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꾸지뽕 신초 엽위별 잎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
Leaves of Cudrania tricuspidata on the Shoot Positional Sequence Show Different Inhibition of Adipogenesis Activity in 3T3-L1 Cell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31 no.2, 2021년, pp.209 - 218  

박주하 (부산대학교 원예생명과학과) ,  궈루 (부산대학교 원예생명과학과) ,  강혜미 (부산대학교 원예생명과학과) ,  손병구 (부산대학교 원예생명과학과) ,  강점순 (부산대학교 원예생명과학과) ,  이용재 (부산대학교 원예생명과학과) ,  박영훈 (부산대학교 원예생명과학과) ,  제병일 (부산대학교 원예생명과학과) ,  최영환 (부산대학교 원예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꾸지뽕 신초에 부착된 잎을 6단계 즉 정아의 잎(L0), 정아부에서 하부의 순서대로 L1, L2, L3, L4 및 기부의 잎을 L5로 분류하여 채취하였다. 신초의 위치에 따라서 분류한 잎을 70% 에틸알콜로 추출한 다음 3T3-L1 cell line을 이용하여 지방분화 억제 효과를 스크린하고, 가장 효과가 좋았던 꾸지뽕 신초 정단잎(CTL0) 추출물의 작용기작을 규명하였다. 꾸지뽕 신초 정단잎(CTL0) 추출물의 지방분화 억제효과가 가장 좋았으며, 신초의 중간 잎인 CTL2까지는 정단 잎에서부터 중간 잎 추출물일수록 효과가 감소하였으며, 신초의 중간 하부 잎인 CTL3부터 기부 잎인 CTL5 추출물은 100 ㎍/ml의 고농도에서 효과가 없었다. 꾸지뽕 신초 정단잎(CTL0) 추출물을 12.5, 25 및 50 ㎍/ml의 농도로 처리하여 Oil Red O를 분석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3T3-L1세포의 지방분화를 억제시켰다. 3T3-L1 세포에 지방분화물질인 insulin, dexamethasone 및 rosiglitazone을 첨가한 분화배지(DM)에서는 배지내에 glucose의 함량이 낮았으나, CTL0 추출물의 처리는 배지에 glucose함량이 많이 남아있었기 때문에 세포내로 glucose의 흡수를 억제시켰으며, 세포내 중성지방의 함량도 감소하였다. CTL0처리는 전구지방세포에서 지방세포로 분화될 때에 주요 전사인자로 알려진 PPARγ와 PPARγ의 target 유전자인 LPL, A-FABP 및 Glut4 단백질의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따라서 꾸지뽕 신초 정단잎(CTL0) 추출물은 항비만 효과가 우수한 소재로서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anti-obesity effects of Cudrania tricuspidata leaf extract in the order of leaf development on the shoot (L0, L1, L2, L3, L4, and L5). The leaves at the apex of a Cudrania tricuspidata shoot were classified as L0; the next leaves of the apex were classified as L1, L2...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꾸지뽕 신초에 부착된 잎을정단에서 기부까지 순차적으로 6등분으로 분류한(L0, L1, L2, L3, L4, L5) 다음 70% 에틸알콜 추출물에 대하여 항비만 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꾸지뽕 신초 정단잎(CTL0) 추출물이 가장 효과가 좋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CTL0가 지방세포의 분화 억제기작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게 되었다.
  • 기존의 연구 결과에서는 꾸지뽕의 뿌리, 잎 및 줄기 등 의식물체 기관별 주요 성분, 다양한 약리작용 및 활용방법 등에 대한 연구들이 보고되었으나, 신초에 부착되어 있는 잎의 위치가 비만억제에 관련되어 있다는 연구는 현재지까지 보고된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꾸지뽕 신초에 부착된 잎을정단에서 기부까지 순차적으로 6등분으로 분류한(L0, L1, L2, L3, L4, L5) 다음 70% 에틸알콜 추출물에 대하여 항비만 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꾸지뽕 신초 정단잎(CTL0) 추출물이 가장 효과가 좋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CTL0가 지방세포의 분화 억제기작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게 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An, R. B., Sohn, D. H. and Kim, Y. C. 2006. Hepatoprotective compounds of the roots of Cudrania tricuspidata on tacrine-induced cytotoxicity in Hep G2 cells. Biol. Pharm. Bull. 29, 838-840. 

  2. Auwerx, J., Leroy, P. and Schoonjans, K. 1992. Lipoprotein lipase: recent contributions from molecular biology. Crit. Rev. Clin. Lab. Sci. 29, 243-268. 

