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울진 소광리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내 금강소나무 고사지역의 지형 환경 특성 분석
Topographic and Meteorological Characteristics of Pinus densiflora Dieback Areas in Sogwang-Ri, Uljin 원문보기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19 no.1, 2017년, pp.10 - 18  

김재범 (국립산림과학원 기후변화연구센터) ,  김은숙 (국립산림과학원 기후변화연구센터) ,  임종환 (국립산림과학원 기후변화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소나무는 우리나라에서 생태적, 사회 문화적으로 가장 중요한 수종으로 보호 이용되어 온 수종이다. 그러나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내 금강소나무 고사가 발생하고 있어 명확한 원인 구명 및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금강소나무의 고사 원인 구명을 위해 시계열 항공영상을 이용하여 금강소나무 고사 발생 전수 조사를 실시하고 고사발생 지역에 대한 지형환경특성을 분석하여, 소나무 고사의 위치적 특성 및 이에 따른 기상 요인과의 연관성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2,600ha 연구 대상지 내에서 약 1,956본의 금강소나무 고사목이 추출되었다. 소나무의 고사는 소나무 생육지역에 비해 고도가 높고, 일사량이 많고, 지형습윤지수가 낮은 지역, 남 남서사면, 능선 부위, 풍노출도가 높은 지역에 집중되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지역은 지형조건에 따라 영향을 받는 미기상 특성에 따라 고온과 건조 스트레스가 상대적으로 높은 지역으로 분류되는 지역이다. 기후변화에 따라 고온 건조 스트레스가 전반적으로 높아지고 있으며 취약지역을 중심으로 스트레스의 임계치를 넘으면서 고사현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러한 지형환경 특성을 바탕으로 MaxEnt 모형을 이용하여 소나무 고사 발생 위험 지도를 제작하였으며, 이는 향후 소나무 보호 관리 대책 수립에 활용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orean Red Pine (Pinus densiflora) has been protected and used as the most ecologically and socio-culturally important tree species in Korea. However, as dieback of Korean red pines has occurred in the protected area of the forest genetic resources. The aims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auses for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 연구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소나무 고사 발생의 생태적 과정에 대한 대안적인 가설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자 한다. (1), 고온과 가뭄이 복합적으로 나타나 건조가 극심해져 말라 죽는 현상; (2), 온도 상승으로 인해 식물의 유지호흡량이 증가하는데 반해 건조현상으로 인한 기공폐쇄로 광합성량이 감소하여 식물체 유지에 문제가 발생해 고사하는 현상; (3), 소나무 균근 생성시기 이전 시기의 고온과 가뭄 발생으로 인해 영양물질 생산 저하와 균근의 활동 부재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고사하는 경우.
  • 그러나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내 금강소나무 고사가 발생하고 있어 명확한 원인 구명 및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금강소나무의 고사 원인 구명을 위해 시계열 항공영상을 이용하여 금강소나무 고사 발생 전수 조사를 실시하고 고사발생 지역에 대한 지형환경 특성을 분석하여, 소나무 고사의 위치적 특성 및 이에 따른 기상 요인과의 연관성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2,600ha 연구 대상지 내에서 약 1,956본의 금강소나무 고사목이 추출되었다.
  •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금강소나무 주요 보호지역을 대상으로 고사 발생 전수조사를 실시하고 고사지역에 대한 지형환경 특성을 분석하여, 소나무 고사의 위치적 특성 및 이에 따른 기상 요인과의 연관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또한 이를 기반으로 소나무 고사 취약지역을 추정하여 향후 소나무림 관리에 활용할 수 있는 정보를 생산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소나무 고사목을 전수 조사하여 고사지역과 생육지역의 지형환경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결과 고온 건조의 스트레스 가능성이 높은 지역에서 집단고사의 현상이 더 밀집하여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 국내의 소나무 고사 현상에 대해 기후변화 및 이상기상 요인과의 연관성을 구명하여 산림관리 대책 마련을 위한 과학적 정보를 생산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금강소나무 주요 보호지역을 대상으로 고사 발생 전수조사를 실시하고 고사지역에 대한 지형환경 특성을 분석하여, 소나무 고사의 위치적 특성 및 이에 따른 기상 요인과의 연관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또한 이를 기반으로 소나무 고사 취약지역을 추정하여 향후 소나무림 관리에 활용할 수 있는 정보를 생산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나무림이 노출된 환경에서도 생육 가능한 이유는? 다양한 역할을 해온 소나무림은 최근 집단적인 고사 현상이 보고되고 있다. 소나무림은 건조에 대한 저항력이 높아 능선부와 암반과 같이 노출된 환경에서도 생육이 가능하다(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2012). 과거 황폐한 산림을 복구하는데 큰 역할을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소나무 고사 피해는 1990년대 후반부터 서울, 무주, 진주 등에서 보고되기 시작했다.
소나무림이 우리나라 입목지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소나무림은 2015년 임상도 기준 우리나라 전국 입목지 면적의 약 26%로, 단일 수종으로는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다. 침엽수와 활엽수가 혼합되어 있는 혼효림 면적(입목지 대비 12%)을 고려하면 소나무의 서식지역은 더욱 넓다고 볼 수 있다.
국내의 소나무 고사현상에 대해 산림관리 대책 마련을 해애하는 이유는? 산림생태계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 수종의 급격한 고사 발생은 산림의 생태적 안정성과 지속가능성을 감소시키는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Miller et al.,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Allen, C. D., A. K. Macalady, H. Chenchouni, D. Bachelet, N. McDowell, M. Vennetier, T. Kitzberger, A. Rigling, D. D. Breshears, and E. H. Hogg, P. Gonzalez, R. Fensham, Z. Zharg, J. Castro, N. Demidova, J. H. Lim, G. Allard, S. W. Running, A. Semerci, and N. Cobb, 2010: A global overview of drought and heat-induced tree mortality reveals emerging climate change risks for forests.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59(4), 660-684. 

