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가정책연구포털(NKIS)에 대한 이용자 인식 분석 기반 서비스 개선 및 홍보의 개선 방향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ervices and Promotion Based on User Perception Analysis of the National Knowledge Information System (NKIS)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32 no.4, 2021년, pp.25 - 46  

노영희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장인호 (대진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강지혜 (동덕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왕동호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본 연구는 NKIS의 개선방안 도출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수행되었다. NKIS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고, 이용자의 NKIS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여 NKIS의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제시하는 개선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군 및 연령별 이용자에 대한 수요 조사 및 NKIS 주 이용층에 대한 명확한 타겟 설정이 필요하다. 둘째, 정책정보 및 서비스의 확산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홍보에 대한 방향성을 유지하되 새로운 매체의 도입을 통한 홍보 방식의 개선 및 활성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NKIS 이용자 설문조사를 통해 NKIS의 이용자 불편사항 및 수정사항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이용자들의 NKIS 활용성을 높이고 신규 이용자 확장에 기여한다. 또한 향후 이와 비슷한 정보 포털의 이용자 인식조사가 이루어질 때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향후 연구에서는 NKIS의 실질적 이용자 파악을 위한 심층적 조사가 이루어져야 하며, NKIS 목표 실현을 위해 정책정보를 실질적으로 활용하는 이용자층에 대한 맞춤형 홍보방안이 세워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basic study to derive improvement measures for NKIS. A survey was conducted on NKIS users and the user's perception of NKIS was analyzed to derive improvement measures for NKIS. The directions for improvement present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주제어

표/그림 (19)

참고문헌 (15)

  1. Department of Education (2021, April 19). Four aspects of the future society that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ill bring. Korean policy briefing. https://www.korea.kr/news/visualNewsView.do?newsId148886082 

  2. Han, H., Hawng, S., Lee, J., & Oh, H. (2020). Analysis of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plans of the user service in open data portal: focusing on citizen participation data portal.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51(1), 255-279. https://doi.org/10.16981/kliss.51.1.202003.255 

  3. Jo, J. Y. (2021). Curse of participation: do SNS communications increase social conflicts?. Journal of Business Convergence, 6(1), 117-123. https://doi.org/10.47116/apjcri.2021.08.05 

  4. Kim, Y. (2017). User satisfaction related perception of the web portal for scholarly information: focused on the academic version of NAVER search engine.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1(2), 255-279. https://doi.org/10.4275/KSLIS.2017.51.2.255 

  5. Lee, H. & Lee, K. (2005). A survey on the operation of the crim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in Korean police. Korean Journal of Public Safety and Criminal Justice, 20, 385-414. 

  6. Lee, J., Lee, J., Kim, S., Bae, J. H., Jeon, J., Kam, M., Park, H., Hong, H., Ahn, E., Oh, J., Lee, E., Lim, J., Jeong, S., Cha, H., & Tae, J. W. (2011). Establishment of a Plan to Establish a National Policy Knowledge System for Research Performance Management. National Research Council for Economic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7. National Research Council for Economic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2019). 2019 Annual Report. National Research Council for Economic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8. National Research Council for Economic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2020).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a Policy Spread Platform for Research Results. 

  9. Park, S. (2010). an analysis of multimedia search services provided by major Korean search portals.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4(4), 395-412. 

  10. Park, S. (2013). Analysis and evaluation of term suggestion services of korean search portals: the case of Naver and Google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0(2), 297-315. https://doi.org/10.3743/KOSIM.2013.30.2.297 

  11. Park, S. (2014). Evaluation of mobile-based web search services: suggestions for needed improvements.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9(4), 317-334. https://doi.org/10.4275/KSLIS.2015.49.4.317 

  12. Ryu, G. Y. (2018). A study on comparison and classification of response time of mobile portals.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18(3), 1-7. https://doi.org/10.7236/JIIBC.2018.18.3.1 

  13. Seo, M. (2012). The user evaluation model of portal search engines. Journal of Social Science, 14, 155-185. 

  14. Yu, H. J. & Chung, H. W. (2021). The impact of short-form content types and use of motivation on content consumption of youth. Asia-pacific Journal of Convergent Research Interchange, 7(8), 53-67. https://doi.org/10.47116/apjcri.2021.08.05. 

  15. Seow, S. C. (2008). Designing and Engineering Time: The Psychology of Time Perception in Software. United States: Addison-Wesle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