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기관 '비공개 세부 기준' 개발 전략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of "Detailed Nondisclosure Standards" for Public Institutions 원문보기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v.21 no.1, 2021년, pp.117 - 139  

황진현 (한국외국어대학교 정보기록학과) ,  임지민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  변우영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  임진희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초록

비공개 세부 기준은 기관에서 비공개해야 하는 대상 정보와 그에 대한 근거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보공개법에 따라 업무성격을 고려하여 수립 및 공개하여야 하며, 지속적인 현행화가 요구된다. 실무적으로 반드시 필요한 도구이자 국민의 알권리를 보호하는 주요 장치임에도 불구하고 '비공개 세부 기준'의 취지와 역할을 돌아보거나 공공기관의 개발, 운영 현황을 살펴 본 연구는 부족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공개 세부 기준을 개발하기 위한 발주기관과 연구사업 수행팀의 전략을 A기관 사례를 통해 소개하고자 한다. 특히 두 기관 간의 의사소통 및 사업 과정 중의 세부사항을 공유함으로서 향후 비공개 세부 기준을 개발 하려는 공공기관에 실무적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etailed Nondisclosure Standards" of an institution include subject information and rationale that should not be disclosed by the institution.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Disclosure Act, such standards must be established in consideration of the nature of work, and continuous implementation is req...

주제어

표/그림 (6)

참고문헌 (18)

  1. Ahn, Jihyun (2006). A Study on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Non-disclosure Records.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13, 135-178. DOI: 10.20923/kjas.2006.13.135 

  2. Choi, Jeongmin & Kim, Youseung (2013).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of Information Freedom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3(3), 173-197. DOI: 10.14404/JKSARM.2013.13.3.173 

  3. Hong, Ilpyo (2009). 'Dual Transformation' of Freedom of Information Movements and Civic Participation.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22, 37-76. DOI: 10.20923/kjas.2009.22.037 

  4. Jeon, Seulbi (2016).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in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6(1), 61-88. DOI: 10.14404/JKSARM.2016.16.1.061 

  5. Kang, Hyunho (2015). Current trends of the supreme court decisions regarding disclosure of administrative informations of public institutions. SungKyunKwan Law Review, 27(1), 91-133. DOI: 10.17008/skklr.2015.27.1.004 

  6. Kim, Hwakyung (2007). A Case Study of a Acquisition & Appraisal Policy of Business Archives: With a focus on Meritz.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15, 219-262. 

  7. Lee, Boram & Lee, Younghak (2013). A Study on Institutional Reliability of Open Record Information in the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35, 41-91. DOI: 10.20923/kjas.2013.35.041 

  8. Lee, Ilse (2015). A Case Study on the Official Information Disclosure: focused on the reasons of non-disclosure. kangwon Law Review, 45, 145-210. DOI: 10.18215/kwlr.2015.45..145 

  9. Lee, Miyoung (2007).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records management criteria.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15, 185-218. DOI: 10.20923/kjas.2007.15.185 

  10. Lee, Sejin & Kim, Hwakyung (2016). A Case Study on Improvement of Records Management Reference Table by Reorganizing BRM: The case of Reorganization of Seoul's BRM and Records Management Reference Table.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50, 273-309. DOI: 10.20923/kjas.2016.50.273 

  11. Lim, Hee-Youn (2016). Improvement of access re-review in archives: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Cases.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49, 277-297. DOI: 10.20923/kjas.2016.49.277 

  12.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2019). Information disclosure work manual. Seoul: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13.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20). Information disclosure work manual. Seoul: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14. Zoh, Youngsam (2009). The Promotion State and Measures to Improve the Record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22, 77-114. 

  15.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2020). Reasons for amendment of clause of Official Information Disclosure Act. 

  16. OFFICIAL INFORMATION DISCLOSURE ACT. 

  17.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2020). Plan for evaluating the status of information disclosure by public institutions. 

  18.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20). Plan for evaluating the status of information disclosure by affiliated organiz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