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육군 구성원의 기록관리 인식에 대한 연구: 신제도주의적 관점으로
A Study on the Awareness of Records Management by the Republic of Korea Army Personnel: From a Viewpoint of New Institutionalism 원문보기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v.21 no.1, 2021년, pp.97 - 116  

이지은 (연세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기록관리학전공) ,  김기영 (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군 기록관리는 꾸준한 양적성장에도 불구하고 아직 조직문화로 정착되지 못한 상태이다. 이는 조직에 기록관리제도 정착의 주요 한계점으로 지목되고 있다. 규율을 중시하는 조직 특성을 고려해 보았을 때, 구성원의 기록관리 인식의 원인을 제도적 맥락을 중심으로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구성원의 기록관리 행위를 제약하고 있는 관련 제도를 비교·분석한 후,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이후 역사적 제도주의 관점과 해석현상학적 분석기법(IPA)을 적용하여 제도의 내용, 권력관계, 조직특성, 구성원 인식을 주요 요인으로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육군 구성원들은 업무수행절차를 규정하는 여러 제도 간의 비일관성으로 혼선을 느끼고 있으며 제도 및 조직에서 추구하는 책임성과 효율성의 가치가 조직목표와 제대로 연계되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제도의 법적 정당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제도개선의 필요가 있으며, 책임성과 효율성을 조직목표와 올바르게 연계하여 교육을 통해 구성원에게 내재화해야 함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기록관리 인식개선 및 제도정착을 위한 실마리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level of members' awareness of records management in the Republic of Korea Army within the institutional context extensively. Accordingl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fter comparing and analyzing the institutional systems that restricted the members' record man...

주제어

표/그림 (7)

참고문헌 (19)

  1. Choi, Yoon-tae (2012). Development plan for record management in the ROK Army. master's thesis, Division of Archive Management, Graduate school of Hanyang University. 

  2. Jeong, Ki-ae & Kim, Youseung (2009). A Study of Improvement for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Based on KS X ISO 15489.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6(1), 231-257. https://doi.org/10.3743/KOSIM.2009.26.1.231 

  3. Kim, Chuljin (2013). Problems of the Army (Military Division Levels and Below) Administrative Simplified Implementation and its Improvement Plan.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Korea University. 

  4. Kim, Taekyoun & Kim, Giyeong (2017). Factors Influencing Awareness of Records Management on the Republic of Korea Army: Records Management Systems and Organizational Culture.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51(51), 209-233. https://doi.org/10.20923/kjas.2017.51.209 

  5. Lee, Hyosang (2004). A System-Based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the Army Records Management System. Seoul: RIKAR. 

  6. Lee, Kyu-chul (2016). Understanding of administrative information system data sets and considerations for record management. 기록인, 37, 56-61. 

  7. Nam, Giewoong (2012). A Study on Improvement of Army Records Management System.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Records, Archives & Information Scoence, Myungji University. 

  8. Oh, Seh-La, Park, Seunghoon, & Yim, Jin-Hee (2018). A Case Study of Dataset Records i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8(2), 109-133. http://doi.org/10.14404/JKSARM.2018.18.2.109 

  9. On, Mangeum (2011). Military response and trust after the ROK Cheonan sinking. University of Defense Research Institute's Special Symposium. 

  10. Park, Mi young (2019). A Study on Capture of Datasets for Administrative Information as Records.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archival science,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11. Seol, Moon-won (2016) Strategies for promoting the evaluation and utilization of records management standards. 기록인, 36, 62-67. 

  12. Seol, Moon-won (2019). Where comes from trust?: Looking back on the 20 years of the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Journal of the 2019 Record Day Conference. 

  13. Hall, Peter A. & Rosemary C. R. Taylor (1996). Political science and the three new institutionalisms. MPIFG Discussion Paper, 96(6), 1-32. https://doi.org/10.1111/j.1467-9248.1996.tb00343.x 

  14. Hammersly, M. (1990). The Dilemma of Qualitative Method. London, UK: Routledge. 

  15. Ikenberry, G. John (1988). Conclusion: An institutional approach to american foreign economic policy. International Organization, 42(1), 219-243. https://doi.org/10.1017/s0020818300007189 

  16. Korpi, Walter (2001). Contentious institutions: An augmented rational-action analysis of the origins and path dependency of welfare state institutions in western countries. Rationality and Society, 13(2), 235-283. https://doi.org/10.1177/104346301013002005 

  17. Kranser, Stephen D. (1984). Approaches to the state: Alternative conceptions and historical dynamics. Comparative Politics, 16(2), 223-246. https://doi.org/10.2307/421608 

  18. March, James G. & Johan P. Olsen. (1984). The new institutionalism: Organizational factors in political life.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78(3), 734-749. https://doi.org/10.2307/1961840 

  19. Powell, Walter W. (1991). The New Institutionalism in Organizational Analysis.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