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화 콘텐츠 큐레이션과 메타데이터 표준 연구의 동향 분석 -예술경영 관점으로-
Trend Analysis of Movie Content Curation and Metadata Standards Research - Focus on the Art Management Perspective -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6, 2020년, pp.163 - 171  

배승주 (경성대학교 디지털미디어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 영화 콘텐츠 큐레이션 연구에 나타난 메타데이터 연구들을 찾아서 연도별로 내용과 변화를 예술 경영의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이다. 큐레이션과 추천시스템은 모두 그 바탕에 메타데이터의 기능이 작동하고 있다.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콘텐츠에서 큐레이션과 추천시스템이 어떻게 다른가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절차와 방법은 '영화'와 '메타데이터'를 키워드로 논문을 검색하고, 이를 연도별 연구경향, 연구내용의 목적, 용도별 분석, 추천 방식의 유형에 따른 변화의 4단계로 분석하는 과정을 거쳤다. 연구 결과는 영화 메타데이터 연구는 이용자 측면의 연구에 관심이 높고, 도입단계, 추천방식 진화단계, 공유와 참여 단계로 발전하고 있으며, 영화 큐레이션은 검색지원, 콘텐츠 기반, 협력필터링, 하이브리드, 인공지능, 큐레이션의 6단계로 진화하였다는 결론을 얻은 것이다. 이 연구는 장르별 예술경영을 위한 메타데이터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s and changes by year of metadata research that appeared in the study of domestic movie curation from the viewpoint of art management. The research method used thesis search site to search 'movie' and 'metadata' as keywords, and analyzed them in 4 stages of change acco...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영화 메타데이터 연구의 목적은 메타데이터의 도입과 표준개발의 2단계로 구분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콘텐츠 수집과 공유의 생산자 측면과 개방에 따른 참여확대의 이용자 측면에서 보았다. 그리고 메타데이터의 용도에 따라 기술용, 관리용, 구조용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추천유형의 동향을 비교하였다.
  • 본 연구는 디지털 콘텐츠 큐레이션의 알고리즘과 메타데이터를 설계하는데 있어 정보활용의 특성에 기반한 기준을 제시함으로서 콘텐츠 소비의 다양성 증진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디지털 콘텐츠에 적용된 메타데이터를 공연, 전시와 같은 예술분야 현업 큐레이션에 적용하여 자원의 효율적 사용과 가치증진에도 기여할 것이다.
  • 본 연구는 예술경영의 시각에서 영화 콘텐츠 큐레이션의 기반이 되는 메타데이터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1995년 이래 25년간 영화 메타데이터 연구는 도입과 표준개발이 목적이었다.
  • 대중영화 연구는 영화학과 인문학의 융합을 시도하는 의미가 있다[2]. 본 연구는 예술경영이 추구하는 효율의 도구로써 영화 콘텐츠 큐레이션에 주목한 것이다. 영화 콘텐츠의 큐레이션 연구는 메타데이터 분석으로 진행하였다.
  • 손지은 등(2015)은 ‘추천시스템 기법 연구 동향 분석’에서 추천시스템의 유형과 확장의 방향을 보여준다[4]. 이 연구는 콘텐츠 기반, 협력필터링,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기초로 하고, 연관성 분석, 시간적 역동성 고려, 다양성을 위한 연구를 추가하였다. 인공지능의 도입은 언급되지 않았다.

