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 대학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졸피뎀 음독 자살시도군의 특성
The Characteristics Related to Zolpidem-Using Suicide Attempts in Patients Who Visited Emergency Department 원문보기

精神身體醫學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v.29 no.2, 2021년, pp.144 - 152  

맹헌규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이진희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민성호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김민혁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권윤나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진시영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김흥규 (서울특별시 은평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본 연구는 응급실에 내원한 졸피뎀 음독 자살시도군과 다른 방법을 사용한 자살시도군을 비교하여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 법 2009년부터 2018년까지 응급실에 내원한 총2734명의 자살시도자를 대상으로 졸피뎀 음독 자살시도군, 졸피뎀 외 약물 음독 자살시도군, 비약물 자살시도군으로 분류하였으며, 세 군에 대하여 사회인구학적 특성, 자살시도와 관련된 임상적 특성들에 대해 교차분석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결 과 졸피뎀 음독 자살시도군과 비약물적 자살시도군에서 차이를 보인 변수들에 대한 회귀 분석 결과에서, 안정제/수면제의 사용과 치명도가 낮거나 의도의 심각성이 높지 않은 경우가 졸피뎀 음독 자살시도의 발생과 연관성이 있었다. 유사한 특성을 보인 음독군 내에서도 안정제/수면제의 사용은 졸피뎀 음독 자살시도의 발생과 연관성이 있었다.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응급실에 내원한 졸피뎀 음독 자살시도군과 다른 방법을 사용한 자살시도군의 사회인구학적, 임상적 특성의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추후 졸피뎀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약물적 치료를 계획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differences between suicide attempters who used zolpidem and others who used different methods in emergency department. Methods : This study classified 2,734 suicide attempters, who went to emergency department from 2009 to 2018, into zolpidem us...

주제어

표/그림 (4)

참고문헌 (27)

  1. World Health Organization. Suicide data [cited 2021 JUNE]. Available from: https://www.who.int/data/gho/data/themes/mental-health. 

  2. World Health Organization. Suicide mortality rate 2019 [cited 2021 JUNE]. Available from: https://www.who.int/data/gho/data/indicators/indicator-details/GHO/suicide-mortality-rate-(per-100-000-population). 

  3.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Suicide rates 2021 [cited 2021 JUNE]. Available from: https://data.oecd.org/healthstat/suicide-rates.htm. 

  4. Korea Statistics. Suicide mortality rate 2019 [cited 2021 JUNE]. Available from: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YL21121E&vw_cdMT_GTITLE01&list_id112&seqNo&lang_modeko&languagekor&obj_var_id&itm_id&conn_pathMT_GTITLE01. 

  5. Korea Statistics. Causes of death statistics 2019 [cited 2021 JUNE]. Available from: https://www.kostat.go.kr/portal/korea/kor_nw/1/6/2/index.board?bmoderead&bSeq&aSeq385219&pageNo1&rowNum10&navCount10&currPg&searchInfo&sTargettitle&sTxt). 

  6. Korea Statistics. Causes of visiting emergeny room 2019 [cited 2021 JUNE]. Available from: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411&tblIdDT_41104_132&vw_cdMT_ZTITLE&list_idD1_41101_01&scrId&seqNo&lang_modeko&obj_var_id&itm_id&conn_path). 

  7. Korea Statistics. Suicidal methods 2018 [cited 2021 JUNE]. Available from: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17&tblIdDT_11794N_606&vw_cdMT_ZTITLE&list_id117_11794_002&scrId&seqNo&lang_modeko&obj_var_id&itm_id&conn_pathK1&path. 

  8. Miller TR, Swedler DI, Lawrence BA, Ali B, Rockett IR, Carlson NN, Leonardo J. Incidence and lethality of suicidal overdoses by drug class. JAMA Network Open 2020;3:e200607-e200607. 

  9. De Haas S, Schoemaker R, Van Gerven J, Hoever P, Cohen A, Dingemanse J. Pharmacokinetics, pharmacodynamics and the pharmacokinetic/pharmacodynamic relationship of zolpidem in healthy subjects. Journal of Psychopharmacology 2010;24:1619-1629. 

  10. Darke S, Deady M, Duflou J. Toxicology and characteristics of deaths involving zolpidem in New South Wales, Australia 2001-2010. Journal of Forensic Sciences 2012;57:1259-1262. 

  11. McCall WV, Benca RM, Rosenquist PB, Riley MA, McCloud L, Newman JC, Case D, Rumble M, Krystal AD. Hypnotic medications and suicide: risk, mechanisms, mitigation, and the FDA.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2017;174:18-25. 

  12. Choi B, Sung HG, Nam JH, Shin JY. Zolpidem use and suicide death in South Korea: a population-based case-control study.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2019;49:1653-1667. 

  13. Chung S, Park B, Yi K, Lee J. Pattern of hypnotic drug prescription in South Korea: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national patients sample. Sleep Medicine Research 2013;4:51-55. 

  14. Lim YJ, Kim HY, Choi J, Lee JS, Ahn AL, Oh EJ, Cho DY, Kweon HJ. Potentially inappropriate medications by beers criteria in older outpatients: prevalence and risk factors.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2016;37:329. 

  15. Sun Y, Lin CC, Lu CJ, Hsu CY, Kao CH. Association between zolpidem and suicide: a nationwide population-based case-control study. In Mayo Clinic Proceedings: Elsevier;2016. 

  16. World Health Organization. Preventing suicide: a global imperative;2014. 

  17. Weisman AD, Worden JW. Risk-rescue rating in suicide assessment.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1972;26:553-560. 

  18. Misson H, Mathieu F, Jollant F, Yon L, Guillaume S, Parmentier C, Raust A, Jaussent I, Slama F, Leboyer M. Factor analyses of the Suicidal Intent Scale (SIS) and the Risk-Rescue Rating Scale (RRRS): toward the identification of homogeneous subgroups of suicidal behaviors.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010;121:80-87. 

  19. Harriss L, Hawton K. Suicidal intent in deliberate self-harm and the risk of suicide: the predictive power of the Suicide Intent Scale.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005;86:225-233. 

  20. Mieczkowski TA, Sweeney JA, Haas GL, Junker BW, Brown RP, Mann JJ. Factor composition of the suicide intent scale.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1993;23:37-45. 

  21. Pierce DW. The predictive validation of a suicide intent scale: a five year follow-up.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981; 139:391-396. 

  22. Stefansson J, Nordstrom P, Jokinen J. Suicide Intent Scale in the prediction of suicide.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012; 136:167-171. 

  23. Kim B, Ahn JH, Cha B, Chung YC, Ha TH, Jeong SH, Jung HY, Ju G, Kim EY, Kim JM. Characteristics of methods of suicide attempts in Korea: Korea National Suicide Survey (KNSS).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015;188:218-225. 

  24. Kolves K, McDonough M, Crompton D, De Leo D. Choice of a suicide method: Trends and characteristics. Psychiatry Research 2018;260:67-74. 

  25. Sung HG, Li J, Nam JH, Won DY, Choi B, Shin J-Y. Concurrent use of benzodiazepines, antidepressants, and opioid analgesics with zolpidem and risk for suicide: a case-control and case-crossover study. Social Psychiatry and Psychiatric Epidemiology 2019;54:1535-1544. 

  26. Harrison JE, Abou Elnour A. Lethality of suicide methods; 2008. 

  27. Lim M, Lee SU, Park JI. Difference in suicide methods used between suicide attempters and suicide completers. International Journal of Mental Health Systems 2014;8: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