연구. 육아지원연구, 1(2), 5-25. 

  16. 김성은 (2009). 리더의 감성지능, 조직공정성, 신뢰와 조직유효성간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 신뢰의 인지적.정서적 접근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김수현 (2017).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교사-부모 간 의사소통 : 교사의 경험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김수연, 조혜진 (2012). 영아 교사의 정서지능과 교사-영아 상호작용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7(5), 189-208. 

  19. 김은희 (2019). 영아교사 전문성과 교사효능감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테크노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김유정, 박지혜, 안선희 (2012). 보육교사의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유능성, 그리고 가정연계효능감이 부모-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3(5), 71-89. doi:10.5723/KJCS.2012.33.5.71 

  21. 김유환 (2011). 어머니-교사관계가 유아-교사관계 및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김주옥, 이시자 (2012. 3). 보육교사 기질과 영아 기질이 보육교사와 영아 간 애착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춘계 보육관련학회 통합학술대회 포스터 발표 논문, 서울. 

  23. 김지혜 (2019). 동료교사 협력관계 및 부모-교사 협력관계가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김희진 (2020). 유아교사의 놀이성, 놀이교수효능감이 유아교사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김희진, 홍희란, 김언아 (2004). 영아를 위한 프로그램의 실제. 서울: 창지사. 

  26. 노경섭 (2016). 제대로 알고 쓰는 논문 통계분석: SPSS & AMOS 21. 서울: 한빛아카데미. 

  27. 노은숙 (2012). 유아교사의 정서지능이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류경희, 강상 (2015). 유아교사의 정서지능, 동료교사 협력관계, 부모-교사 협력관계와 교사효능감 간의 구조모형 분석.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9(2), 203-225. 

  29. 문형구, 장용선 (2005). 상사에 대한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상사의 행동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정성적 접근. 亞細亞硏究, 48(3), 137-167. 

  30. 박미선 (2019). 보육교사의 기질과 정서지능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박복매 (2011). 보육교사의 역할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내-외 통제성, 직무환경, 정서지능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2. 박아영, 김정민 (2021). 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놀이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생활과학회 학술대회, 2021(5) 85-85. 

  33. 박예영 (2018). 보육교사의 정서지능 및 민감성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박주미 (2016). 영아교사의 인성 및 놀이교수효능감과 교사-영아 상호작용의 관계.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박찬웅 (1998). 신뢰의 위기와 사회적 자본.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1998, 201-207. 

  36. 박혜영 (2019). 유아교사의 자율성지지와 놀이교수효능감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방글이 (2015). 부모-교사 협력과 보육교사의 교사 효능감이 영아의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배율미, 조유진 (2014). 유아교사의 교사-부모 의사소통에 대한 인식 연구: 의사소통 어려움과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幼兒敎育學論集, 18(1), 323-340. 

  39. 배진희, 김지현 (2017). 만 3세 유아의 인지발달에 대한 부모-교사 협력관계의 영향력: 가정환경의 질, 부모의 수학적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3(6), 143-161. doi:10.14698/jkcce.2017.13.06.143 

  40. 서미정, 이경님 (2017). 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에 대한 원장과 동료의 정서적 지지, 보육교사의 정서지능과 셀프리더십간의 구조적 관계.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1(2), 1-28. 

  41. 손세란 (2008). 보육시설 만 1, 2, 3세 학급에서의 어머니-교사 관계에 대한 상호인식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송은주 (2019). 영아교사-부모협력, 교사-영아상호작용,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 광주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송지준 (2015).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AMOS 통계분석방법. 서울: 21세기사. 

  44. 신은수 (2000). 놀이에 대한 교사효능감이 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과 유아 놀이발달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20(1), 27-42. 

  45. 신은수, 유영의, 박현경 (2004). 유아교사의 놀이에 대한 교수 효능감과 놀이 운영 실제 신념에 관한 도구 개발연구. 유아교육연구, 24(1), 49-69. 

  46. 안선희 (2004). 부모참여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태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1(3), 27-50. 

  47. 엄세진, 서현아 (2021). 유아교사의 그릿이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7), 289-302. 

  48. 오지은 (2020).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지능, 창의성, 놀이교수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25(4), 197-217. doi:10.20437/KOAECE25-4-08 

  49. 유정숙 (2016). 보육교사의 대인관계유능성, 정서표현성, 보육효능감이 부모-교사 협력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0. 윤기영, 박상님 (2000). 유아교사와 학부모의 인간관계. 한국교원교육연구, 17(1), 379-404. 

