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립공원 내 일본잎갈나무림의 식생구조
Ecological Structure of Larix kaempferi in National Park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35 no.6, 2021년, pp.609 - 620  

최송현 (부산대학교 조경학과) ,  이상훈 (건국대학교 대학원 녹색기술융합학과) ,  신용진 (건국대학교 대학원 녹색기술융합학과) ,  조우 (상지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이명훈 (당진시청 산림녹지과) ,  김정호 (건국대학교 녹색기술융합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 국립공원 내 조림지 비율이 높은 6개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일본잎갈나무림의 식생구조를 분석하고자 일본잎갈나무가 우점하는 지역을 대상으로 우점비율, 흉고직경, 조림지역 등을 고려하여 조사구를 설정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조림지 비율이 높은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조림지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일본잎갈나무림의 식생구조를 분석하고, 식생유형구분을 통해 선정된 6개 국립공원의 일본잎갈나무림의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한 생태적관리의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조사구는 방형구 400m2를 기준으로 총 51개소를 설정하였다. 군락분류는 TWINSPAN을 활용하였으며 분류된 군락별로 상대우점치, 종다양도, 종수 및 개체수 등을 분석하였다. 군락분류 결과 총 7개 군락으로 구분되었으며 7개 군락 모두 교목층에서 일본잎갈나무가 우점하는 군락으로서 아교목층과 관목층의 출현수종에 의해 구분되었다. 군락 I, II, VII은 계곡부에 위치하며 교목층에 일본잎갈나무가 우점하면서 느티나무, 산뽕나무, 물푸레나무 등이 출현하였고 아교목층에서 물푸레나무, 산뽕나무 등의 습지성 낙엽활엽수종들의 출현빈도가 높았다. 군락 III~VI은 사면부에 위치하며 교목층을 중심으로 일본잎갈나무가 우점하면서 신갈나무와 상수리나무 등의 참나무류가 주요 출현수종이었으며 아교목층과 관목층에서는 교목성상의 참나무류와 습지성 낙엽활엽수종들의 출현빈도가 높았다. 6개 국립공원 일본잎갈나무림의 평균 종다양도는 1.2090으로 군락 III이 1.5413으로 가장 높았고 군락VI이 0.7042로 가장 낮았다. 평균 종수와 개체수는 9.35±2.90종, 226.05±89.98개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surveyed six national parks that included a wide range of afforestation among national parks in Korea to analyze the vegetation structure of Larix kaempferi, which occupies the highest ratio among planted areas. Plots were established considering the dominant ratio, diameter at breast hei...

주제어

표/그림 (8)

참고문헌 (25)

  1. Bae, J.S. and K.B. Lee(2006) Impacts of the Substitution of Firewood for Home Use on the Forest Greening after the 1945Liberation of Korea. Jour. Korean For. Soc. 95(1): 60-7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Byeon, S.Y. and C.W. Yun(2018) Comparison of Vegetation Structure between Natural Forest(Pinus densiflora Forest and Quercus mongolica Forest) and Larix kaempferi Forest in Mt. Janggunbong. J. Agric. Life Sci. 52(4): 31-45. (in Korean) 

  3. Choi, S.H. and H.M. Kang(2006) Vegetation Structure of the Kumsaenggol in the Wolchul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0(4): 464-47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Choi, S.H. and H.S. Cho(2001) Analysis on the Forest Community Structure of the Area of Donghaksa-Nammaetap. Kyeryongsan National Park. J. Env. Eco. 14(4): 252-267. (in Korean) 

  5. Curtis, J.T. and R.P. McIntosh(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476-496. 

  6. Ellenberg, H.(1956) Grundlagen der Vegetationsgliederung, Part 1: Aufgaben und Methoden der Vegetationskunde. In: H. Walter(ed.), Einfuhrung in die Phytosoziologie. Eugen Ulmer, Stuttart, 136pp. 