가설 설정

  • 그리고 메타데이터의 기능 요건은 ‘1) 특정 정보자원에 대한 정보를 기술하고 표현해야 한다. 2) 모든 유형의 정보자원을 다룰 수 있어야 한다. 3) 기계가 이해할 수 있는 처리할 수 있는 구조화된 정보이어야 한다.
  • 연도별 분석을 보면 메타데이터 연구에 대한 관심은 높지 않지만 정보기술 분야에서 데이터 정보화 분야 연구로 전파되면서 정보통신 휴먼컴퓨터 등 다양한 분야에서 꾸준히 공동연구가 있었다. 둘째, 영화 큐레이션 연구는 공유와 참여를 지향한다. 이러한 단계는 생산자 측면의 수집과 공유, 이용자 측면의 개방과 참여의 지향이 공유와 참여임을 확인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메타데이터 추천방식의 유형은 무엇인가? 이는 메타데이터 도입단계와 추천방법 진화단계, 그리고 공유와 참여 구축 단계로 요약되었다. 이는 추천방식의 유형을 보면 Table 1과 같이 검색지원에서부터 콘텐츠 기반 추천, 협력필터링, 하이브리드, 인공지능, 큐레이션의 6단계가 설정된다.
큐레이션(Curation)이란 무엇인가? 디지털 시대에서 예술경영의 큐레이션(Curation)은 전문성을 적용하여 예술분야의 디지털콘텐츠를 분류하고 편집하여 유통으로 확대하는 활동이다. 경험재의 특성을 가진 예술은 예술분야의 정보 이용자에게 정보활용능력에 더하여 예술분야의 경험을 요구한다.
영화 큐레이션의 진화단계는 무엇인가? 연구절차와 방법은 '영화'와 '메타데이터'를 키워드로 논문을 검색하고, 이를 연도별 연구경향, 연구내용의 목적, 용도별 분석, 추천 방식의 유형에 따른 변화의 4단계로 분석하는 과정을 거쳤다. 연구 결과는 영화 메타데이터 연구는 이용자 측면의 연구에 관심이 높고, 도입단계, 추천방식 진화단계, 공유와 참여 단계로 발전하고 있으며, 영화 큐레이션은 검색지원, 콘텐츠 기반, 협력필터링, 하이브리드, 인공지능, 큐레이션의 6단계로 진화하였다는 결론을 얻은 것이다. 이 연구는 장르별 예술경영을 위한 메타데이터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J. E. Tae, K. H. Jung & H. J. Song. (2016). A study of Convergence Relationship between Post-Modern aspects and storytelling from Imaging Content Productio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7(6), 177-184. 

  2. G. J. Moon. (2018). The Scenery of the Urban Residence Represented in Korean Films of the Liberation Period.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4), 119-125. 

  3. S. H. Lee. (2019). A Longitudinal Study on the Supply & Demand-side Diversity of Digital Media : TV Channel & VOD Data of 2012-2017.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0(8), 137-144. 

  4. J. E. Son, S. B. Kim, H. J. Kim & S. Z. Cho. (2015). Review and Analysis of Recommender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ngineers, 41(2), 185-208. 

  5. N. Beagrie. (2008). Digital curation for science, digital libraries, and individuals. International Journal of Digital Curation, 1(1), 3-16. 

  6. L. Madden. (2007). Digital curation at the Library of Congress: Lessons learned from American Memory and the archive ingest and handling test. DigCCurr2007, April 18-20, 2007, Chapel Hill, NC. 

  7. E. Yakel. (2007). Digital curation. OCLC Systems & Services: International digital library perspectives. 

  8. D. Kasch. (2013). Social media selves: College students' curation of self and others through Facebook (Doctoral dissertation, UCLA). 

  9. S. S. Lee & I. S. Song. (2005). A Study on Metadata of Technology Trends Information Based on NewsM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9(3), 183-205. 

  10. S. R. Yoo. (2010). A Diagnostic Analysis of Metadata R&D Statu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4(2), 405-426. 

  11. B. J. Jeon. (2011). A Study on the Applying Metadata Standards in Cadastral Information for increasing its Utilization. Journal of the Korean Cadastre Information Association, 13(1), 81-92. 

  12. M. H. Lee, W. G. Lee, H. M. Yoon, S. H. Shin & J. C. Ryou. (2011). Comparison and Analysis of Science and Technology. Journal Metadata.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1(9), 515-523. 

  13. T. W. Nam & S. M. Lee. (2010). Study on the Semantic Extension of the Concept of Metadat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4(4), 373-393. 

  14. Priscilla Caplan. (2003). Metadata Fundamentals for All Librarians. Chicago :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15. Y. Kim & S. B. Moon. (2006). A Study on Hybrid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Usage Frequency for Multimedia Cont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3(3), 91-125. 

