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15 개정 <수학과제 탐구> 신설 과목 운영을 위한 과제 탐구의 수업 모형 및 자료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struction Model on Project inquiry and Materials for the New Subject of 'Mathematical Task Inquiry' in the curriculum revised in 2015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v.32 no.3, 2018년, pp.363 - 383  

황혜정 (조선대학교) ,  김주미 (조선대학교 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새롭게 도입된 <수학과제 탐구> 과목은 고등학교 1학년에서 다뤄지는 <수학> 과목을 이수한 후 수학 과제 탐구의 목적과 절차 및 연구 윤리를 학습하고, 이를 토대로 이전에 학습한 수학 내용을 더 깊이 탐구하거나 다른 교과와 수학을 융합한 흥미로운 주제를 선택하여 탐구하는 과목이다. 하지만, 이 신설 과목은 이례적으로 다른 여타 교과목과는 달리, 교과용 도서가 개발되지 않기 때문에 이 과목의 수업 진행은 온전히 담당 교사의 몫이 된다. 따라서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토대로 효율적인 수업 방법이 이뤄지도록 <수학과제 탐구> 과목 운영에 대한 관심과 노력이 필요할 때이다.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에 따른 수학과 교육과정에 새롭게 도입된 <수학과제 탐구> 과목의 교육 목적인 주제 선정 및 과제 탐구를 달성하기 위하여 성취기준에 부합하는 과제 탐구 수업모형을 개발하고 이에 근거하여 구체적인 수학적 탐구 과제를 개발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이때, 학생들의 학업 및 인지 수준에 보다 적합하고 독창적인 과제 개발을 위하여 실험수업을 실시하여 학생들의 의견을 수렴하고자 한다. 이러한 실험적용은 G 지역에 위치한 J 고등학교 2학년에 진학 예정인 9명을 대상으로 3차시의 수업으로 진행하며, 3차시 수업 직후에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반 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ubject of 'Mathematical Task Inquiry' was introduced newly in the curriculum revised in 2015. The subject is dealt with after completing the subject of 'mathematics' to be dealt with in the tenth grade. Its main content is comprised of the understanding and learning of the purpose and procedu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림Ⅳ-2 참조> B모둠은 한글의 자음과 모음의 배열을 각각 x좌표, y좌표로 대응하는 숫자로 바꾸어 좌표로 나타내고 주어진 좌표가 나타내는 사자성어를 뜻과 함께 맞추는 과제1을 개발하고, 과제1과 동일한 조건에서 좌표의 평행이동과 대칭이동을 이용하여 사자성어를 뜻과 함께 맞히는 과제2를 개발하였다. B모둠은 결과적으로 이 과제를 통해 좌표의 평행이동과 대칭이동을 언급하고 수학뿐만 아니라 국어교과와 통합하여 타 과목의 내용을 정확히 이해하고 있는지 알아볼 수 있도록 하였다.
  • 따라서 교사는 고등학교 1학년의 과목 교과서를 사용하여 대단원 또는 중단원별로 과제를 개발하여 해결해 보고 그 해결 결과 및 소감을 발표해 보도록 하며, 이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한다.
  • 또 저희가 문제를 만들어서 오류가 없는지 검증을 해야 하잖아요. 또 첫 번째랑 달랐던 게 검증을 하면서 틀린부분을 딱 한 가지를 발견했단 말이에요. 틀린 것 찾고 고칠 때 쾌감이 좋았어요(4-9-3).
  • 또, 연구자는 효율적인 과제 수행을 위하여 5단계의‘과제 탐구의 수업모형’절차를 설명해 주고, 모둠별로 드론주제의 과제를 해결하도록 독려하고 핸드폰에 있는 프로그램(Desmos)을 사용하여 그래프를 직접 그려 보도록 하였다. 모둠별로 토론하면서 과제를 해결해 나아가는 과정에서 어려움이 있을 경우 연구자인 수업 진행자에게 질문하여 해결하도록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과제 탐구의 수업모형’을 개발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이 모형 절차에 따라 의미 있는 수학적 탐구 과제의 주제를 선정하고 이 주제에 관한 과제를 개발하여 스스로 해결하도록 하였다.
  • 하지만, <수학과제 탐구> 과목을 한 학기동안 효율적으로 운영하면서 학생들이 이미 학습한 수학 내용을 공고히 다지며 수학적 지식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수학> 과목 교과서의 특정 내용에 대한 중단원 또는 대단원을 중심으로 주제를 다양화 하며 과제를 반복적으로 개발하여 해결해 보는 경험을 하게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면담 결과에서도 학생들은 과제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기존의 수학 지식이 기본 바탕이 되어야 하므로 특정 단원 내용을 중심으로 반복적으로 과제 개발이 이뤄지기를 제안하였다. 따라서 교사는 고등학교 1학년의 <수학> 과목 교과서를 사용하여 대단원 또는 중단원별로 과제를 개발하여 해결해 보고 그 해결 결과 및 소감을 발표해 보도록 하며, 이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한다.
