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민간공원 특례사업 추진 대상지 이용객의 중요도-만족도 인식에 관한 연구 - 의정부 직동근린공원을 대상으로 -
Research on the Importance-Satisfaction Perception of Users of Private-Initiated Park Development Project - Focused on Jikdong Neighborhood Parks in Uijeongbu City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50 no.4, 2022년, pp.63 - 76  

김종호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도시설계.경관생태 조경학과) ,  김건우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도시설계.경관생태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장기미집행 도시공원의 대응수단으로 진행된 민간공원 특례사업 중 첫 시행 및 완료된 의정부 직동근린공원을 대상으로 이용객의 공원이용현황과 중요도 및 만족도 분석을 통해 인식을 비교하고자 수행하였다. 특례사업 추진계획에 따른 대상지 아파트 거주민과 비거주민을 그룹으로 분류하였으며, 공원이용현황과 IPA 분석을 위해 중요도 및 만족도 설문을 수행하였다. 먼저 민간공원 특례사업 추진 시 발생하고 있는 입지적 특성 측면에서 현황분석을 통해 확인한 결과, 연구대상지는 산지형 대상지들과 달리 평지형에 가까운 입지 형태를 보여 이용객들의 경관성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례사업지 내 아파트 거주민들은 접근성이 용이하여 이용도가 비거주민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IPA 분석 및 전략수립을 통해 항목별 인식차이를 확인하였다. 거주민은 I사분면에 시설 및 서비스에서 화장실 설치가 우선순위로 나타났으며, 비거주민은 주차시설과 휴식시설이 화장실 설치보다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II사분면에서는 전반적으로 거주민과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공원까지의 거리는 만족도의 수준이 낮아 III사분면에 위치하였다. 본 연구에서 거주민과 비거주민 간의 인식차이는 추후 공원을 관리하는데 있어 접근적, 시설적 문제점들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조성 후에 거주민들의 인식차이를 고려한 관리전략을 수립을 통해 개선할 수 있는 방안모색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결과를 통해 공원조성 목적과 공원의 유형선정, 유형별 계획 및 관리지표의 선정이 특례사업의 추진에 있어 공원조성 계획 시 중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perceptions of the park use status,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users in the first implemented and completed Uijeongbu Jikdong Neighborhood Park among the private park special projects carried out as a countermeasure for long-term non-execution of urban pa...

주제어

참고문헌 (16)

  1. Architectural Space Research Institute(2013)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Park Evaluation Model for Urban Park Policy Establishment. Research Report. 

  2. Choi, M. U.(2019) A study of the residents'consciousness on the special project for the private park development. Journal of Residential Environment Institute of Korea 17(2): 183-196. 

  3. Gweon, Y. D., H. B. Park and D. P. Kim(2021)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rojects following the promotion of private park special project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9(5): 112-124. 

  4. Gwon, Y. D., H. B. Park and D. P. Kim(2020) Journal of the Construction Act Research 17: 39-66. 

  5. Hong, S. J. and S. J. Chung(2016) Activation of private sector participatory development system for urban park - Focused on urban park in Suwon city -. Journal of the Korean Real Estate Academy 67: 87-101. 

  6. Kim, H. W.(2007) A Study on the User's Behavior and Satisfaction Level of a Neighborhood Parks in Gwang-Ju City. 

  7. Kim, H. G. and D. C. Kim(2016) A study on business value for the creation of a private park regarding long-term non-executed urban parks -Focused on long term non-excuted neighborhood park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4(5): 81-91. 

  8. Kim. S. H.(2019) Plan to Expand Participation in Private Park Creation Special Project Korea Construction Industry Research Institute. 

  9. Korea Institute of Local Administration(2020)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of the Urban Park Feasibility Study Method. Research Report. 

  10. Lee, A. R.(2018) Analysis of disaster prevention plan for climate change response in the private park project development: Case study of Cheongju city. Journal of IDI Urban Research 14: 119-141. 

  11. Lee, J. H.(2017) The Private-Initiated Park Development Project Implementation Strategies through Conflict Cause Analysis. Master's Thesis. Kwangwoon University. 

  12. Lee, J. Y.(2018) A Study on the System Impro Vement for the Development of Public Urban Park. Doctor's Thesis. Yonsei University. 

  13. Lee, J. H.(2022) Drafting and decision-making of park development plans - Focusing on special projects for private park development-. Journal of the Construction Act Research 17: 39-66. 

  14.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2015) Guidelines for Establishing a Master Plan for Parks and Green Areas. Establishment Guidelines. 

  15. Park, Y. G., S. G. Jumg and W. S. Lee(2017) Effects of perceived park environments on park satisfaction for older adults.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13(4): 45-53. 

  16. Guidelines for Establishing City-County Basic Plans.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2018) Establishment Guidelines.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