  51. 윤은정 (2017). 영아교사의 정서지능과 직무만족도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2. 이경님 (2019). 유아교사의 경력과 정서지능 및 부모-교사 협력관계가 놀이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9(4), 155-169. doi:10.21213/kjcec.2019.19.4.155 

  53. 이경애 (2021). 보육교사가 지각한 보육교사-어머니 신뢰관계가 보육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4. 이근주 (2011). 영아반 보육교사의 영아발달지식이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5(4), 73-94. 

  55. 이미경 (2017). 영아교사의 인성 전문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칼빈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6. 이민영 (2015). 보육교사의 정서지능이 교사 민감성과 교사-영아 관계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7. 이명실 (2007). 교육적 관계의 회복으로서의 신뢰 모형 탐색 : 대화적 관계와 공동체적 관계를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8. 이석순, 박은미 (2014).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전문성 발달수준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8(4), 437-460. 

  59. 이수현 (2015). 영아반 교사의 영아발달지식 및 보육효능감과 교사-영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0. 이숙정 (2018). 초등교사가 지각한 학교풍토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신뢰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8(8), 489-498. 

  61. 이재민 (2020). 유치원교사의 놀이성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놀이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2. 이재진 (2013). 영유아 교사의 놀이신념, 놀이교수효능감,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3. 이재진, 최나야 (2013). 영유아교사의 놀이신념, 놀이교수효능감,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한국보육학회지, 13(3), 183-203. 

  64. 이학식, 임지훈 (2008).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 7.0. 파주: 법문사. 

  65. 이환임 (2018). 영아교사의 인성과 자아탄력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6. 이현정 (2014). 교사가 지각하는 부모와의 의사소통에 관한 어려움과 직무만족도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 국공립 어린이집 유아반 교사와 영아반 교사를 대상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7. 임미점 (2019). 보육교사의 인성과 전문성 인식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8. 임옥희 (2006). 보육교사-영아상호작용과 보육교사 신념 및 효능감 간의 관계.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9. 임우영 (2010). 유치원교사의 부모-교사 협력행동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0. 전영주 (2018).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버지의 양육참여 및 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이 영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1. 정계숙 (2011). 유아교사의 어머니-교사 간 의사소통의 어려움에 대한 지각 관련 변인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5(3), 143-164. 

  72. 정미라, 김세경, 김민정 (2016). 유치원교사의 정서지능과 교사: 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놀이교수효능감과 교직전문성 인식의 순차적 매개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2(3), 137-157. doi:10.14698/jkcce.2016.12.03.137 

  73. 조부경, 이은진 (2007). 유치원 교사의 과학교수지식에 영향을 주는 관련 변인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2(1), 185-205. 

  74. 조영옥 (2015). 유아교사의 의사결정 참여도와 정서지능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관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5. 조혜진, 김옥주 (2009). 영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4(3), 227-244. 

  76. 지성애 (2013). 유치원교사의 미술교수효능감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7(3), 5-29. 

  77. 최선미, 최창섭 (2004). 초등학교 교사와 학부모간의 의사소통 실태 연구. 한국유아교육연구, 1(2), 96-117. 

  78. 최해주, 문수백 (2013).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원장의 변혁적 지도성, 그리고 부모-교사 협력관계와 유아-교사 상호작용간의 관계구조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0(3), 69-87. 

  79. 홍지명 (2015). 부모와의 신뢰관계 형성을 위한 유아교사의 노력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0. 한지현, 유태용 (2005). 상사의 정서지능이 부하의 태도와 상사 과업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사회학회지 산업 및 조직, 18(1), 177-199. 

  81. Adams, K. S., & Christenson, S. L. (2000). Trust and the family-school relationship examination of parent-teacher difference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grades.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38(5), 477-497. doi:10.1016/S0022-4405(00)00048-0. 

  82. Anderson, L. W. (1991). Increasing teacher effectiveness: Fundamentals of educational planning. ERIC, ED350654, 134. 

  83. Atkins, P., & Stough, C. (2005, January). Does emotional intelligence change with age? Paper Presented at the Society for Research in Adult Development Annual Conference, Atlanta, US. 