  2. Beven, K. J., and M. J. Kirkby, 1979: A physically based, variable contributing area model of basin hydrology. Hydrolological Science Bulletin 24, 43-69. 

  3. Elith, J., S. J. Phillips, T. Hastie, M. Dudik, Y. E. Chee, and C. J. Yates, 2011: A statistical explanation of MaxEnt for ecologists. Diversity and Distributions 17(1), 43-57. 

  4. Fayle, D., 1975: Extension and longitudinal growth during the development of red pine root systems. Canad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5(1), 109-121. 

  5. Fu, P., and P.M. Rich, 1999: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solar analyst: an arc view extension for modeling solar radiation at landscape scales. Proceedings of the Nineteenth Annual ESRI User Conference. 

  6. Jeong, Y. S., J. H. Lim, and K.-H. Ka, 2015: Effect of low temperature for mycelia growth of ectomycorrhizal mushrooms. Proceeding of 2015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Federation of Korean Microbiological Societies, Korea. 

  7. Kang, S. K., J.-H. Lim, and N. H. Cho, 2016: Modelling analysis of climate and s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oil depth effects on pine tree dieback in Korea using BIOME-BGC.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8(4). 

  8. Kim, D. Y., B. K. Ahn, M. P. Kim and S. J. Im, 2014: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alysis of root plate in wind-uprooted tree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3(2), 248-257. 

  9. Kim. E. S., J. S. Lee, J. B. Kim, J. H. Lim, and J. S. Lee, 2016: Conservation and management system of Korean pine?pine forest,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22pp. 

  10. Kim, J. W., and J. S. Um, 2013: Exploring NDVI gradient varying across landform and solar intensity using GWR: A case study of Mt. Geumgang in North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21(4), 73-81. 

  11. Lim, J.-H., 2016: Climate change-induced dieback of evergreen conifers in Korea and options for adaptation. Proceedings of 2016 International Climate Change Adaptation Symposium on Forest Management for Enhancing Resilience to Climate Change, Korea. 

  12.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2009: Causes and future trends of pine tree dieback. 20pp. 

  13.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2012: Economic Species (1) Pine tree. 250pp. 

  14. Philips, S. J., M. Dudik, and R. E. Schapire, 2004: A maximum entropy approach to species distribution modeling. In proceedings of the Twenty-Fir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achine Learning, 655-66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