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자전거 임대내역 데이터를 활용한 마이크로 모빌리티 패턴분석 연구
A Study on Micro-Mobility Pattern Analysis using Public Bicycle Rental History Data 원문보기

한국IT서비스학회지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Services, v.20 no.6, 2021년, pp.83 - 95  

조재희 (광운대학교 소프트웨어융합대학 정보융합학부) ,  백가은 (광운대학교 시공간데이터분석랩)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various usage patterns were analyzed after establishing a data mart for micro mobility analysis based on the rental history of public bicycles in Seoul. Rental history data is origin-destination data that includes the rental location and time, and the return location and time. About 1...

주제어

표/그림 (13)

참고문헌 (27)

  1. 강경희, 정진우, "사회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서울시 공공자전거 따릉이 이용 특성 및 대여소의 특성에 대한 연구: 중구 32개 대여소를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제20권, 제6호, 2019, 1-14. 

  2. 곽희준, 장찬범, "서울시 공공자전거서비스에 따른 시설물디자인에 관한 연구: 'Hi-Seoul Bike'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제9권, 제6호, 2008, 465-469. 

  3. 김승호, 김수홍, 김주연, "개인형 이동수단의 자전거도로 사용을 위한 도로환경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제15권, 제3호, 2020, 149-160. 

  4. 김행범, "김해시 자전거 이용 활성화 방안", 김해발전연구, 제2권, 제1호, 1998, 311-372. 

  5. 심형욱, 이영인, "네트워크 중심성 기반 서울시 공공자전거 서비스의 이용률 개선 방안 연구: 서울시 종로구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교통학회지, 제37권, 제2호, 2019, 124-134. 

  6. 윤상오, 이윤아, "도시재생을 위한 공공자전거 도입방안 연구: 천안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보, 제35권, 제1호, 2021, 199-223. 

  7. 이병현, 최일영, 김재경, "도시특성에 기반한 공유 자전거 이용 패턴의 소셜 네트워크 분석 연구: 서울시 데이터 사례 분석", Information Systems Review, 제22권, 제1호, 2020, 147-165. 

  8. 이성호, 정원렬, 황재훈, 심민규,. "국내 코로나 확진자 데이터 분석을 통한 지역 간 감염 전파 시뮬레이션 연구", 한국생산관리학회지, 제32권, 제2호, 2021, 105-122. 

  9. 이은탁, 손봉수, 이용수요 기반의 서울시 공공자전거 재배치전략 도출", 대한교통학회지, 제37권, 2019, 27-38. 

  10. 장재민, 김태형, 이무영, "서울시 공공자전거 이용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도시연구, 제17권, 제4호, 2016, 77-91. 

  11. 정하영, 이태헌, 김재권, 김외정, 김찬영, "공공자전거의 쏠림현상 해소를 위한 동적 재배치 라우팅 모형: 창원시 누비자 사례",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제32권, 2021, 75-95. 

  12. 조재승, "자전거 이용 문화 확산을 위한 공공시설물 디자인 사례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제20권, 제4호, 2014, 647-655. 

  13. 조재희, 백의영, "다트판형 공간분할 기법을 이용한 서울지역 지하철 역세권 분석", 한국IT서비스학회지, 제17권, 제4호, 2018, 139-150. 

  14. 최석준, "공공공간디자인으로서 자전거도로 및 보관 시설물 디자인 개선 방안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제17권, 제2호, 2011, 599-611. 

  15. 김재중, "서울시 '자전거하이웨이' 구축... 두바퀴 혁명이 시작된다", 국민일보, 2020.06.16. 

  16. 정지혜, "청계천 '자전거 하이웨이' 타고 씽씽 달린다", 세계일보, 2021.06.01. 

  17. 서울시 자전거정책과, 서울시, 코로나19에도 안심... 따릉이 이용 전년 대비 약67%↑, 2020.04.08. 

  18. Cheng, Y.H. and Y.C. Lin, "Expanding the effect of metro station service coverage by incorporating a public bicycle sharing system", International Journal of Sustainable Transportation, Vol.12, No.4, 2018, 241-252. 

  19. Garcia-Palomares, J.C., J. Gutierrez, and M. Latorre, "Optimizing the location of stations in bike-sharing programs: A GIS approach", Applied Geography, Vol.35, No.1-2, 2012, 235-246. 

  20. Ji, Y., Y. Fan, A. Ermagun, X. Cao, W. Wang, and K. Das, "Public bicycle as a feeder mode to rail transit in China: The role of gender, age, income, trip purpose, and bicycle theft exper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ustainable Transportation, Vol.11, No.4, 2017, 308-317. 

  21. Li, X., Y. Zhang, M. Du, and J. Yang, "Social factors influencing the choice of bicycle: Difference analysis among private bike, public bike sharing and free-floating bike sharing in Kunming, China", KSCE J. Civ. Eng, Vol.23, No.5, 2019, 2339-2348. 

  22. Lin, J.J., N.L. Wang, and C.M. Feng, "Public bike system pricing and usage in Taipei", International Journal of sustainable transportation, Vol.11, No.9, 2017, 633-641. 

  23. Lopez-Valpuesta, L. and A. Sanchez-Braza, "Going a long way? On your bike! Comparing the distances for which public bicycle sharing system and private bicycles are used", Applied Geography, Vol.71, 2016, 95-105. 

  24. Lyu, C., Y. Liu, Z. Liu, X. Wu, and X. Yang, "Exploring multi-scale spatial relationship between built environment and public bicycle ridership", Journal of Transport and Land Use, Vol.13, No.1, 2020, 447-467. 

  25. Midgley, P., "Bicycle-sharing schemes: Enhancing sustainable mobility in urban areas", United Nations,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Vol.8, 1-12, 2011. 

  26. Rahman, M.S.U., "Public bike-sharing schemes (PBSS): Prospects in Bangladesh",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 policy and practice, Vol.142, 2020, 207-224. 

  27. Zhang, Y., T. Thomas, M. Brussel, and M. Van Maarseveen, "Exploring the impact of built environment factors on the use of public bikes at bike stations: Case study in Zhongshan, China",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Vol.58, 2017, 59-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