  84. Bandura, A. (1997). Self 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W. H. Freeman & Company. 

  85. Belsky, J., & Eggebeen, D. (1991). Early and extensive maternal employment and young children's socioemotional development: Children of the national longitudinal survey of youth.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53(4), 1083-1098. doi:10.2307/353011 

  86. Bicaj, A., Bytyqi, A., Azizi, T., & i Xhemajli, A. (2018). Cooperation of preschool institutions with parents toward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sis, 7(2), 75-101. 

  87. Browne, M. W., & Cudeck, R. (1992).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Sociological Methods & Research, 21(2), 230-258. doi:10.1177/0049124192021002005 

  88. Chung, L., Marvin, C. A., & Churchill, S. L. (2005). Teacher factors associated with preschool teacher-child relationships: Teaching efficacy and parent-teacher relationships. Journal of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25(2), 131-142. doi:10.1080/1090102050250206 

  89. Day, C. (2007). A passion for teaching, 열정으로 가르치기(박은혜, 이진화, 위수경, 조혜선 옮김). 서울: 파란마음(원판 2004). 

  90. Elicker, J., Noppe, I., Noppe, L., & Fortner, W. (1997). The parent-caregiver relationship scale: A measure of the adult relationship in infant child care. January 1997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8(1), 83-100. doi:10.1207/s15566935eed0801_7 

  91. Gambetta, D. (1988).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s. Oxford: Blackwell. 

  92. Garbacz, S. A., McIntyre, L. L., & Santiago, R. T. (2016). Family involvement and parent-teacher relationships for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School Psychology Quarterly, 31(4), 478-490. doi:10.1037/spq0000157 

  93. Matthews, G., Zeidner, M., & Roberts, R. D. (2010). Emotional intelligence: Science & Myth, 정서지능: 그 오해와 진실(문용린, 곽윤정, 강민수 옮김). 서울: 학지사(원판 2004). 

  94. Gestwicki, C. (2007). Benefits of teacher-family partnerships for children, parents, and teachers. In C. Gestwicki (Ed.), Home, school, and community relations (pp.168-190). Clifton Park, NY: Thomson Delmar Learning. 

  95. Goldstein, L. S., & Lake, V. E. (2000). Love, love, and more love for children: exploring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s of caring.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6(8), 861-872. doi:10.1016/S0742-051X(00)00031-7 

  96. Lewis, J. D., & Weigert, A. (1985). Trust as a social reality. Social Forces, 63(4), 967-985. doi:10.1093/sf/63.4.967 

  97. Mayer, J. D., & Salovey, P. (1997). What is emotional intelligence? In P. Salovey & D. Sluyter (Eds.), Emotion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pp. 3-31). New York: Basic Books. 

  98. Mason, K. O., & Duberstein, L. (1992). What are the consequences of child care practices and arrangements for the well-being of parents and providers? Consequences of child care in the 1990s : Trends and consequences. Hillsdale, NJ: Erlbaum. 

  99. Penrose, A., Perry, C., & Ball, I. (2007). Emotional intelligence and teacher self efficacy: The contribution of teacher status and length of experience. Issues In Educational Research, 17(1), 107-126. 

  100. Salovey, P., & Mayer, J. D. (1990). Emotional Intelligence. Imagination, Cognition and Personality, 9(3), 185-211. doi:10.2190/DUGG-P24E-52WK-6CDG 

  101. Sutton, R. E., & Wheatley, K. F. (2003). Teachers' emotions and teaching: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15(4), 327-358. doi:10.1023/A:1026131715856 

  102. Tschannen-Moran, M., Hoy, A. W., & Hoy, W. K. (1998). Teacher efficacy: Its meaning and measure.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8(2), 202-248. doi:10.3102/00346543068002202 

  103. West, S. G., Finch, J. F., & Curran, P. J. (1995).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 Problems and remedies. In R. H. Hoyle (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pp. 56-75). Thousand Oaks, CA: Sage. 

  104. Ware, A. M., Barfoot, B., Rusher, A. S., & Owen, M. T. (2000). The caregiver role in the parent-caregiver partnership: Its relationship to the child care environment.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5(3), 413-428. doi:10.1016/S0885-2006(00)00073-9 

  105. Wong, C., & Law, K. S. (2002). The effects of leader and follower emotional intelligence on performance and attitude; An exploratory study. The Leadership Quarterly, 13(3), 243-27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