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원 함 금-은 열수 맥상광상의 생성환경
Genetic Environments of Dongwon Au-Ag-bearing Hydrothermal Vein Deposit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54 no.6, 2021년, pp.753 - 765  

이선진 (충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최상훈 (충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동원광상은 옥천대 북서부 태백산분지 내에 분포하는 조선누층군변성암류, 퇴적암류 또는 화성암류 내에 발달된 열극을 충진하여 생성된 함 금-은 열수맥상 광상으로, 괴상 및 각력상 조직과 함께 정동의 발달 등 복합적인 조직적 특성을 보여준다. 동원광상의 맥상 광화작용은 지구조적 운동(tectonic break)에 의하여 광화 1시기(stage I)와 광화 2시기(stage II)로 구분된다. 광화 1시기는 석영맥의 생성과 함께 주된 함 금·은 광물인 에렉트럼(electrum)과 함께 황화광물, 산화광물 및 황염광물 등이 산출한 시기로서, 공생관계와 광물 조합 특성 등에 의하여 세 단계의 광화시기(초기, 중기, 후기)로 구분된다. 광화 1시기의 초기에는 주로 황철석, 자철석, 자류철석, 유비철석 등이 산출되었다. 중기에는 주된 금-은 광화작용이 진행되어 에렉트럼과 함께 섬아연석, 황동석, 방연석 등의 황화광물과 함 은 광물 및 황염광물 등이 산출되었다. 후기에는 황철석, 섬아연석, 방연석 등과 함께 함 은·안티몬 광물 등이 산출되었다. 광화 2시기는 주 광화작용 이후의 금속 광화작용이 이루어지지 않은 방해석과 백운석맥의 생성시기이다. 동원광상 광화작용은 초기 고온(≥430℃)의 열수유체 유입으로 시작되어 냉각과 비등작용 및 상대적으로 천부를 순환한 열수유체 또는 천수의 혼입 등에 의하여 ≥430℃~≤230℃의 온도조건에서 6.0 to 0.4 wt. percent NaCl 상당 염농도를 갖는 유체에서 진행되었다. 동원광상의 광물 공생관계 변화는 이러한 열수계의 진화에 의한 온도와 황 분압 조건의 감소 등의 환경변화가 반영된 결과이다. 동원광상은 한국형 금·은 광상 및 금-은 혼합형 광상에 해당하는 중/천열수 광상에 대비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ongwon Au-Ag deposit is located within the Paleozoic Taebaeksan province, Okcheon belt. Mineral paragenesis can be divided into two stages (stage I, ore-bearing quartz veins; stage II, barren carbonate veins) by major tectonic fracturing. Stage I, at which the precipitation of major ore mineral...

주제어

참고문헌 (22)

  1. 대한지질학회 (1999) 한국의 지질. 시그마프레스. 802p. 

  2. 박희인, 박영록 (1990) 동원광산의 금-은 광화작용. 광산지질, v.23, p.183-199. 

  3. 손치무, 정창희 (1965) 태백산지구의 퇴적환경과 지질구조. 서울대학교 논문집 이공계, v.15, p.1-27. 

  4. 최상훈 (2000) 국내 금.은광상 성인별 모델링연구. 대한광업진흥공사, 광진 2000-2, 119p. 

  5. 최선규 (1993) 한국 중부 지역 금-은 광상산 섬아연석의 조성변화와 성인적 특성. 광산지질, v.26, p.135-144. 

  6. 최선규, 박노영, 홍세선 (1988a) 충청도 일원의 금-은 광상에 대한 광물학적 연구. 광산지질, v.21, p.223-234. 

  7. 최선규, 박맹언, 최상훈 (1994) 한국 동남부 지역 금-은 광상 산에랙트럼의 화학조성. 자원환경지질, v.27, p.325-333. 

  8. 최선규, 위수민 (1992) 에랙트럼의 화학조성과 관련된 한국 중부 금-은 광상의 성인적 특성. 지질학회지, v.28, p.196-219. 

  9. 최선규, 지세정, 박성원 (1988b) 충청북도 영동지역 금-은 광상의 광화작용에 관한 연구. 광산지질, v.21, p.367-380. 

  10. 최선규, 최상훈 (1995) 한국중부와 동남부지역 금.은 광화작용의 성인적 특성. 자원환경지질, v.28, p.587-597. 

  11. 한국광물자원공사 (2020) 호명지구(금.은) 정밀조사 보고서(호명 111, 호명 112호), 106p. 

  12.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 (1962a) 예미도폭 (1:50,000). 

  13.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 (1962b) 임계도폭 (1:50,000). 

  14.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 (1962c) 정선도폭 (1:50,000). 

  15.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 (1962d) 호명도폭 (1:50,000). 

  16. Barton, P.B., Jr. and Toulmin, P., III. (1964) The electrum-tarnish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fugacity of sulfur in laboratory sulfide system. Geochim. Cosmochim. Acta, v.28, p.619-640. doi: 10.1016/0016-7037(64)90082-1 

  17. Craig, J.R. and Barton, P.B. Jr. (1973) Thermochemical approximations for sulfosalts. Econ. Geol. v.68, p.493-506. doi: 10.2113/gsecongeo.68.4.493 

  18. Haynes, F.M. (1985) Determination of fluid inclusion compositions by sequential freezing. Econ. Geol., v.80, p.1436-1439. doi: 10.2113/gsecongeo.80.5.1436 

  19. Kretschmar, U. and Scott, S.D. (1976) Phase relations involving arsenopyrite in the system Fe-As-S and their application. Can. Miner., v.14, p.364-386. 

  20. Potter, R.W. III, Clunne, M.A. and Brown, D.L. (1978) Freezing point depression aqueous sodium sodium chloride solutions. Econ. Geol., v.73, p.284-285. doi: 10.2113/gsecongeo.73.2.284 

  21. Scott, S.D. and Barnes, H.L. (1971) Sphalerite geothermometry and geobarometry. Econ. Geol., v.66, p.653-669. doi: 10.2113/gsecongeo.66.4.653 

  22. Shelton, K.L., So, C.S. and Chang, J.S. (1988) Gold-rich mesothermal vein deposits of the republic of Korea: Geochemical studies of the Jungwon gold area. Econ. Geol., v.83, p.1221-1237. doi: 10.2113/gsecongeo.83.6.122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