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유통 어린이 및 무기 자외선차단제에서 자외선 차단성분, 보존제 및 중금속 실태 조사
A Study on UV Filters, Preservatives and Heavy Metals Contained in the Children's and Inorganic Sunscreens Distributed in Korea 원문보기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47 no.4, 2021년, pp.289 - 296  

김애란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  이유진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  조윤식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  김현주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  조상훈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  김양희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  노정원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  박용배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국내 유통 중인 민감성 피부 대상 자외선 차단제의 안전성 조사를 위해 무기 자외선 차단제 27 건 및 어린이용 자외선 차단제 23 건을 수거하여 자외선 차단 성분 17 종, 보존제 13 종 및 중금속 5 종의 사용 및 혼입 실태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자외선 차단 성분은 티타늄디옥사이드(41 건), 징크옥사이드(29 건),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10 건)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8 건) 및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8 건)순으로 검출되었으며, 보존제는 페녹시에탄올(6 건), 안식향산(1 건), 디히드로초산(1 건) 순으로 검출되었다. 확인된 자외선 차단성분은 모두 표시 사항에 적합 하였으나, 1 개 제품에서 표시사항 외 보존제 성분인 페녹시에탄올이 0.1% 농도로 검출되었다. 중금속 납, 카드뮴, 비소, 안티몬, 니켈은 불검출에서 3.6 ㎍/g로 다양한 농도로 검출되었다. 이번 연구에서 확인된 자외선 차단성분, 보존제 및 중금속은 화장품 안전기준 등에 관한 규정의 성분별 최대 배합한도 및 최대 허용량 기준에 적합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27 inorganic sunscreens and 23 sunscreens for children were collected to investigate the use and incorporation of 17 types of sunscreen agents, 13 types of preservatives, and 5 types of heavy metals. As a result, sunscreen agents were detected in the order of titanium dioxide (41 case...

주제어

표/그림 (6)

참고문헌 (14)

  1. F. P. Gasparro, M. Mitchnick, and J. F. Nash, A review of sunscreen safety and efficacy, Photochem Photobiol., 68(3), 243 (1998). 

  2. D. E. Brash, J. A. Rudolph, J. A. Simon, A. Lin, G. J. McKenna, H. P. Baden, A. J. Halperin, and J. Ponten, A role for sunlight in skin cancer: UV-induced p53 mutations in squamous cell carcinoma, Proc. Natl. Acad. Sci. U.S.A., 88(22), 10124 (1991). 

  3. Annual Production Trend of Functional Cosmetics,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http://210.179.230.152:8083/statHtml/statHtml.do?orgId358&tblIdDT_358N_DC028&conn_pathI2.# (2020). 

  4. U. Osterwalder and B. Herzog, Chemistry and properties of organic and inorganic UV filters. Clinical guide to sunscreens and photo protection, H. W. Lim, and Z. D. Draelos eds, 11, Healthcare USA, New York (2009). 

  5. M. Krause, A. Klit, J. M. Blomberg, T. Soeborg, H. Frederiksen, M. Schlumpf, and K. T. Drzewiecki, Sunscreens: are they beneficial for health? An overview of endocrine disrupting properties of Ultraviolet-filters, Inter. J. of Andrology, 35(3), 424 (2012). 

  6. H. S. Narla and H. W. Lim, Sunscreen: FDA regulation and environmental and health impact, Photochem. Photobiol. Sci., 19(1), 66 (2020). 

  7. S. H. Jeong, Master's Thesis Dissertation, Hansung Univ., Seoul, Korea (2013). 

  8. Y. Lee and J. Kim, A study on aw areness and usage of sunscreen for children, J. Korean Soc. Cosmetol., 3(1), 103 (2012). 

  9. A. Kolodziejczak-Radzimska and T. Jesionowski, Zinc Oxide-from synthesis to application: A review , Materials, 7(4), 2833 (2014). 

  10. J. B. Mancuso, M. Rohit, Q. W. Steve, and W. L. Henry, Sunscreens: An update. Am. J. Clin. Dermatol., 18(5), 643 (2017). 

  11. J. H. Park, J. P. Kim, J. A Kim, K. W. Seo, E. S. Kim, and J. M. Seo, Survey on preservatives and UV filter ingredients of distributed sunblock products in Korea, J. Soc. Cosmet. Sci. Korea, 43(4), 381 (2017). 

  12. S. H. Choi, K. R. Chae, J. W. Kwak, S. K. Lee, H. J. Lee, J. H. Choi, J. D. Choi, J. H. Sung, Y. H. Choi, I. Kim, K. W. Kim, W. L. Jung, Y. S. Sho, and B. W. Moon, Monitoring of cosmetic preservatives in commercial skin creams, Cosmetic safety management business research report,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2). 

  13. K. Nowak, W. Ratajczak-Wrona, M. Gorska, E. Jablonska, and K. Nowak, Parabens and their effects on the endocrine system, Mol. Cell Endocrinol., 15(474), 238 (2018). 

  14. Y. S. Kim, H. J. Jeong, and I. S. Chang, Heavy metals and cosmetics, J. Soc. Cos met. Sci. Korea, 28(1), 15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