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아교사의 경력 및 교사효능감과 민감성, 전문성 발달 간의 구조적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 Between Infant Teachers' Career, Efficacy, Sensitivity, and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ism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6 no.5, 2020년, pp.155 - 171  

김진경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유아교육과) ,  강은영 (명지대학교대학원 아동학과) ,  윤혜주 (덕성여자대학교대학원 유아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 between infant teachers' career, efficacy, sensitivity, and the development of their professionalism.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320 infant teachers working at day care centers in Gyeonggi-do and Seoul. The collected ...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음으로 영아교사의 전문성 발달에 영향을 주는 주요 변인으로 영아교사의 민감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민감성이란 영아의 울음소리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신호와 단서에 대한 분별능력이 있으며, 영아의 개인차에 따라 다른 양육기술로 반응해 주는 것을 말한다(Howes, 1995).
  •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교사의 전문성 발달에 경력과 교사효능감, 민감성이 어떠한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하는 데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영아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바탕으로 영아보육의 질을 높이고, 영아교사들이 갖추어야 하는 교사효능감과 민감성의 형성으로 영아교사의 전문성 발달을 이끌어 내고자 한다. 이는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모든 영아와 학부모가 만족할 수 있는 질 높은 보육과정 운영에 부응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영아교사의 경력 및 교사효능감, 민감성, 전문성 발달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정하고, 모형적합도, 효과검증을 실시한 결과 연구모형의 적합도가 우수하게 나타난바, 영아교사의 경력, 교사효능감, 민감성, 전문성 발달 간의 경로를 설명하기에 적합한 모형을 도출하였다.
  • 즉, 영아교사의 경력이 많을수록 영아의 발달특성을 잘 이해하고 업무수행을 효과적으로 잘 수행함으로써 전문성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보육현장경험의 축적은 민감성 향상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음을 보여주며, 보육현장에서 경험하는 경험의 질이 얼마만큼 중요한지를 시사하는 바이다. 따라서 영아교사의 전문성 발달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현장에 익숙해지고 현장에서의 여러 가지 일들을 문제 없이 잘 통제하며, 이에 따라 문제해결력을 증진시키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는 것을 본 연구결과를 통해 알 수 있다.
  •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교사의 전문성 발달에 경력과 교사효능감, 민감성이 어떠한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하는 데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아교사의 민감성이란? 다음으로 영아교사의 전문성 발달에 영향을 주는 주요 변인으로 영아교사의 민감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민감성이란 영아의 울음소리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신호와 단서에 대한 분별능력이 있으며, 영아의 개인차에 따라 다른 양육기술로 반응해 주는 것을 말한다(Howes, 1995).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교사의 경력이 많을수록 오랜 경험으로 습득된 지식으로 영아의 요구를 잘 파악하고, 영아의 행동에 따라 적절히 대응할 뿐만 아니라 영아들의 행동을 미리 예측할 수 있다고 하였다(이선희, 이승연, 2011; 홍은숙, 2012).
산업화사회로의 전환으로 인하여 자녀양육의 문제는 어떤 결과를 초래하였는가? 최근 우리 사회는 산업화사회로의 전환을 맞으면서 핵가족화와 취업모의 사회참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시대적 변화는 자녀양육의 문제가 더 이상 가족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 책임의 보육 공공성 차원에서 논의되어야 함이 강조되면서 영아의 보육이 자연스럽게 기관으로 이관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더욱이 2012년부터 무상보육이 실시되면서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영아의 수는 급속히 많아지고 영아들이 어린이집에서 생활하는 시간도 증가하고 있다.
영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이란? 영아교사의 전문성 발달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교사효능감을 들 수 있다. 교사효능감은 교수 행위가 영아의 발달과 학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신념으로, 교수실제와 깊은 관련이 있다(김용숙, 전연주, 박지영, 2013 ; Ashton, 1984). 보육현장에서 보육과정 수행과 효과 측면에서 실제적인 효과를 이끌어내게 되며, 교수활동을 진행하는 동안 발생하게 되는 문제 상황에 대한 대처능력과 상황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분석능력, 평가를 실행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요인이라고 말할 수 있다(김희태, 백영숙, 2009; Woolfolk & Hoy, 199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0)

  1. 강병재, 백영숙 (2013). 어린이집 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과의 관계에서 수 창의성과 교수 효능감의 매개효과. 어린이미디어연구, 12(1), 145-168. 

