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픈액세스 학술출판 지원 인터페이스 사용성 평가 및 개선안 사례 연구
Case Study of Usability Evaluation and Improvement Plan for Open Access Academic Publishing Support Interface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32 no.4, 2021년, pp.47 - 66  

이정미 (서울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황혜경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오픈액세스 출판지원 서비스 플랫폼인 AccessON 학술지 리포지터리 인터페이스 중 관리자 인터페이스의 사용성 평가를 통해 오픈액세스 출판지원 서비스 플랫폼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인터페이스의 사용경험 응답 수집, 이를 통한 이슈 및 개선점 도출, 타 오픈액세스 출판지원 서비스 플랫폼을 위한 제안사항 분석 및 도출이라는 세 가지 연구 질문에 대한 응답을 위해 오픈액세스 출판 및 사용성 평가에 관련된 각종 문헌과 사례같은 선행연구를 검토하였으며, 설문조사와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해 관리자 인터페이스 사용경험에 대한 응답을 수집하였다. 이를 종합하여 AccessON 학술지 리포지터리 인터페이스의 사용성 평가 결과를 각종 수치정보를 통해 제시할 수 있었다. 사용성 평가의 결과는 AccessON 학술지 리포지터리 관리자 인터페이스의 이슈 및 개선점을 제안가능하게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이후 개발될 오픈액세스 학술출판지원 서비스 플랫폼을 위한 제안사항을 도출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find ways to improve the open access publication support service platform through the usability evaluation of the publishing manager interface among the AccessON journal repository interfaces, which is an open access publication support service platform. Various document...

주제어

표/그림 (21)

참고문헌 (22)

  1. Cho, J. G. (2018). Usability evaluation using heuristic evaluation method in mobile app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8(6), 919-926. http://dx.doi.org/10.21742/AJMAHS.2018.06.55 

  2. Hyun, M. H., Park, M. S., Lee, T. S., & Choi, H. G. (2011). Step-by-step strategy for improving website usability. KISTI Knowledge Report, 28. 

  3. Kim, G. H. & Joung, K. H. (2017).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open access in korean scholarly journals: focused on KCI journa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4(3), 251-267. https://doi.org/10.3743/KOSIM.2017.34.3.251 

  4. Kim, W. J. (2019). Korean open access publishing and open access platform development plan. paper at proceedings of the joint academic conference of 4 academic societie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95-108.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07016 

  5. Korea Web Accessibility Certification Center [n.d.]. About Certification. Available: http://kwacc.or.kr/Accessibility/Certification?categoryWA 

  6. Korea-EU Research Centre (2021). Science and Society, HOW DO EU DO?. Available: https://k-erc.eu/how-do-eu-do-science-society/ 

  7. Na, H. R. (2020). Electronic journal subscriptions and open access publishing. Bulletin of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Library, 142, 14-23. https://hdl.handle.net/10371/164932 

  8. Oh, C. W. (2018, December 15). The reason why the directors of university libraries created 'Emergency Response Committee for e-journals'. Hankyoreh. Available: https://www.hani.co.kr/arti/culture/religion/874533.html 

  9. Son, Y. J. (2020, March 25). Search, publish, access, and monitor open access articles in one place.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Available: https://www.kisti.re.kr/promote/post/news/4858?cPage11&t16346 

  10. BOAI (2002, February 14). Read the Budapest Open Access Initiative. Available: https://www.budapestopenaccessinitiative.org/read 

  11. cOAlition S. (2021). Principles and Implementation. https://www.coalition-s.org/addendum-to-the-coalition-s-guidance-on-the-implementation-of-plan-s/principles-and-implementation/ 

  12. DOAB [n.d.]. About DOAB. Available: https://www.doabooks.org/en/doab/purpose-of-doab 

  13. DOAJ [n.d.]. About DOAJ. Available: https://doaj.org/about/ 

  14. Ergonomics of human-system interaction - Part 11: Usability: Definitions and concepts. ISO-9214-11:2018. 

  15. MPDL (2020, December 14.). OA2020 Progress report: Progress and benchmarks from the frontlines in the transition of scholarly journals to open access. Available: https://oa2020.org/progress-report/ 

  16. Nielsen, J. (2003, January 3). Usability 101: Introduction to Usability. Available: https://www.nngroup.com/articles/usability-101-introduction-to-usability/ 

  17. Nielsen, J. (2006, June 25). How many users to test?. Available: https://www.nngroup.com/articles/quantitative-studies-how-many-users/ 

  18. Nielsen, J. (2012, June 3). How many test users in a usability study?. NN/g Nielsen Norman Group. Available: https://www.nngroup.com/articles/how-many-test-users/ 

  19. Nielsen, J. (2020, November 25). 10 Usability Heuristics for User Interface Design. Nielsen Norman Group. Available: https://www.nngroup.com/articles/ten-usability-heuristics/ 

  20. OpenDOAR [n.d.]. About OpenDOAR. Available: https://v2.sherpa.ac.uk/opendoar/about.html 

  21. Openjournals.nl [n.d.]. About Openjournals.nl. Available: https://openjournals.nl/ 

  22. University of California [n.d.]. eScholarship. Available: https://escholarship.org/publishing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