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학과제 탐구> 과목의 인물 중심 수업 자료 개발 관련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erson-Based Class Materials in Subject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v.35 no.4, 2021년, pp.475 - 504  

이동근 (잠일고등학교)

초록

본 연구는 '<수학과제 탐구> 과목 관련 자료 개발 연구가 현장 지원 연구로서의 가치가 있다는 점'과 '자료 개발에 있어 수학 개념과 관련된 인물들의 지식 구성과 탐구 활동을 중심으로 자료를 구성하는 것이 수업자료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 및 '그동안의 <수학과제 탐구> 과목 자료 개발이 미비하다는 점' 등을 고려하여, 현장 교사들이 수업에 바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한 수업자료를 개발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자료 개발 계획 수립, 자료 개발, 개발 자료에 대한 현장 교사 검증, 개발 자료에 대한 교과 전문가 검증, 검증 의견을 반영한 최종 자료 개발'의 절차를 거쳤다. 이에 과제 탐구 모형을 반영한 1차시 50분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3차시 분량의 수업 자료를 개발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17주를 기준으로 한 교육과정 계획표와 교사-학생 상호 작용이 제시된 수업 지도안 및 학생들이 수업 때 작성하여 제출하는 과제 개발서 양식을 하나의 세트로 하여 개발 자료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개발된 자료를 실제 수업에 적용하는 것을 염두에 두고 개발하였다. 따라서 개발된 자료를 실제 수업에 적용해보고 그 결과를 분석하는 연구를 필요로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 study that developed class materials that can be applied directly to classes by field teachers in consideration of ' research on the development is valuable as a field support study.', 'In material development, organizing data centering on the knowledge composition and inquiry activi...

주제어

표/그림 (6)

참고문헌 (15)

  1. Ko, S. S., Han, H. S., Kim, H. J., Lee, D. G., Shin, D. J., & Lee, C. H. (2020). A study on the textbook development based on mathematical modeling. Journal of Education and Culture. 26(5), 665-690. 

  2. Ministry of Education (2020). 2015 Mathematics Curriculum. Sejong : Ministry of Education. 

  3. Kim, Y.G., Park, B. J., Park, J. H., Park, J. H., Suh, B. E., Shin, H. Y., & Lee, D. G. (2021). Mathematics, Brilliant in modern times. Seoul: Kyungmoonsa. 

  4. Kim. H. K., Song. C. G., Lee, H. Y., Rim, H. M., Jung, J. S., Choi, I. Y., & Lee, K. H. (2021). Restructuring High School Mathematics according to the Credit System-Based Curriculum Framework: An Initial Suggestion. School Mathemaics, 23(2), 232-291. 

  5. Suh, B. E. (2021). A Study on Mathematical Investigation Activity through Using One Mathematical Fact.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35(2), 193-212. 

  6. Yang, S. H. (2021). An Analysis of High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Organization -Focused on the questions range of CSAT mathematics section-. School Mathematics, 23(1), 51-75. 

  7. Lee, D. G. (2019).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class data using the mathematical linkage found in the study of Mendel (1865). The Mathematical Education, 58(3), 383-401. 

  8. Lee, D. G. & Ahn, S. J. (2021).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Real-Time Interactive Class Data among Non-face-to-Face Remote Class Types.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35(2), 173-191. 

  9. Lee, W. S. & Lee, J. I. (1987). History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Seoul: Jeongeum Munhwasa. 

  10. Lee, H. Y. (2018). A Study on the Operating Status of Elective Subject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High School Mathematics Curriulum. School Mathematics, 23(1), 169-187. 

  11. Jung, E. J. (2020). A Study on Rousseau and Mill'x Reading Education for "Reading Classics" of 2015 Revised Curriculum.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iences21, 11(6), 3175-3188. 

  12. Jung, H. Y., Lee, K. H., Baek, D. H. (2018). Design for Subject's Task Based on the Mathematical Modeling Perspective. School Mathematics, 20(1), 149-169. 

  13. Cheon, S. B., Lee, J. H., & Kim, W. K. (2018). A Study on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Mathematics Project Inquiry Subject'. The Mathematical Education, 56(3), 319-340. 

  14. Hwang, H. J. & Kim, J. M. (2018).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struction Model on Project inquiry and Materials for the New Subject of 'Mathematical Task Inquiry' in the curriculum revised in 2015.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32(3), 363-383. 

  15. Lawshe, C. H. (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28, 563-57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