  2. 권미성, 문혁준 (2013).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전문성 수준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4), 277-296. 

  3. 권정윤, 이미나, 정미라 (2016). 영아교사의 경력, 회복탄력성, 교사효능감 및 교사민감성 간의 구조적 관계. 유아교육연구, 36(3), 293-312. doi:10.18023/kjece.2016.36.3.013 

  4. 곽희경 (2011). 유아교사의 행복감 및 자아정체감과 교사 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경화, 송승민 (2012). 영아반 교사의 영아발달지식이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보육 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3(3), 357-368. 

  6. 김선영, 서소정 (2010). 유아 교사 효능감 척도 개발 연구. 아동학회지, 31(4), 91-110. 

  7. 김영희, 송승민 (2010). 공립유치원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직무수행에 대한 어려움과 교사효능감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5(6), 1-24. 

  8. 김양은 (2018). 보육교사의 경력에 따라 전문성 유지를 위한 보수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111, 1-26. doi:10.37918/kce.2018.07.111.1 

  9. 김옥렬 (2000). 보육의 전문성을 위한 보육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민간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전문성과 관련하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옥주, 조혜진 (2012). 영아반 초임교사의 직무수행을 돕는 교사교육프로그램 모형 개발. 한국교원교육연구, 29(2), 223-249. doi:10.24211/tjkte.2012.29.2.223 

  11. 김용숙, 전연주, 박지영 (2013). 보육교사의 자아존중감과 교수효능감 및 직무수행의 어려움 인식 간의 관계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4(3), 1100-1108. doi:10.5762/KAIS.2013.14.3.1100 

  12. 김유정 (2005). 중등학교 가정과 교사의 교사효능감 유형과 관련 변인.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김지영, 윤진주 (2011). 보육교사의 전문성 발달과 효능감, 역할 수행 간의 관계. 아동교육, 20(4), 127-137. 

  14. 김현지 (2007). 교사-영아의 바람직한 상호작용을 위한 보육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김희태, 백영숙 (2009). 유아교사의 창의성과 교수효능감. 유아교육학논집, 13(3), 51-67. 

  16. 노수진, 이경님 (2015). 영아교사의 보육효능감과 자아탄력성 및 직무스트레스가 교사민감성에 미치는 영향. 생태유아교육연구, 14(3), 92-113. 

  17. 문태형 (2005). 유아교사의 성취목표성향과 교사효능감의 관계연구. 아동학회지, 26(4), 21-34. 

  18. 민광미 (2014). 영아반 교사용 민감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문수백 (2009). 구조방정식 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서울: 학지사. 

  20. 백은주, 조부경 (2004).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발달 수준 자기 평가 도구 개발. 유아교육연구, 24(4), 95-117. 

  21. 서지은 (2014). 영아교사의 놀이신념, 놀이교수효능감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송지준 (2009).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 AMOS 통계분석방법. 경기도: 21세기사. 

  23. 신혜영 (2004).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효능감이 교사행동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신혜영, 이은해 (2005).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효능감이 교사 행동의 질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6(5), 105-121. 

  25. 신희이 (2011). 영아교사의 전문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영아교사의 민감성, 교직헌신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 심숙영 (2017).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 교수효능감 및 교사-유아 관계와 유아의 문제행동 간의 관계. 아동교육, 26(3), 187-206. doi:10.17643/KJCE.2017.26.3.10 

  27. 염지숙 (2005). 유아교육현장에서 돌봄의 실천과 한계. 유아교육연구, 25(5), 147-171. 

  28. 양심영, 이옥임 (2011). 영아-교사 상호작용 증진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적용과정에서 나타나는 영아교사의 인식 탐색. 한국영유아보육학, 67, 43-66 . 

  29. 양옥승 (2002). 유치원교사 양성체제와 유아교육의 전문성 신장. 한국교원교육연구, 19(1), 25-44. 

