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OAIS 참조모형 기반 민중가요 메타데이터 설계에 관한 연구
Study on Design of Protest Song Metadata based on OAIS Reference Model 원문보기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v.21 no.1, 2021년, pp.211 - 230  

강민정 (전남대학교 대학원협동과정 기록관리학과 전공) ,  장우권 (전남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민중가요가 장기·영구적으로 보존되고 이용될 수 있도록 OAIS 참조모형에 기반한 민중가요 메타데이터 설계를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과 관련 기술표준 등을 조사하여 민중가요의 일반적 성격을 파악하고 민중가요 창작자와 연구자의 의견을 받아 기록물의 유형, 기록물의 장기보존 방법 및 표준, OAIS 참조모형과 각 패키지에 구성되는 메타데이터 요소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1) 민중가요는 사회적 변혁을 위한 목적으로 창작되었고 비상업적 특성으로 상업성을 목적으로 하는 대중가요와의 차이점을 지니는 문화유산이다. 2) 민중가요 기록물의 유형을 확인하고 그 기록물의 유형에 부합하는 장기보 존체계는 OAIS 참조모형을 토대로 하였다. 3) 민중가요 기록물의 특성과 맥락성, 원질서를 존중하는 방안으로 메타데이터를 편집하여 OAIS 참조모형을 적용하였다. 4) 민중가요 기록물에 부합하는 정보패키지 메타데이터 요소를 도출하고, 이 요소들을 한국의 대표적인 민중가요인 '임을 위한 행진곡'에 적용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design folk song metadata based on the OAIS reference model for the folk songs' preservation and permanent use. Thus, the folk songs'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by researching literature and related technical standards. The type of records, the methods and standards...

주제어

표/그림 (20)

참고문헌 (20)

  1. Baek, Ja (2020). Internet Blog. [인용 2020.11.25]. 

  2. Choi, Yujun (2013). Locating the People in the Music of the Post-Gramophone Era . Music and Korera, 46, 23-48. 

  3. Democratic Movement Memorial Association (2007). Singing is Far Away. Seoul: Democratic Movement Memorial Association. 

  4. History Research Institute (2013). Retelling the people. Seoul: History Critic. 

  5. Im, Jinhee (2018).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Theory. Seoul: Sun Inn. 

  6. Jeon, Jinseung (2005). History Speaks of Memory. Seoul: Humanity. 

  7. Jung, Changryul (1989). A Popular Consciousness in Korean History. Seoul: Dure. 

  8. Jung, Kyoungeun (2008). Korean Modern Folk song Lyrics. Seoul: lyric poetry. 

  9. Jung, Yooha (2017). But We Still Sing. Paju: Hanwool. 

  10. Kang, Raehyung (2019). Korean folk songs of the 1970s and 1980s lyrics and music analysi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Music, Graduate School of Postmodern at Kyunghee University. 

  11. Kim, Byungsoon (2013). Development and Popular Appeal of Korean Min-joong Ga-yo, Unpublished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Art Culture and Visual Media Cooperative Course of the Graduate School, Busan National University. 

  12. Kim, Changnam (2007). 'Minjung-Gayo' in the Context of Korean Popular Music History. Institute of Korean Cultural Studies Yeungnam University, 35, 55-81. 

  13. Kim, Dongwan & Lee, Seungmin (2020). Construction of Information packages Based on OAIS Reference Model for Archival Records of Committee of Past Affairs. Proceedings of the 27th Conferenc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020, 73-76. 

  14. Kim, Yijin (2019). An Analysis of the NoChatSa's Album ≪People Searching for Music 1≫. Unpublished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Practical Music, Graduate School of Kyunghee University. 

  15. Lee, Eunjin (2011). Song of Life Song of Hope - March for Sir. The Hankuk Nochong News, 476, 42-43. 

  16. Lee, Namhee (2017). Making the People. Translated by Yuri and Lee, Gyunghee. Seoul: Humanitas. 

  17. National Archives of Korea (2006). OAIS Information Model and Record AIP. Seoul: National Archives of Korea. 

  18. Nho, Younhhee (2014). Metadata Theory and Practice. Seoul: Joeun Gulteo. 

  19. Oh, Sanghoon & Choi, Youngsun (2009). A study on Designing Metadata Structure and Element on Web Archiving based on the ISO 14721 OAIS Reference Model.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formation Processing, 16(5), 651-660. DOI: 10.3745/KIPSTD.2009.16D.5.651. 

  20. CCSDS (2012). Reference Model for an Open Archival Information System (OAIS). [인용 2020. 9.2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