  3. Baik, I. 2018. Forecasting obesity prevalence in Korean adults for the years 2020 and 2030 by the analysis of contributing factors. Nutr. Res. Pract. 12, 251-257. 

  4. Choi, J. H., Park, Y. H., Lee, I. S., Lee, S. P. and Yu, M. H. 2013. Antioxidant activity and inhibitory effect of Aster scaber Thunb. extract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in 3T3-L1 cells. Kor. J. Food Sci. Technol. 45, 356-363. 

  5. Chung, M. J., Lee, Y. S., Kim, B. C., Lee, S. B., Moon, T. H., Lee, S. J. and Park, K. H. 2006. The hypoglycemic effects of acarviosine-glucose modulate hepatic and intestinal glucose transporters in vivo. Food Sci. Biotechnol. 15, 851-855. 

  6. Enkhmaa, B., Shiwaku, K., Katsube, T., Kitajima, K., Anuurad, E., Yamasaki, M. and Yamane, Y. 2005. Mulberry (Morus alba L.) leaves and their major flavonol quercetin 3-(6-malonylglucoside) attenuate atherosclerotic lesion development in LDL receptor-deficient mice. J. Nutr. 135, 729-734. 

  7. Fox, K. E., Fankell, D. M., Erickson, P. F., Majka, S. M., Crossno, J. T. and Klemm, D. J. 2006. Depletion of cAMP-response element-binding protein/ATF1 inhibits adipogenic conversion of 3T3-L1 cells ectopically expressing CCAAT/enhancer-binding protein (C/EBP)α, C/EBPβ, or PPARγ2. J. Biol. Chem. 281, 40341-40353. 

  8. Fujimoto, T. and Nomura, T. 1985. Components of root bark of Cudrania tricuspidata; 3.1,2. Isolation and structure studies on the flavonoids. Planta Med. 51, 190-193. 

  9. Goldberg, I. J. and Merkel, M. 2001. Lipoprotein lipase: physiology,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ology. Front. Biosci. 6, 388-405. 

  10. Gregoire, F. M., Smas, C. M. and Sul, H. S. 1998. Understanding adipocyte differentiation. Physiol. Rev. 78, 783-809. 

  11. Guo, L., Kang, J. S., Kang, N. J., Je, B. I., Lee, Y. J., Park, Y. H. and Choi, Y. W. 2020. Pelargonidin suppresses adipogenesis in 3T3-L1 cells through inhibition of PPAR-γ signaling pathway. Arch. Biochem. Biophys. 686, 108365. 

  12. Guo, L., Li, K., Kang, J. S., Kang, N. J., Son, B. G. and Choi, Y. W. 2020. Strawberry fermentation with Cordyceps militaris has anti-adipogenesis activity. Food Biosci. 35, 100576. 

  13. Han, X. H., Hong, S. S., Jin, Q., Li, D., Kim, H. K., Lee, J., Kwon, S. H., Lee, D., Lee, C. K., Lee, M. K. and Hwang, B. Y. 2009. Prenylated and benzylated flavonoids from the fruits of Cudrania tricuspidata. J. Nat. Prod. 72, 164-167. 

  14. Heimburger, D. C., Lucas, C. P., Robbins, D. C., Chung, J. and Heymsfield, S. B. 1999. Weight control and risk factor reduction in obese subjects treated for 2 years with orlistat: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 Am. Med. Assoc. 281, 235-242. 

  15. Hirsch, J. and Batchelor, B. 1976. Adipose tissue cellularity in human obesity. Clin. Endocrinol. Metab. 5, 299-311. 

  16. Jeong, G. S., Lee, D. S. and Kim, Y. C. 2009. Cudratricusxanthone A from Cudrania tricuspidata suppresses pro-inflammatory mediators through expression of anti-inflammatory heme oxygenase-1 in RAW264. 7 macrophages. Int. Immunopharmacol. 9, 241-246. 

  17. Kim, G. H. and Kim, E. 2019.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inhibitory effects on lipid accumulation of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Morus alba and Cudrania tricuspidata. Kor. J. Food Nutr. 32, 138-147. 

  18. Kim, Y. S., Lee, Y., Kim, J., Sohn, E., Kim, C. S., Lee, Y. M., Jo, K., Shin, S., Song, Y., Kim, J. H. and Kim, J. S. 2012. Inhibitory activities of Cudrania tricuspidata leaves on pancreatic lipase in vitro and lipolysis in vivo.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100, 277-293. 