  • 본연구에서는 학생들이 주제를 선정하고 그 주제에 적합한 과제를 개발하는 데 중점을 두였으며, 그래서 모둠별로 동일한 수학 내용(개념)을 이용하지 않고 고등학교 1학년에서 배운 내용으로만 제한하였다.
  • 실험수업은 G 지역에 위치한 J 고등학교 2학년에 진학 예정인 9명(여학생 6명, 남학생 3명)을 대상으로 3차시의 수업으로 진행하며, 3차시 수업 직후에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반 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여 수업 전반에 관한 학생들의 의견을 수렴하고자 한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수학과제 탐구> 과목의 수업을 진행하는데 있어 교사의 안내 하에 학습자가 주축이 되어 과제의 주제를 선정하고 과제를 개발, 해결, 발표하는 활동이 이뤄지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지금까지 언급한 바에 의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우선 2015 개정에 따른 수학과 교육과정에 새롭게 도입된 <수학과제 탐구> 과목의 교육 목적인 과제의 주제 선정 및 과제 탐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성취기준에 부합하는 과제 탐구 수업모형을 개발하고, 이에 근거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탐구 과제의 주제를 선정하여 과제를 개발하고, 이를 해결하고 발표하는 전반적인 수업 과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때, 학생들의 학업 및 인지 수준에 적합하고 보다 독창적인 과제 개발을 위하여 실험수업을 실시하고자 한다.
  • 이를 통해 학생들은 이미 전 학년에서 다뤘던 과목의 내용을 보다 충분히 숙지하고 이해할 수 있는 경험을 쌓도록 한다.
  • 지금까지 언급한 바에 의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우선 2015 개정에 따른 수학과 교육과정에 새롭게 도입된 과목의 교육 목적인 과제의 주제 선정 및 과제 탐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성취기준에 부합하는 과제 탐구 수업모형을 개발하고, 이에 근거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탐구 과제의 주제를 선정하여 과제를 개발하고, 이를 해결하고 발표하는 전반적인 수업 과정을 제시하고자 한다.
  • 첫째, 개정된 연구윤리 확보를 위한 지침에서 사용하는 주요 용어에 대한 ‘정의’ 항목을 신설하여 용어에 대한 의미를 보다 명확하게 정의함으로써 지침에서 사용하는 주요 용어에 대한 모호함이나 혼동의 여지를 해소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학과제 탐구> 과목 운영에 대한 관심과 노력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특히, 새롭게 도입된 <수학과제 탐구> 과목은 고등학교 1학년에서 다뤄지는 <수학> 과목을 이수한 후 수학 과제 탐구의 목적과 절차 및 연구 윤리를 학습하고,이를 토대로 이전에 학습한 수학 내용을 더 깊이 탐구하거나 다른 교과와 수학을 융합한 흥미로운 주제를 선택하여 탐구하는 과목이다. 하지만, 이 신설 과목은 이례적으로 다른 여타 교과목과는 달리, 교과용 도서가 개발되지 않기 때문에 이 과목의 수업 진행은 온전히 담당 교사의 몫이 된다. 따라서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토대로 효율적인 수업 방법이 이뤄지도록 <수학과제 탐구> 과목 운영에 대한 관심과 노력이 필요할 때이다.
수학적 과제는 무엇인가? , 1996; Mason & Johnston-Wilder, 2006 ). 간추리면, 수학적 과제는 교실상황에서 이루어지는 수학 학습 활동 중 학습자의 수학적 이해를 목적으로 하는 구체적인 활동으로 간주되는 수업 자료를 말하며(Stein, et al., 1996; 홍창준, 김구연, 2012), 이러한 과제는 학생들로 하여금 수학에 관심을 갖고 참여하고 도전할 수 있도록 적절하게 선택되어야 하며, 학생들의 문제해결 능력을 향상시키고 수학에의 지속적인 참여를 이끌 수 있어야 한다(NCTM, 2000).
수학적 과제는 어떠해야 하는가? 간추리면, 수학적 과제는 교실상황에서 이루어지는 수학 학습 활동 중 학습자의 수학적 이해를 목적으로 하는 구체적인 활동으로 간주되는 수업 자료를 말하며(Stein, et al., 1996; 홍창준, 김구연, 2012), 이러한 과제는 학생들로 하여금 수학에 관심을 갖고 참여하고 도전할 수 있도록 적절하게 선택되어야 하며, 학생들의 문제해결 능력을 향상시키고 수학에의 지속적인 참여를 이끌 수 있어야 한다(NCTM, 2000). 또, 권지현과 김구연(2013)에 따르면, 학생들에게 의미 있는 수학적 개념이나 아이디어와 관련된 과제는 학생들로 하여금 수학적 정보를 타인과 교환하고 실생활 혹은 다른 영역과 연결하는 능력 등을 발달시키는 기회를 부여한다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Kwon. J. H. & Kim, J. Y.(2013). An analysis of mathematical tasks in the middle school geometry, J . Korean Soc. Math. Ed. Ser. A: The Mathematical Education, 52(1), 111-128. 