  16. S. H. Ann & C. K. Shi. (2008). Movie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Cultural Metadata. Korea Information Science Society Journal, 35(1A), 78-79. 

  17. J. H. Park & Y. H. Cho. (2011). Social Network Analysis for the Effective Adoption of Recommender Systems.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17(4), 305-316. 

  18. H. G. Choi & E. J. Hwang. (2012). Emotion-based Music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Twitter Document Analysis. Journal of KIISE : Computing Practies and Letters, 18(11), 732-767. 

  19. M. D. Hong, K. J. Oh, M. H. Ga & G. S. Jo. (2013). Content based Recommendation Based on Social Network for Personalized News Services.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19(3), 57-71. 

  20. J. Y. Kim & S. W. Lee. (2013). The Ontology Based, The Movie Contents Recommendation Scheme, Using Relations of Movie Metadata.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19(3), 25-44. 

  21. M. J. Kim & Y. H. Cho. (2015). A Multimodal Profile Ensemble Approach to Development of Recommender System Using Big Data.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21(4), 93-110. 

  22. S. I. Choi, Y. J. Hyun & N. G. Kim. (2015). Improving Performance of Recommendation Systems Using Topic Modeling.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21(3), 101-116. 

  23. H. L. Jin, H. S. Kim, K. J. Chung & Y. A. Kang. (2019). A Proposal to improve movie curation service through categorizing WATCHA users. Journal of The HCI Society of Korea, 2, 587-591. 

  24. W. S. Koo, B. W. Oh & K. J. Han. (1995). A Study on a VOD System based on UNIX Server and PC Clients.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s, 22(2A), 213-216. 

  25. S. W. Yang, B. N. R. Bae & Y. M. Ro. (2003). Study of Mobile Environment - Based Video Selection and Summary Service System.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s, 30(2 II), 460-462. 

  26. M. H. Kim, J. H. Nam & J. W. Hong. (2006). Lossless Video Watermarking for effective digital content management with UCI.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s, 33(2C), 544-547. 

  27. S. A. Mok, C. H. Kim & J. K. Paik. (2008). Media Production Environment Using Metadata based on Advanced Authoring Format.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13(2), 274-282. 

  28. S. K. Ko, S. M. Choi & Y. S. Han. (2010). Movie Recommendation Technique based on Periodical Genre Correlations. Proceedings of Korea Multimedia Society, 109-111. 

  29. Y. H. Lim, C. H. Kim & J. K. Paik. (2011). Efficient Film Post Production Process using Metadata on the eXtensible Markup Language.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16(3), 439-447. 

  30. J. S. Lee, S. J. Jang & S. P. Lee. (2011).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ontent information enrichment service in the IPTV environment.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 Engineers, 424-427. 

  31. B. H. Kim & B. T. Zhang. (2014). Movie Recommendation Using Co-Clustering by Infinite Relational Model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24(4), 443-449. 

  32. Y. Jin, J. S. Kim & J. W. Kim. (2014). Product Community Analysis Using Opinion Mining and Network Analysis - Movie Performance Prediction Case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20(1), 49-65. 

  33. H. B. Bang, H. W. Lee & J. H. Lee. (2015). A Content-based TV Program Recommendation System Using Age and Plots.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23(1), 51-54. 

  34. S. U. Kang, S. H. Park & G. G. Lim. (2016). The Improved UCI Identifier Syntax for Convergence Digital Contents.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53(9), 82-88. 

  35. J. W. Ok, H. J. Kim, D. H. Cho, H. S. Ju, H. C. Lee, Theresia Saputri & S. W. Lee. (2017). Predicting The Number of Audience and Breakeven Point Attainment based on Movie Metadata.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s, 1932-1934. 

  36. D. H. Cho, H. J. Kim, J. W. Ok, H. S. Ju, S. W. Lee. & Y. J. Choi. (2018). Web Service Implementation for Predicting the Number of Audience and BEP of Movie Based on Metadata. Proceedings of Symposium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920-92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