  19. Kimura, T., Nakagawa, K., Kubota, H., Kojima, Y., Goto, Y., Yamagishi, K., Oita, S., Oikawa, S. and Miyazawa, T. 2007. Food-grade mulberry powder enriched with 1-Deoxynojirimycin suppresses the elevation of postprandial blood glucose in humans. J. Agric. Food Chem. 55, 5869-5874. 

  20. Kopelman, P. G. 2000. Obesity as a medical problem. Nature 404, 635-643. 

  21. Kuang, L., Wang, L., Wang, Q., Zhao, Q., Du, B., Li, D., Luo, J., Liu, M., Hop, A. and Qian, M. 2011. Cudratricusxanthone G inhibits human colorectal carcinoma cell invasion by MMP-2 down-regulation through suppressing activator protein-1 activity. Biochem. Pharmacol. 81, 1192-1200. 

  22. Kwon, J., Hiep, N. T., Kim, D. W., Hwang, B. Y., Lee, H. J., Mar, W. and Lee, D. 2014. Neuroprotective xanthones from the root bark of Cudrania tricuspidata. J. Nat. Prod. 77, 1893-1901. 

  23. Lee, I. K., Song, K. S., Kim, C. J., Kim, H. M., Oh, G. T. and Yoo, I. D. 1994. Tumor cell growth inhibition and antioxydative activity of flavonoids from the stem bark of Cudrania tricuspidata. J. Kor. Soc. Appl. Biol. Chem. 37, 105-109. 

  24. Lee, Y. J., Kim, S., Lee, S. J., Ham, I., Whang, W. K. 2009. Antioxidant activities of new flavonoids from Cudrania tricuspidata root bark. Arch. Pharm. Res. 32, 195-200. 

  25. MacDougald, O. A. and Lane, M. D. 1995. Transcriptional regulation of gene expression during adipocyte differentiation. Annu. Rev. Biochem. 64, 345-373. 

  2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3).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6. 

  27. Noh, S. K. 2002. Functional action of flavonoids for treatment of obesity. Food Ind. Nutr. 7, 27-29. 

  28. Park, J. C., Young, H. S. and Choi, J. S. 1992. Constituents of Cudrania tricuspidata in Korea. Yakhak Hoeji 36, 40-45. 

  29. Perez-Vizcaino, F., Duarte, J. and Andriantsitohaina, R. 2006. Endothelial function and cardiovascular disease: effects of quercetin and wine polyphenols. Free Radic. Res. 40, 1054-1065. 

  30. Ranganathan, G., Unal, R., Pokrovskaya, I., Yao-Borengasser, A., Phanavanh, B., Lecka-Czernik, B., Rasouli, N. and Kern, P. A. 2006. The lipogenic enzymes DGAT1, FAS, and LPL in adipose tissue: effects of obesity, insulin resistance, and TZD treatment. J. Lipid Res. 47, 2444-2450. 

  31. Rosen, E. D. and Spiegelman, B. M. 2000. Molecular regulation of adipogenesis. Annu. Rev. Cell Dev. Biol. 16, 145-171. 

  32. Spiegelman, B. M. and Flier, J. S. 2001. Obesity and the regulation of energy balance. Cell 104, 531-543. 

  33. Spiegelman, B. M., Frank, M. and Green, H. 1983. Molecular cloning of mRNA from 3T3 adipocytes. Regulation of mRNA content for glycerophosphate dehydrogenase and other differentiation-dependent proteins during adipocyte development. J. Biol. Chem. 258, 10083-10089. 

  34. Tang, Q. Q. and Lane, M. D. 2012. Adipogenesis: from stem cell to adipocyte. Annu. Rev. Biochem. 81, 715-736. 

  35. Wang, H. and Eckel, R. H. 2009. Lipoprotein lipase: from gene to obesity. Am. J. Physiol.-Endoc. M. 297, E271-E288. 

  36. Xin, L. T., Yue, S. J., Fan, Y. C., Wu, J. S., Yan, D., Guan, H. S. and Wang, C. Y. 2017. Cudrania tricuspidata: an updated review on ethnomedicine, phytochemistry and pharmacology. RSC Adv. 7, 31807-31832. 

  37. Yoo, H., Ku, S. K., Lee, W., Kwak, S., Baek, Y. D., Min, B. W., Jeong, G. S. and Bae, J. S. 2014. Antiplatelet, anticoagulant, and profibrinolytic activities of cudratricusxanthone A. Arch. Pharm. Res. 37, 1069-107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