  2. Ministry of Education(2015). Curriculum of Mathematics Department.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3. Kim, G. S.(2014). A Study on the Policy Direction for Establishing Research Ethic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9), 35-45. 

  4. Kim, D. J., Bae, S. C., Kim, W., Lee, D. H. & Cho, S. H.(2015). Analysis of mathematical tasks provided by storytelling mathematics textbooks, J. Korea Soc. Math. Ed. Ser.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9(3), 281-300. 

  5. Kim, M. S.(2013). Research Ethics and Learning Ethics. Goyang: Yeonamseoga. 

  6. Kim, M. S. & Jeong, B. J. (2013). Learning Ethics. Research Ethics and Learning Ethics. Goyang: Yeonamseoga. 

  7. Kim, S. H. & Pang, J. S.(2005). An Analysis of Cognitive Demands of Tasks in Elementary Mathematical Instruction: Focusing on 'Ratio and Proportio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15(3), 251-272. 

  8. Park, S. S.(2011). The Effects of Inquiry Oriented Instruction on the Learning of Area Formulas, J. Korean Soc. Math. Ed. Ser. C: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14(1), 43-55. 

  9. Park, S. I.(1996). Inquiry class model. Theory and Application of Teaching Model. Seoul institute of education. 

  10. Seo, S. H.(2016). A Study on Instruction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chievement standards in Algebra of 2015 Revision ,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11. Shin, H. S.(2004). A Study on the Model and Design of Mathematics Classroom. seoul: Gyeongmunsa. 

  12. Lee, D. H.(2016). Pre-Service Primary Teachers' Mathematical Investigation Through Transforming Mathematical Games,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26(1), 143-157. 

  13. Lee, M. Y. & Oh, Y. Y.(2007). The Influence of Mathematical Tasks on Mathematical Communicatio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 17(4), 395-418. 

  14. Lee, I. J.(2015).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Research Ethics. Seoul:Dong Munsa. 

  15. Lee, I. J.(2016). The Backgrounds and Main Contents of the Revised Guideline for Securing of Research Ethics, Asian J Beauty Cosmetol, 14(1), 90-97. 

  16. Hong, C. J. & Kim, G. Y. (2012). Functions in the Middle School Mathematics: The Cognitive Demand of the Mathematical Tasks, School Mathematics, 14(2), 213-232. 

  17. Hwang, H. J.(2002). A Study on the Exploratory Learning in Groups Method in Mathematics 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12(1), 1-16. 

  18. Hwang, H. J. & Hong, S, G. (2017). An Investigation on the Properties of the Argumentation for Students' Performing Geometric Tasks in Middle School-Based on the Type of the Rebuttal of Verheij,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27(4), 701-725. 

  19. Hiebert, J., & Wearne, D. (1993). Instructional, classroom discourse, and student's learning in second-grade arithmetic,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0(2), 393-425. 

  20. John Mason & Sue Johnston-Wilder (2006). Designing and using mathematical tasks. London: Lightning Source. 

  21. Kwon, O. N. (2005) Towards Inquiry-Oriented Mathematics Instruction in the University, Proceedings of KAIST International Syposium on Enhancing University Mathematics Teaching. 

  22.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1991). Professional standard for teaching mathematics. Reston, VA: The author. 

  23.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2000). Principles and standard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The author. 

  24.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25. Peter Sullivan, Doug Clarke & Barbara Clarke (2013). Teaching with tasks for effective mathematics learning. New York: Springer Verlag. 

  26. Silver, E. A. (1997). Fostering creativity through instruction rich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nd problem posing, Mathematics Education, 29(3), 75-80. 

  27. Stein, M. K., Grover, B. W., & Henningsen, M. (1996). Building student capacity for mathematical thinking and reasoning: An analysis of mathematical used in reform classroom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3(2), 455-488. 

  28. Suchman, J. R. (1964). The Illinois studies in inquiry train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3), 230-23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