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 유아숲체험장의 공간 개선 방안
The Design Improvement Plan of Seoul Forest Visitor Centers for Little Children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9 no.6, 2021년, pp.49 - 63  

김민정 (국토연구원 도시연구본부) ,  정욱주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유아숲체험장은 유아가 산림을 체험함으로써 전인적 성장을 이루는 교육 시설이며, 숲이라는 환경에 특정 시설이 설치됨으로써 완성되는 것이 아니라 숲이라는 환경 자체에서 유아가 자유롭게 놀이할 수 있는 공간이 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서울시 유아숲체험장의 현황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숲체험 효과를 높이기 위한 공간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론 고찰을 통해 숲체험 효과를 높이는 공간 요소 7가지와 실외놀이공간을 구성하는 6가지 영역을 도출하여 현황 평가를 위한 분석 표를 작성하고 서울시 유아숲체험장 24곳을 대상으로 현장조사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유아교육학 관점에서 물리적 현황을 살펴보고 이용 주체의 경험을 정리하였다. 연구 결과 서울시 유아숲체험장은 위치적 특성과 공간 구조에 따라 6가지 유형으로 분류되며 각 유형별 특징을 갖는다. 개별 유아숲체험장의 환경적 강점을 드러냄으로써 숲체험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야외체험학습장의 경우 운동놀이 영역의 비중이 가장 컸다. 영역별 체험 공간을 고르게 구성함으로써 유아에게 보다 다양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획일적인 시설물 위주의 현황을 숲체험 효과를 낮추는 단편적인 요인으로 볼 수는 없다. 창의적인 활동을 유도하여 숲체험 효과를 높이는 핵심은 주변 자연환경을 고려한 공간 구성이다. 시설물은 유아의 관심이 숲으로 옮겨가도록 돕는 매개체가 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서울시 유아숲체험장의 평균적인 물리적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를 작성하였고, 숲체험 효과를 높이기 위한 공간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는 사업시행 약 10년이 지난 시점에서 유아숲체험장의 질적 수준 향상을 위한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Forest Visitor Centers for Little Children who means preschoolers is an educational facility that achieves holistic growth by experiencing forests, and it should not be completed by installing specific facilities in the forest environment, but should be a space where preschoolers can play freely...

주제어

참고문헌 (29)

  1. Choi, M. W. and H. R. Byun(2006) Comparative study on the satisfaction and actual conditions of playgrounds in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in Daejeon.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5(4):527-539. 

  2. Choi, M. W., S. H. Son and H. S. Lim(2010) A case study of two child-care centers to encourage outdoor play environments and play programs in Daejeon.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9(5):775-794. 

  3. Ham, M. R.(2016) A Study on the Safety of Forest Experience Centers for Children Experienc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Focussing on Seoul City.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Korea. 

  4. Han, Y. J.(2020) Teacher's Perception and Improvement Plan for the Child Forest Experience Center.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Korea. 

  5. Heo, H. J.(2016) A Study on Difficulties and Rewarding Experiences of Early Childhood Forest Instructors in Forest Kindergarten.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Korea. 

  6. Jang, H. B.(2015) Outdoor Play Preference of Children Based on Gender or Age at Kindergarten.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Korea. 

  7. Jin, B. N.(2005) Research the Variety of Reactions Wood Working during Outdoor Play Time.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Korea. 

  8. Kang, T. S.(2015) An Analysis of the Importance & Performance and Children's Attentiveness by the Forest Experience Center for Children : Cases in Seoul and Geumcheon-gu District, Korea. Ph. D. Dissertation. Jeonbuk National University, Korea. 

  9. Kang, T. S.(2019) A study on deriving process of a design alternative to the forest experience center for children through preschooler participator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7(5):1-13. 

  10. Kim, A. Y.(1997) A Study on the Design Prototype of Day-care Center Playgroun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11. Kim, C. K., S. Y. Lee, Y. J. Lee, J. J. Jeong and W. Y. Choi(2016) (A) Counseling Dictionary. Seoul: Hakjisa Publications. 

  12. Kim, E. S.(2010) A Study on the First Forest-Kindergarten Education in Korea. Ph. D. Dissertation. Incheon National University, Korea. 

  13. Kim, K. L.(2003) The Plan and Design of Environmental Experience School for Infants.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14. Korea Forest Service(2014) Manual for the Creation and Operation of the Infant Forest Experience Center for the Promotion of Forest Education. 

  15. Korea National Institute for Special Education(2009) Special Educational Terminology Dictionary. Seoul: Hawoo Publications. 

  16. Kwon, Y. K.(2012) Plan and Design Guidelines for Forest Kindergarten: Using the Forest near. Seoul National University.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17. Lee, D. H.(2017) A Study on the Space Composition and Operation of the Experience Park for Preschooler.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Korea. 

  18. Lee, E. H., J. H. Lee, K. W. Lee, K. S. Lee, Y. H. Hong, E. H. Park and H. J. Kim(2001) Introduction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19. Lee, H. J.(2000) A Study on the Preference of Children for Outdoor Play Equipment and Children's Play Behaviors according to the Outdoor Play Equipment.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Korea. 

  20. Lee, J. N.(2014) An Analysis of Satisfaction on Forest Kindergarten Program.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Korea. 

  21. Lee, K. M.(2012) The Influence of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upon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Master's Thesis. Duksung Women's University, Korea. 

  22. Lee, M. H.(2003) The forest kindergarten in Germany.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3(4):23-48. 

  23. Lim, E. J. and N. U. Kwak(2015) Adaptation process of young children to outdoor activities in the forest. Journal of Holistic Convergence Education 19(1):121-149. 

  24. Ministry of Education(2013) Kindergarten Evaluation Central Training. 

  25. Moon, H. Y.(2003) A Study on Children's Play Preference in Their Interest Centers.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Korea. 

  26. Seo, Y. M.(2015) Theory and Practice of Early Childhood Forest Experience Education. Seoul: Changjisa Publications. 

  27. https://stdict.korean.go.kr/ 

  28. https://www.seoul.go.kr/news/news_report.do#view/204216 

  29. www.latimes.kr/news/articleView.html?idxno3217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