  30. 오정윤 (2011). 보육교사 민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8(3), 25-47. 

  31. 우수경, 김기예 (2015). 개인변인에 따른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교사효능감 및 직무소진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95, 105-125. 

  32. 육아정책연구소 (2018). 2018년 전국보육실태조사: 어린이집조사 보고. 서울: 보건복지부. 

  33. 이경례, 문혁준 (2013). 영아보육교사의 발달지식, 교사효능감, 전문성 지원환경이 전문성 발달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3(3), 163-182. 

  34. 이근주 (2011). 영아반 보육교사의 영아발달지식이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5(4), 73-94. 

  35. 이기영 (2007). 교사의 보육신념, 보육효능감, 직무스트레스 및 영아 기질과 교사-영아 상호작용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6. 이선미, 차정윤, 변혜원 (2009). 유아교육현장에서 요구하는 유아교사상에 대한 질적 연구-원장.시설장.유아교사와의 면담을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1), 299-337. 

  37. 이선희, 이승연 (2011). 만1세반 자유놀이 시간에서의 영아-교사 상호작용과 교사민감성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28(1), 163-189. 

  38. 이연승, 조미나 (2005). 보육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실태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0(1), 41-67. 

  39. 이영희 (2009).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전문성 발달과의 관계. 중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0. 이완정 (1999). 보육교사와 영유아의 상호작용 평가. 한국영유아보육학, 17, 97-114. 

  41. 이완희 (2004). 영아반 초임교사의 정체성 형성과정.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2. 이정미 (2007). 발달에 적합한 실제에 대한 보육교사의 신념과 교사-영아 상호작용과의 관계.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이한영 (2005). 1-2세 영아와 교사의 상호작용. 한국영유아 교원교육학회. 2005년 춘계학술대회발표 논문, 서울. 

  44. 이현정 (2010). 유아교사의 효능감과 전문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이형민, 박성연, 서소정 (2008). 어머니의 양육유형 및 민감성이 영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6(2), 97-111. 

  46. 장종윤, 송하나 (2010).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영아의 기질과 교사효능감이 교사와 영아 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생활과학, 13, 113-122. 

  47. 조성연, 구현아 (2005).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기 효능감. 아동학회지, 26(4), 55-70. 

  48. 조혜진 (2007). 영아반 초임교사들의 어려움과 적응에 대한 이해. 유아교육학논집, 11(2), 237-262. 

  49. 최미애 (1999). 유치원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제 변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0. 한석실, 임명희 (2003). 유치원 교사의 교사효능감 확인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0(1), 207-240. 

  51. 홍은숙 (2013). 영아-교사 간 상호작용에서 교사의 민감성과 민감성 인식 및 영아의 적응행동.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2. 홍세희 (2000).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임상, 19(1), 161-177. 

  53. Ashton, P. T. (1984). Teacher efficacy: A motivational paradigm for effective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5(5), 28-32. doi:10.1177/002248718403500507 

  54. Arnett, J. (1989). Caregivers in day-care centers: Does training matter?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10(4), 541-552. doi:10.1016/0193-3973(89)90026-9 

  55. Berk, L. E. (2007). Child development, 아동발달(박낭자, 박경희, 강숙현, 백미열, 성정숙, 오채선 등 옮김). 서울: 정민사(원판 2005). 

  56. Howes, D. (1995). Attachment theory for social work practice. Basingstoke: Macmillan. 

  57. Gerber, E. B., Whitebook, M., & Weinstein, R. S. (2007). At the heart of child care: Predictors of teacher sensitivity in center-based child care.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2(3), 327-346. doi:10.1016/j.ecresq.2006.12.003 

  58. Spodek, B. (1975).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eacher education: A search for consistency. Young Children, 30(3), 168-173. doi:10.2307/42642395 

  59. West, S. G., Finch, J. F., & Curran, P. J. (1995).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 Problems and remedies. In R. H. Hoyle (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pp. 56-75).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60. Woolfolk, A. E., & Hoy, W. K. (1993).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the organizational health of school.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93(4), 355-372. doi:10.1086/46172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