  7. HIll, M.O.(1979a) TWINSPAN-a FORTRAN program for arranging multivariate data in an ordered two-way table by classification of the individuals and attributes. Ecology and Systematics, Cornel Univ., Ithaca, New York, 990pp. 

  8. Hill, M.O.(1979b) DECORANA-a FORTRAN program for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and reciprocal averaging. Ecology and Sysmematics, Cornel Univ., Ithaca, New York, 520pp. 

  9. Hong, S.H., J.W. Cho, J.S. Kim, S.D. Lee and S.H. Choi(2012) Characteristics of the Carpinus laxiflora community in the Gyeongju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6(6): 934-940. (in Korean) 

  10. Kang, H.M., S.H. Choi, S.D. Lee, H.S. Cho and J.S. Kim(2012) Vegetation structure of the Bulguksa Buddhist temple forest in the Gyeongju National Park. Kor. J. Env. Eco. 26(5): 787-80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FS(2011) Statistical yearbook of forestry. Korea Forest Service, 484pp. (in Korean) 

  12. Kim, C.U.(2010) Monitoring the Vegetation Restoration after Logging the Exotic Forest in National Parks. Master's thesis, Honam Universtiy. (in Korean) 

  13. Kim, D.W., B.H. Han, J.Y. Kim and J.H. Yeum(2015)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Abies holophylla community from Sinseongam to Jungdaesa in Odae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9(6): 895-906. (in Korean) 

  14. Kim, J.Y. and K.J. Lee(2012) Vegetational Structure and the Density of Thinning for the Inducement of the Ecological Succession in Artificial Forest, National Parks-In Case of Chiaksan, Songnisan, Deogyusan, and Naejangsa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6(4): 604-619. (in Korean) 

  15. Kim, M.S., J.S. Kim, H.S. Kim and C.W. Park(2020) Changes in Community Structure of Understory Vegetation by Silvicultural Treatments in a Larix kaempferi Plantation Forest.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54(2): 25-35. (in Korean) 

  16. KNPS(2017) Distribution Status and Management Plan of Larix kaempferi Forests in National Parks. Korea National Park Service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pp.4-5. (in Korean) 

  17. Lee, K.J., S.H. Choi, H.S. Cho and Y.W. Lee(1994) The Analysis of the Forest Community Structure of Tokyusan National Park: Case Study of Paekryunsa-Kumpotan. Journal of Korean Applied Ecology 7(2): 135-15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Manhas, R.K., M.K. Gautam and D. Kumari(2009) Two way indicator species analysis (TWINSPAN) of the herbaceous vegetation in an inland wetland ecosystem of Doon Valley Himalaya, India. Journal of Wetlands Ecology 3: 23-31. 

  19. Orloci, L.(1978) Multivariate Analysis in vegetation research(End ed.). Junk Publishing, The Hague, 468pp. 

  20. Park, I.H.(1985) Forest Structure, Biomass, and Net Production in a Natural Forest Ecosystem at Mt. Baekun Area. Doctoral dissertation, Seoul Univ., 48pp. 

  21. Park, J.H., S.H. Chung, S.H. Kim and S.T. Lee(2020) Optimum Stand Density Control Considering Stability in Larix kaempferi Fores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109(2): 202-209. (in Korean) 

  22. Stolb, W.(2012) Waldasthetik: uber Forstwirtschaft, Naturschutz und die Menschenseele, 2 Auflage, 530pp. (in German) 

  23. Um, T.W.(2015). Change of Tree Species and Stand Structure on the Different Thinning Intensities of Larix kaemferi Plantation-In Odae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9(4): 580-589. (in Korean) 

  24. Westhoff, V. and E. Van Maarel(1973) The Braun-Blanquet approach. Handbook of Vegetation Science 5(1973): 617-726. 

  25. Whittaker, R.H.(1965) Vegetation of the Great Smokey Mountains. Ecol. Monographs 26: 1-8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